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페이지
홈
매일매일 농사공부
5,613 명
전체
매일매일 농사공부
자유게시판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9T06:30:00Z
[✍️팜이웃이 꼽은 4월 필수 농작업]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8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4월 중순까지 팜이웃이 가장 많이 본 매일매일 농사공부 콘텐츠는 무엇일까요?
평균 조회수 약 1,700회가 넘는 인기 콘텐츠, 바로 알아봅시다!
🔻새순 마름 원인 3가지
• 칼슘 결핍상황
-건조한 토양이나 고온의 기온으로 마른 종이처럼 끝이 말라가고 갈색으로 변색
• 건조 , 과습한 상황
-건조할 경우: 잎이 시들었다가 퍼졌다 반복
-과습할 경우: 뿌리 썩음, 수분 이동 불가 위쪽 마름
• 역병 초기 증상
-통풍 불량 혹은 토양에 곰팡이 포지가 있는 경우새순, 줄기 윗 부분에서 한쪽만 급격히 시들고 물 빠진 것처럼 축 처지고 검게 변색
🔻봄철 멀칭 작업 알아보기
• 멀칭이 필요한 작물과 환경
-고온성 작물: 고추, 토마토, 수박, 참외, 오이 등
-뿌리 작물: 감자, 당근, 무, 마늘 등
-관수 관리가 어려운 밭 (수분 유지)
-잡초가 많은 밭 (햇빛 차단으로 성장 지연)
• 멀칭을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잎채소류: 상추, 시금치, 쑥갓 등은 지온보다 환기와 수분이 더 중요
-저온성 작물: 봄철 온도가 이미 적당한 작물에는 오히려 과열시킬 수 있음
🔻도구별 잡초 제거 방법
• 호미 (손호미, 제초용 호미): 뿌리 가까이 호미를 넣어 뽑아내며,넓은 면적보다 좁은 곳에 적합
• 예초기: 회전 칼날로 풀을 잘라내며,넓은 면적이나 과수원 등의 사용이 적합
• 제초기: 땅을 갈아 엎어 잡초를 뽑거나 묻어버림
-뿌리가 깊어지기 전인 잡초가 자라는 시점에 제거, 작물의 생육 초기에는 기계나 수작업 추천
🔻꽃눈 관리방법
• 순정꽃눈
-꽃만 피고 잎은 없음 (비파, 블루베리, 살구..)
→ 끝부분을 자르면 열매 맺을 꽃눈이 사라짐
• 혼합꽃눈 (가지 끝)
-전년도에 자란 가지의 끝과 잎겨드랑이에 있음 (감, 밤)
→ 끝을 너무 많이 자르지 않도록 주의
• 혼합꽃눈 (가지 중간)
-가지 끝이 아닌 중간에 달림 (무화과, 키위, 포도..)
→ 끝을 잘라도 열매가 달리므로 짧은 열매가지도 꽃눈이 있으면 남기기
🔻토양 전염병 알아보기
• 증상
-시들음병: 잎이 시들고 뿌리, 줄기 내부가 갈변
-역병: 뿌리나 줄기가 썩고 식물이 쓰러짐
-모잘록병: 싹이 난 후 줄기가 썩어 쓰러짐
-검은썩음병: 뿌리가 검게 썩고 생육불량 발생
-선충 피해: 뿌리에 혹이 생기고 작물이 잘 못자람
• 해결책
-같은 작물은 최소 2-3년간 연속 재배하지 않음
-여름철 투명 비닐을 덮어 1~2개월 방치 (고온 살균)
-고랑을 깊게 만들거나 물 빠짐이 좋은 토양 구조
-자가육모시 소독한 상토와 깨끗한 물 사용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
6
186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8T06:30:00Z
[✍️정식 전 토양 수분 관리]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8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정식 전 토양 수분 관리>입니다.
