매일매일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11월에 심으면 좋은 추천 작물]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3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0월 2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11월에 심으면 좋은 추천 작물>입니다.

11월은 날씨가 추워지기 때문에 심을 수 있는 작물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겨울을 버티는 작물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오늘은 추위를 버티는 대표적인 4가지 작물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양파
- 서늘한 기후 적응: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며, 겨울 동안 뿌리를 내리고 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

- 오래 걸리는 생육 기간: 이른 시기에 심으면 충분히 자랄 수 있음

- 심기 요령: 심는 간격은 약 10cm 정도로 유지하고, 너무 깊게 심지 않음


🔻시금치
- 한파에 강한 특성: 추위에 강해, 기온이 낮은 11월에도 무리 없이 자람

- 겨울철 단맛 증가: 서늘한 날씨에 자라면서 맛이 좋아짐

- 빠른 생육 속도: 발아 속도가 빨라 11월에 심어도 겨울 동안 수확이 가능

- 심기 요령: 시금치 씨앗을 1cm 깊이로 흩어뿌리거나 줄뿌림으로 심음


🔻마늘(한지형)
- 추위 속 월동 가능: 마늘은 겨울에 뿌리를 내리고 추위를 잘 버팀

- 수확 시기 조절: 11월에 심으면 이듬해 초여름에 수확 가능

- 심기 요령: 싹이 난 부분을 위로 향하게 하여 심고, 흙으로 살짝 덮음


🔻대파
- 겨울철 생육 가능: 추위에 강하여 겨울에도 성장

- 저온에서 품질 유지: 대파는 추운 환경에서 더 단단하게 자람

- 심기 요령: 줄기를 땅속에 깊이 묻어 심고, 흙을 덮어줌


양파, 시금치, 마늘, 대파는 모두 추위의 강한 작물이지만 한파로 인해 땅이 얼 경우 생육에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칭이나 보온에 신경을 쓴다면 더욱 좋은 작물을 수확 할 수 있습니다.

매일농사공부 3탄 30편 [토양 수분 완벽히 지키는 멀칭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M0MTU3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모임의 연관글

[✍️ 돌발 해충 부하방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돌발해충 부화 미리 방제하기> 입니다. 🔻돌발해충 부화, 예년보다 빨라진다 - 기후변화로 돌발해충 발생이 예년보다 증가하는 추세 - 5월 초부터 월동난 부화 주의 관찰 시작하기 - 초기 에찰 후 약제방제 신속하게 진행하기 - 주요 기주식물 중심으로 방제 범위 확대하기 🔻돌발해충 | 꽃매미 - 포도속(포도, 머루)작물 선호하며, 약충과 성충이 즙을 빨아 먹어 나무 생육을 저하시킴 - 꽃매미 부화 전(3월 무렵)에 나무에서 알 제거하기 - 천적인 꽃매미벼룩좀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갈색날개매미충 - 산수유, 감, 매실 등의 가지에 붙어 즙을 빨아 먹음 - 나무 생육저하하고 그을음병 유발 - 과수나 수목류 새 가지에서 알 제거하기(3월) - 천적인 갈색날개메미충 알기생봉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미국선녀벌레 - 유충과 성충이 집단으로 즙을 빨아 먹어 생육 저하 - 기주범위가 넓으므로 농경지뿐 아니라, 인근 야산의 나무도 동시에 방제해야 함 - 천적인 선녀벌레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81편 [병해충 잡는 살충제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k0MTg1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8
417
Farmmorning
[✍️ 봄 가뭄 주의보, 물관리 이렇게 하세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8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10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봄 가뭄 주의보, 물관리 방법> 입니다. 🔻4월, 왜 물관리에 주의해야 하나요? - 최근 봄철 가뭄 상습화: 3~5월은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은 경향 - 4월은 작물 생육 시작 시기로 수분 스트레스 영향이 큼 - 논은 모내기 전 물가두기, 밭은 파종·정식 직후 수분 부족 시 큰 피해 🔻밭작물 관수 요령 - 시기와 양 조절이 핵심 [정식 직후~활착기 (10일 내외)] - 지표면 5cm가 마르기 전 관수 필요 - 오전 9시 이전 또는 해질 무렵에 물 주기(증발량 최소화) [주요 작물별 수분 민감도] - 고수분 필요: 상추, 오이, 고추 - 과습 주의: 마늘, 양파, 감자 [관수 간격] - 점적관수: 매일 소량 | 고랑관수: 3~5일 간격 - 스프링클러: 주 1~2회 (토양상태 확인 필요) 🔻논물관리 - 모내기전 준비사항 - 4월 말~5월 초 모내기 전 물가두기 어려운 논에 대비 필요 - 물길 정비, 논두렁 점검 → 누수 방지 - 대체수원 확보: 하천, 농업용 저수지, 관정 점검 ✔ 논에 물 못대는 경우 대책 - 육모판 양성 시 관비병행(물을 비료와 같이 공급) - 물대기 어려운 논은 직파보다는 육묘 이앙 추천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31
421
Farmmorning
[✍️ 눈이 녹은 직후 주의해야할 점]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8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18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눈이 녹은 직후 주의해야할 점> 입니다. 🔻토양관리 & 배수 대책 - 배수로를 확보하세요! -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정리 필수 - 하우스 내부는 바닥 비닐을 이용해 습기 조절 - 흙이 젖은 경우, 건조후 물주기 - 흙이 마르기 전까지 추가 물주지 않기 - 물을 너무 일찍 주면 뿌리 호흡이 어려워 생육 저하 🔻손상된 잎 & 줄기 관리 - 냉해를 입은 잎은 즉시 제거하지 않기 - 손상된 잎도 일부분 광합성을 하며 작물 회복함 - 심하게 썩은 부위만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 1-2일 후 상태를 보고 가지치기 진행 - 죽은 가지와 잎을 정리해 새순이 돋을 공간 확보 🔻눈 온 직후 햇빛이 강하다면! - 차광막을 활용하여 햇빛 가리기 - 갑작스럽게 온도가 올라가면 냉해 휴유증으로 작물이 스트레스 받음 - 강한 햇빛이 내리쬐면, 햇빛의 양을 조절해주는 것이 필요함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73편 [심상치 않은 기후 변화, 봄 농사 준비 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kwODc4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33
437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