🔻토양수분 적정 범위와 관리
• 토양수분이 포장용수량의 60~80%가 적당
- 40% 이하면 건조하므로 즉시 관수 필요
-80% 이상이면 과습으로 뿌리 생육이 나빠질 수 있음
• 관수는 근권 전체가 젖도록 충분한 양을 공급 →1회 급수량은 1㎡당 10~20L 정도
• 관수 방법에는 고랑관수, 점적관수, 미스트관수, 지중관수, 저면관수 등이 있으며, 토양의 물리성(배수성, 보수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
-관수는 일출 직후나 일몰 직전에 하면 증발 손실이 적고 효과적
🔻기상 조건과 관수 주기
• 5~7일 간격으로 관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기상 상황(가뭄, 강우 등)과 토양 상태에 따라 조절
• 가뭄이 심할 때는 관수 주기를 더 짧게(더 자주) 하고, 관수 불가능한 곳은 스프링클러나 비닐 저수장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
🔻보습력 좋은 토양 만들기
• 유기물 관리
-퇴비, 볏짚, 풀 등 유기물을 충분히 공급하면 토양의 수분 보유력이 크게 향상
-유기물은 미생물 활성도 높이고, 떼알구조를 만들어 통기성과 보습력을 동시에 높임
• 퇴비와 석회는 혼합해서 뿌리지 말고, 퇴비를 주기 최소 1주 전에 석회를 뿌려야 질소 유실을 막을 수 있음
• 피복(멀칭) 활용
-관수 직후 비닐, 볏짚, 풀 등으로 토양을 피복하면 수분 증발 억제 가능
-겉흙 긁어주기, 풀·짚 덮기 등도 효과적
-비닐멀칭은 토양 온도 유지와 수분 증발 억제에 효과적이며, 이랑(두둑)은 높게 세워 배수성과 보습력을 동시에 확보 가능
• 토양 구조 관리
-깊이갈이(20cm 이상)와 로터리 작업으로 토양을 고르게 하고, 이랑을 높게 세워 배수와 보습 확보
-토양 내 유기물 증가와 함께 미생물 활성도를 높이면, 장마나 가뭄에도 수분을 오래 유지 가능
• 경사지 및 가뭄 대비
-경사지에서는 분무기 노즐을 빼고 호스로 직접 관수하거나, 비닐 저수장 설치 등으로 가뭄 대비
• 지온(토양 온도) 관리
-정식 전 밑거름, 석회, 퇴비를 넣고 토양수분을 촉촉하게 한 뒤 경운하면 토양 온도 상승 효과
-비닐멀칭과 이중터널 등으로 토양 온도를 20℃ 이상으로 유지하면 뿌리 활착과 초기 생육에 유리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24
398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7T06:30:00Z
[✍️폐자재·농약병 분리 수거 요령]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폐자재·농약병 분리 수거 요령>입니다.
🔻폐자재·농약병, 왜 따로 버려야 하나요?
- 농약병, 비닐, 농사용 자재류는일반쓰레기로 버리면 환경오염과과태료 대상
- 남은 농약은 토양·수질 오염 유발
- 폐비닐 등 농업 폐자재는 재활용 가능하므로 따로 수거해야 함
🔻농약병, 이렇게 처리하세요
[빈 병일 경우]
- 내용물 완전히 사용 후물로 3번 이상 씻기
- 마을 쓰레기 수거장에 있는폐농약용기 수거함에 배출
- 자세한 수거함 위치 및 수거내용은지자체 환경부서에 문의
[농약이 남아 있다면?]
- 지역 농약판매소·농협 등 폐농약수거 장소로 반드시 반납
- 절대 일반 쓰레기나 하천에 폐기 금지,땅에 묻는 행위는 불법
- 자세한 수거함 위치 및 수거내용은지자체 환경부서에 문의
🔻폐비닐·멀칭비닐, 이렇게 처리하세요
- 사용 후에는 흙과 이물질 제거
- 수거일에 맞춰 지정 장소 배출(각 시군마다 다름, 지자체 환경부서에문의)
- 재활용 가능한 비닐만 보상 대상이므로흙이 많이 묻었거나 농약에 오염된비닐은 분리 필요
🔻폐농자재(끈, 플라스틱) 자재는?
- PP끈, 방수천, 파이프 등은생활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음 → 마을 폐기물 분리 수거일에 따로 배출
- PVC 파이프, 농사용 플라스틱 통 등은대부분 전문 수거업체 또는 면사무소문의하면 처리 안내 가능
🔻수거 보상 제도도 있어요
- 일부 지역은 폐비닐, 농약병 수거 시보상금 지급 → kg당 50~300원 수준(지자체별 상이)
- 농민회원 등록된 경우 자동 포인트적립되는 지자체도 있음
- 마을 단위로 수거할 경우 이장님이 일괄 접수하는 경우도 많음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
27
457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6T06:30:00Z
[✍️황사&미세먼지 농사 대책]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4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6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황사&미세먼지 농사 대책법>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광합성 저하: 먼지가 잎 표면을 덮어광합성 효율이 낮아짐
산성물질 흡착: 황산화물 등 유해 성분이식물 조직에 흡수되어 생육 저하
작물 병해 유발: 병원균이나 해충의 이동경로로 활용되며 병해충 피해 증가
*상추, 시금치, 고추 같은 잎채소류가 특히 민감
🔻노지재배 - 대응법
1. 작업 일정 조정
- 황사/미세먼지 예보가 나쁨 이상일 경우 → 이식, 정식, 약제살포, 비료주기 등중요한 작업은 연기
- 미세먼지 속 중금속이 잎에 흡착되면 약효 저하 가능
2. 살수작업으로 잎 세척
- 황사 직후 엽면 세척 살수: 광합성 회복에 도움
- 특히 잎채소(상추, 열무, 시금치 등)는 필수
- 분무기보다는 미세 물방울 살수장치 추천 (과한 물줄기는 오히려 잎 손상 위험)
3. 작물 보호 덮개 설치
- 간이 비가림막, 부직포, 방풍망 등을 활용해 잎 표면 직접 노출 방지
- 설치 시 통풍은 유지해야 병해를 줄일 수 있음
4. 옆면시비 자제
- 먼지가 잎을 덮고 있으면 엽면비료 흡수율↓
- 엽면시비는 비온 후나 깨끗한 날 진행
🔻시설하우스 - 대응법
1. 외부 공기 차단
- 환기창, 출입문 등에 미세먼지 차단망 설치
- 황사 심한 날은 자동 환기 시스템 OFF
- 출입 시 에어커튼, 매트, 소독수 도포 등으로외부 오염물 차단
2. 내부 공기 질 관리
- 미세먼지용 공기정화기 또는 팬 설치 시 효과 있음 (HEPA 필터 사용 제품 추천)
- 이산화탄소 농도 주의: 환기량 줄이면 광합성 저하 우려 → 일정 시간마다 부분 환기 또는 이산화탄소측정기 병행
3. 작물 세척 및 점검
- 황사 직후 작물 표면에 황사 침착 여부 점검
- 묻은 경우에는 물 분무로 세척
- 작물 잎 가장자리에 갈변, 위축이 생기면영양 결핍 또는 흡수 장애 가능성 → 생리장해 의심
4. 작물 스트레스 완화
- 황사 후에는 작물이 일시적 생육 정지 상태
- 아미노산제제, 칼슘제, 해조추출물 등을 활용한활력 회복 처리 추천 → 단, 엽면 상태 깨끗할 때 사용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
22
424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5T06:30:00Z
[✍️도구별 잡초 제거 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5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도구별 잡초 제거 방법>입니다.
🔻잡초는 왜 제거해야 할까?
잡초는 작물과 햇빛, 물, 영양분을 경쟁하게 만들고 해충이나 병해의 서식처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잡초가 빠르게 번식하기 때문에 초기에 잘 관리하는 것이 연중 작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도구별 잡초 제거 방법
1) 호미 (손호미, 제초용 호미)
• 뿌리 가까이 호미를 넣어 뽑아내며, 넓은 면적보다 좁은 곳에 적합함
• 장점: 뿌리까지 뽑을 수 있으며, 작물 근처 조심스러운 작업이 가능
• 단점: 넓은 면적 작업시 노동 강도가 큼
2) 예초기
• 회전 칼날로 풀을 잘라내며, 넓은 면적이나 과수원 등의 사용이 적합
• 장점: 빠르게 넓은 면적 처리가 가능
• 단점: 풀을 자르기만 하기 때문에 재성장 가능성이 있고, 돌이나 장애물에 의한 사고 위험이 있음
3) 제초기
• 땅을 갈아 엎어 잡초를 뽑거나 묻어버림
• 장점: 밭 규모가 큰 경우 효율적이며 토양 통기성이 좋아짐
• 단점: 기계값 및 유지비가 들고, 작물 사이 좁은 간격 작업이 어려움
4) 제초제
• 제초제(약물)을 희석하여 살포하는 방법
• 장점: 빠르고 큰 면적에 효과적임
• 단점: 작물에도 피해가 갈 수 있으며, 내성이 생기면 효과가 감소함
5) 멀칭
• 작물 주변에 덮개를 씌워 햇빛을 차단해 잡초 성장을 억제 시킴
• 장점: 잡초 억제와 수분 유지에 좋음
• 단점: 초기 비용 및 설치 시간이 들고, 비닐의 경우 쓰레기 처리 문제가 있음
🔻봄철 잡초 제거 유용한 방법
• 잡초가 자라기 시작할 때 제거하면 뿌리가 깊기 전이기 때문에 제거가 쉽고 재성장도 줄어듬
• 날이 따뜻해져 씨앗이 발아하기 전 미리 제거하거나 멀칭을 해두는 것이 좋음
• 작물의 생육 초기에는 뿌리가 활착하기 전이라 약하므로 제초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기계나 수작업을 추천
• 1년생 잡초와 다년생 잡초의 생육 특성이 달라 제거 시기와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을 찾는 것이 좋음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1
470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4T06:30:00Z
[✍️토양 전염병 알아보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4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토양 전염병 알아보기>입니다.
🔻토양 전염병이란?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병해로,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속의 다양한 병원균들은 작물의 뿌리등을 통해 침입하여 작물 전체에 피해를 주며 한번 발생하면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예방이 중요합니다.
🔻토양 전염병이 생기는 이유
• 연작: 같은 밭에서 동일한 작물을 반복 재배하면 병원균이 축적되어 원인이됨
• 배수 불량: 물 빠짐이 나쁘면 뿌리가 약해지고 병균이 침입하기 쉬움
• 유기물 과다/불균형: 발효되지 않은 퇴비 등은 병균의 서식처가 될 수 있음
• 감염된 묘 사용: 묘 자체에 병원균이 있으면 이식 후 빠르게 확산됨
• 이 외 장화, 농수로 등으로 병원균이 옮겨질 수 있음
🔻주요 토양 전염병과 증상
• 시들음병: 갑자기 잎이 시들고 뿌리나 줄기 내부가 갈색으로 변함
• 역병: 뿌리나 줄기가 썩고 식물이 쓰러짐
• 모잘록병: 싹이 난 후 줄기가 썩어 쓰러지
• 검은썩음병: 뿌리가 검게 썩고 생육불량 발생
• 선충 피해: 뿌리에 혹이 생기고 작물이 잘 자라지 않음
🔻토양 전염병 예방법
• 윤작: 같은 작물은 최소 2-3년간 연속 제배하지 않으며, 병에 강한 작물로 바꿔 심으면 병원균 밀도가 낮아짐
• 소독: 여름철 투명 비닐을 덮어 1-2개월 방치해 태양열로 고온 살균을 하거나 약제를 사용하여 토양을 소독함
• 배수 관리: 고량을 깊게 만들거나 물 빠짐이 좋은 토양 구조를 유지함
• 품종 선택: 토종이나 병에 강한 개량 품종을 선택하거나 자가육모시 소독한 상토와 깨끗한 물을 사용
• 이 외 농기구나 장화는 염소계 소독제나 태양광에 말려 병원균을 제거합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28
549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3T06:30:00Z
[🎓4월 2주차 쪽지 시험]
오늘은 쪽지 시험을 풀며 한 주 동안 올라왔던 매일농사공부를 복습하는 시간입니다.
🔎쪽시 시험 참여 방법
- 시험범위는 한 주 동안 공부한 내용입니다.
- 보기에 설명이 '맞으면 O, 틀리면 X'라고 댓글에 달아주세요!
- 예시) 1번 O, 2번 X
🔎오늘의 시험
1. 고온성 작물은 멀칭이 필요한 작물로, 고추, 토마토, 수박, 참외 등이 있다? (O/X)
2. 트랙터는 대규모 농지에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깊이갈이를 통해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O/X)
📢정답 및 해설은 월요일 4시에 공개됩니다.
공부 열심히 하셔서 꼭 만점 받으세요!
29
421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2T06:30:00Z
[✍️염화가리와 황산가리의 차이점]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0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2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염화가리와 황산가리의 차이점>입니다.
🔻염화가리와 황산가리
• 염화가리와 황산가리는 식물 생장에 필수적인 칼륨을 공급하는 대표적인 비료
-칼륨이 부족하면 잎의 황변화, 마름 현상, 줄기 약화, 과실 품질 저하가 발생
• 염화가리
-염소와 칼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용성이 매우 높아 작물에 빠르게 흡수됨
-빠른 칼륨 공급이 필요하거나 염소 성분에 덜 민감한 작물에 주로 사용
-대량 공급과 단기적으로 빠른 효과를 목표 할 때 사용 → 염소 성분의 축적은 염류장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염류장해가 발생하면 비료 성분이 토양에 축적되어 작물의 뿌리가 수분과 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 발생 가능
-물 빠짐이 좋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고온기에는 염류 농도가 높아지므로 사용 주의 → 충분한 관수로 염소 성분이 축적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
• 황산가리
-황산과 칼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염소가 없으므로 염소 피해가 발생하지 않음
-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황 결핍 해소에 도움을 주며, 산성화 효과가 적어 토양에 부담이 덜함
-염소 성분이 없는 황산 가리는 감자나 포도와 같이 염소에 민감한 작물에 주로 사용되나, 비교적 가격이 높음
🔻염화가리와 황산가리 작물별 사용
• 염화가리는 벼, 밀, 보리 등 맥류, 옥수수, 사탕무, 사탕수수, 유채와 같은 작물에 사용
• 황산가리는 감자, 고구마, 상추, 시금치, 배추, 담배, 인삼, 마늘과 양파에 주로 사용
• 시설 재배나 연작지에서는 염류 장애가 생길 수 있어 고추 환경에서는 황산가리가 더 안전한 선택
• 배추는 염류에 어느 정도 강하지만, 시설 재배나 염류 축적이 쉬운 환경에서는 황산가리 사용이 더 좋으며, 이는 잎 품질과 미네랄 흡수에 도움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혹은 더 궁금한 “농작업 방법”을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34
498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1T06:30:00Z
[✍️ 뿌리해충 방제법 총정리]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9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뿌리해충 방제법 총정리>입니다.
🔻뿌리해충의 종류와 특징
• 뿌리파리: 화분 위를 날아다니는 작은 검은색 날파리, 유충이 뿌리 피해
• 선충: 토양 속 서식, 뿌리에 직접 피해를 주는 해충
• 국내 시설재배지 50% 이상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
🔻주요 방제 방법
• 토양 소독
-물리적: 담수, 열 소독(태양열, 증기)으로 친환경적 방제
-화학적: 네마킥 등 전문약제로 정식 전 토양 처리
• 유인 트랩
-노란색/파란색 끈끈이 트랩으로 성충 포획
-끈끈이주걱(식충식물) 활용 가능
• 토양 관주제
-화학 관주제: 저독성 농약 희석 후 토양 관수
-천연 관주제: 과산화수소수 등 활용 (효과는 제한적)
• 주요 농약 종류 및 특징
• 캡틴 (접촉독, 신경저해)
-총채벌레, 나방 애벌레, 굴파리 등 다양한 해충에 효과적이며, 뿌리파리의 경우 물에 희석하여 흙에 부어 사용
• 제라진 (접촉독, 신경교란)
-나방 애벌레, 굴파리 등 해충 방제에 적합하며, 뿌리파리 유충 방제에도 효과적
• 선충탄 (침투이행, 접촉독)
-뿌리파리와 선충을 타겟으로 한 농약으로, 흙 속에서 기생하는 유충을 방제
• 매치 (접촉독, 유충표피형성저해)
-유충의 표피 형성을 저해하고 번식 과정을 방해하여 효과적으로 방제
• 데푸콘 입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 유기인계)
-저독성 살충제로 뿌리응애와 고자리파리를 포함한 토양 해충 방제에 효과적. 잔류 우려가 적고 약효가 오래 지속
🔻예방 관리 팁
- 새 식물 구입 시 격리 관리
- 봄/여름철 유기질 퇴비 시비 자제
- 통풍/배수 관리 철저
- 흙 표면 멀칭(화산석, 마사토, 모래)
- 화분 받침 물 고임 방지
🔻통합 방제 전략
- 정식 전 토양 소독
- 생육 중 관주 처리
- 천적(마일즈응애) 활용
-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방제 병행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혹은 더 궁금한 “농작업 방법”을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5
448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10T06:30:00Z
[✍️ 봄 가뭄 주의보, 물관리 이렇게 하세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8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10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봄 가뭄 주의보, 물관리 방법> 입니다.
🔻4월, 왜 물관리에 주의해야 하나요?
- 최근 봄철 가뭄 상습화: 3~5월은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은 경향
- 4월은 작물 생육 시작 시기로 수분 스트레스 영향이 큼
- 논은 모내기 전 물가두기, 밭은 파종·정식 직후 수분 부족 시 큰 피해
🔻밭작물 관수 요령 - 시기와 양 조절이 핵심
[정식 직후~활착기 (10일 내외)]
- 지표면 5cm가 마르기 전 관수 필요
- 오전 9시 이전 또는 해질 무렵에 물 주기(증발량 최소화)
[주요 작물별 수분 민감도]
- 고수분 필요: 상추, 오이, 고추
- 과습 주의: 마늘, 양파, 감자
[관수 간격]
- 점적관수: 매일 소량 | 고랑관수: 3~5일 간격
- 스프링클러: 주 1~2회 (토양상태 확인 필요)
🔻논물관리 - 모내기전 준비사항
- 4월 말~5월 초 모내기 전 물가두기 어려운 논에 대비 필요
- 물길 정비, 논두렁 점검 → 누수 방지
- 대체수원 확보: 하천, 농업용 저수지, 관정 점검
✔ 논에 물 못대는 경우 대책
- 육모판 양성 시 관비병행(물을 비료와 같이 공급)
- 물대기 어려운 논은 직파보다는 육묘 이앙 추천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0
421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9T06:30:00Z
[✍️ 4월 일교차, 작물 피해 막는 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4월일교차, 작물 피해 막는 법> 입니다.
🔻왜 4월이 위험한가?
- 4월은 낮 기온은 올라가지만 아침 저온·일교차(15도 이상)가 크고 복사냉해로 인해 작물 피해 발생이 잦은 시기입니다.
- 특히 모종 정식 직후 또는 과채류 초기 생육기에 피해 발생률이 높습니다.
🔻노지재배-주의사항과 대책
[주요피해]
- 정식한 모종이 저온·바람에 노출되어 생육 정지 또는 고사
- 고랑 내 습기와 복사냉해로 근권부 저온 피해
[예방법]
- 정식 시기 조절: 지역별로 최저기온 10도 이상 안정된 후 심기
- 부직포·비닐멀칭으로 보온 + 지온 유지
- 해질 무렵 관수 금지 → 야간 지온 하락 유도
- 정식 직후 간이 터널 설치 (비닐터널, 부직포 활용)
🔻시설재배-주의사항과 대책
[주요피해]
- 온도 급변 시 과채류(토마토·고추 등) 생리장애
- 이슬점 이하 기온 → 결로 → 곰팡이병 발생
- 햇빛 강한 날 낮에 고온 피해까지 겹침
[예방법]
- 야간 온도 13~15℃ 이상 유지 (히터, 열풍기, 보온커튼)
- 온도 자동제어 or 수동 환기 관리: 일출 직후부터 점진적 환기
- 이중 비닐/보온 덮개는 낮에 제거, 밤에 덮기
- 습도 조절을 위해 환기 + 토양 수분 과다 방지
🔻과채류 모종 정식 시 주의작물
수박, 참외, 오이, 가지, 고추
→ 정식 후 저온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
→ 잎 변색, 뿌리 활착 불량, 생장 지연
✔ 모종 선택 시 팁
- 육묘기간 30~40일 내외
- 엽색 짙고 잎이 5~6매
- 줄기 굵고 병해충 피해 없는 것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0
444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8T06:30:00Z
[✍️봄철 멀칭 작업 알아보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6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8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멀칭 작업에 대해 알아보기>입니다.
🔻봄철, 멀칭 작업을 하는 이유
아침 저녁은 아직 서늘하지만, 낮은 따뜻한 봄철, 불안정한 환경을 보완하고 작물을 생육을 도와줍니다
• 지온 유지 및 상승: 땅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작물이 빨리 자리를 잡도록 돕습니다.
• 수분 증발 방지: 토양의 수분을 보호하여 물 주는 횟수를 줄입니다.
• 병해 예방: 빗물 튐이나 흙 튀김등으로 인한 병원균 전파를 줄입니다.
🔻봄철 멀칭 작업의 장점
• 생육 촉진: 기온이 일정 유지되며 뿌리 발달이 빠르고 생육 속도가 증가합니다.
• 수확 시기 단축: 초기 생육이 빠르면 수확 시기도 앞당겨집니다.
• 노동력 절감: 잡초 제거, 물주는 작업 등 반복적인 일을 줄여줍니다.
• 작물 품질 향상: 흙에 닿지 않아 과일류는 깨끗하고 뿌리 작물은 곰팡이 덜 낍니다.
🔻멀칭이 필요한 작물과 환경
• 고온성 작물: 고추, 토마토, 수박, 참외, 오이 등
• 뿌리 작물: 감자, 당근, 무, 마늘 등 (뿌리가 토양에 닿지 않기 위해)
• 관수 관리가 어려운 밭은 멀칭을 통해 수분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잡초가 많은 밭 또한 멀칭을 통해 햇빛을 차단하여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멀칭을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잎채소류: 상추, 시금치, 쑥갓 등은 지온보다 환기와 수분이 더 중요 합니다.
• 저온성 작물: 봄철 온도가 이미 적당한 작물에는 오히려 과열 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 해보세요!
멀칭은 단순히 비닐을 덮는 작업이 아니라 토양 조건, 작물 특성, 기온의 흐름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 따뜻한 날씨가 빨리 오는 해는 투명 비닐 대신 흑색 비닐
• 습한 환경에서는 비닐을 하지 않고 왕겨멀칭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혹은 더 궁금한 “농작업 방법”을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32
463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7T06:30:00Z
[✍️봄철 필수 밭갈기 끝내셨나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밭갈기 작업 파헤치기>입니다.
🔻밭갈기 작업을 하는 이유?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작물이 뿌리를 내리기 쉽게 만들어줌
• 흙 속의 공기와 수분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작물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조성함
• 땅속에 남아 있는 잡초의 뿌리와 해충을 줄여줌
• 봄 철 기온이 낮을 때 밭을 갈아주면 햇볕이 토양속으로 스며들어 적정한 온도가되어 작물의 초기 생육에 도움이 됨
🔻밭갈기 작업을 하지 않으면?
• 단단한 토양으로 인해 작물의 뿌리가 자라는데 방해가 됨
• 배수의 불량으로 습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잡초와 해충이 자라기 좋은 환경이 됨
🔻밭갈기 작업 도구의 장단점
1) 소농기구를 이용한 수동 작업
• 괭이, 삽, 쟁기 등을 사용한 방법으로 주로 작은 규모의 텃밭이나 좁은 공간에 적합합니다.
• 장점: 토양을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고, 기계 사용 비용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단점: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깊은 밭갈기가 어렵습니다.
2) 소형 관리기 사용
• 소형 경운기, 관리기를 사용한 방법
• 장점: 수동 작업보다 빠르고 효율 적이며, 비료 혼합 및 로터리 작업이 가능한 모델이 있습니다.
• 단점: 기계 구입 및 유지 비용이 발생하며 깊이갈이(심경작)가 어렵습니다.
3) 트랙터를 이용한 로터리 작업
• 트랙터에 로터리를 장착한 방법
• 장점: 대규모 농지에서 신속하게 작업이 가능하며 깊이갈이를 통해 식물의 뿌리가 잘 자랄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 단점: 기계 사용 비용이 높고 좁은 공간에서는 작업이 어렵습니다.
🔻밭갈기 작업 이후에는?
밭갈기 작업이 끝난 후에는 밭을 정리하고 씨앗을 뿌릴준비를 해야 합니다. 두둑을 만들고 비닐 멀칭, 씨앗 파종 또는 모종 심기, 병해충 관리가 이어지게 됩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혹은 더 궁금한 “농작업 방법”을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
28
451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6T06:30:00Z
[🎓4월 1주차 쪽지 시험]
오늘은 쪽지 시험을 풀며 한 주 동안 올라왔던 매일농사공부를 복습하는 시간입니다.
🔎쪽시 시험 참여 방법
- 시험범위는 한 주 동안 공부한 내용입니다.
- 보기에 설명이 '맞으면 O, 틀리면 X'라고 댓글에 달아주세요!
- 예시) 1번 O, 2번 X
🔎오늘의 시험
1. 석회비료는 작물의 영양흡수를 촉진시키고 중금속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O/X)
2. 새순의 칼슘이 결핍되면 마른 종이처럼 끝이 말라가고 갈색으로 변색된다? (O/X)
📢정답 및 해설은 월요일 4시에 공개됩니다.
공부 열심히 하셔서 꼭 만점 받으세요!
30
386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5T04:30:00Z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조절]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5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조절 > 입니다.
🔻영양생장
• 뿌리, 줄기, 잎 등 식물의 몸을 키우는 단계
• 줄기가 길어짐, 잎 무성함, 키큼
• 질소(N)과다시 영양생장이 과도해짐
• 잎과 줄기 성장이 집중하면 열매는 절게 맺음
• 주야간 온도 편차 5도보다 작으면 영양생장 강해짐
🔻생식생장
• 꽃이 피고 열매나 씨앗을 맺는 생장 단계
• 꽃눈 형성, 개화, 착과, 결실
• 인(P), 칼륨(K) 균형이 중요
• 잎은 줄고, 꽃과 열매 성장에 집중하게 됨
• 주야간 온도 편차 5도보다 크면 생식생장 강해짐
🔻작물 시기별 성장
• 초반 생육기 : 영양 생장에 집중하여 뿌리와 잎키우기 집중
• 개화기 이후 : 생식 생장에 집중하여 열매 키우기에 집중
🔻예시로 알아보기
• 토마토, 고추, 참외 등 과채류
-영양생장이 지나치면 열매 없이 잎만 무성
-질소를 조절하고, 칼륨을 보강할 필요 있음
• 사과나무
- 이듬해 열매 성장 유도하려면 올해 꽃눈 형성을 위한 생식 생장 유도가 중요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7
412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4T06:30:00Z
[✍️ 열매가 잘 열리는 꽃눈 관리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4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열매가 잘 열리는 꽃눈 관리방법> 입니다.
🔻나무의 눈이란?
• 나무의 눈 구분
-꽃이 될 ‘꽃눈' : 둥글고 통통하며 붉은빛
-잎이 될 ‘잎눈' : 길고 뽀족하며 연둣빛
• 나무의 습성 파악하기
-과일나무별로 꽃눈의 종류가 다름
-나무별로 습성을 알아 가지치기해야함
-꽃눈 관리에 따라 열매 달림이 결정됨
🔻 작물별 꽃눈 & 관리법
• 순정꽃눈
-꽃만 피고 잎은 없음
-가지 끝에서 3~4개 연속으로 달림
-작년에 자란 가지의 끝부분에 꽃과 열매 집중
예시 : 비파, 블루베리, 살구, 자두, 앵두 등
-✂️가지치기
끝부분을 자르면 열매 맺을 꽃눈이 사라짐→ 반드시 끝부분은 자르지 말고 남겨야함
• 혼합꽃눈 (가지 끝)
-예시 : 감, 밤, 감귤류 등
-꽃 + 잎 + 가지 → 3가지가 함께 자람
-전년도에 자란 가지의 끝과 잎겨드랑이에 있음
-봄에 새 가지가 자라고 열매가 맺힘
-✂️가지치기
끝을 너무 많이 자르지 않도록 주의!
• 혼합꽃눈 (가지 중간)
-예시 : 무화과, 키위, 석류, 포도, 베리류 등
-꽃 + 잎 + 가지 → 3가지가 함께 자람
-전년도에 자란 가지에 혼합 꽃눈이 달림
-가지 끝이 아닌 중간에 달림
-✂️ 가지치기
혼합꽃눈이 가지 끝이 아닌 중간에 달림→ 따라서, 끝을 잘라도 열매가 달림
짧은 열매가지도 꽃눈이 있으면 남기기!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4
417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3T06:30:00Z
[✍️ 제초매트 시공실수 원인]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1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3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농제초매트 시공실수 원인> 입니다.
🔻 제초 매트란?
-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을 보호하기 위해 땅 위에 덮는 특수 천 또는 시트형 자제
- 햇빛을 차단해 잡초가 광합성을 하지 못하도록 막음
🔻 시공실수 1) 핀 고정이 부족한 경우
- 문제 : 잡초가 매트 틈새로 올라오거나 매트 사이에 공간이 생김
- 해결책
> U자 고정핀을 최소 1m간격으로 촘촘히 설치
> 모서리와 겹침 부위는 추가 고정 필수
> 돌멩이나 흙뿌리기로 마무리해 들뜸 방지
🔻 시공실수2) 자재 겹침 부족
- 문제 : 매트 연결 부위 사이에서 잡초 올라옴
- 해결책
> 겹침 최소 20cm 이상 유지
> 겹침 방향을 빗물 흐름 반대로 시공
> 연결 부위에 실리콘 실링제 또는 생분해 테이프 사용
🔻 시공실수3) 시공 전 제초작업 생략
- 문제 : 멀칭전에 잡초 씨앗이나 뿌리가 있으면, 빛은 차단되나 습도와 온도가 높아져 발아가됨
- 해결책
> 멀칭 전 반드시 제초작업 + 뿌리 제거 작업 필수
> 뿌리 깊은 잡초는 제초제 사전 살포 병행
> 유기물 및 씨앗 덩어리가 많으면 멀칭 대신 볏집 사용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57편 [효과적인 제초제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g0MjI0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23
432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2T06:30:00Z
[✍️ 농약 얼룩 원인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0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2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농약 얼룩 원인과 예방법> 입니다.
🔻 약흔이란?
- 농약 살포 후 작물의 잎이나 열매 표면에 남는 얼룩, 백색 반점, 희끗한 자국을 이야기함
🔻 약흔이 생기는 원인
- 온도 : 고온 시 농약이 증발하면서 엽면에 남아 결정화되거나 잎 조직에 자극을 줌
- 살포 농도 : 희석비율이 너무 낮거나 고농도 사용 시 잎 표면에 약성 성분이 남음
- 살포 시간대 : 햇빛 강한 오전~한낮에 살포시, 약성+일조 = 잎 조직 손상
- 물의 품질 : 수돗물 내 석회, 염류 등 불순물 많을 경우 → 약제와 반응해 침전물 생김
- 잎의 상태 : 어린 잎, 연한 잎일수록 민감
🔻 약흔 없는 살포 방법
- 혼합시 약제 상성 확인하기 : 상성이 맞지 않으면 침전물 발생, 약효 저하, 약흔 발생
- 살포 시간대를 잘 선택하기 : 이른 아침이나 해 질 무렵에 뿌리기
- 비 온 직후 또는 잎이 젖어 있을 때는 살포 금지
🔻 엽면 보호제 사용하기
- 엽면 보호제 : 잎 표면에 앏은 막을 형성해 약제가 닿는걸 막아줌
- 활용하는 방법
- 살균제 살포 후 약흔이 걱정될 때 : 실리카계 보호제 혼용
- 포도, 고추, 배추 등 엽면이 민감한 작물 : 유기산계 보호제 병용으로 자극완화
- 햇빛 강한 시기, 고온기 살포시 : 보호제와 물을 희석 살포하여 약성 완충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43편 [병농약·영양제 최적의 살포 시간]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c5NzU3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24
425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4-01T06:30:00Z
[✍️ 새순 마름 증상 원인 3가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9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새순 마름 증상 원인> 입니다.
🔻 ”새순이 타들어가요”
- 봄철부터 여름까지 흔히 나타나는 문제
- 새순이 타들어가는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문제의 원인은 전혀 달라 잘 대응해야함.
🔻 원인1) 칼슘 결핍상황
[증상 위치]
- 잎 끝부터 마르며 주로 어린 새잎, 새순위주로 발생
- 마른 종이처럼 끝이 말라가고 갈색으로 변색
- 잎이 뒤틀리거나 기형적으로 자람
[발생 원인]
- 건조한 토양이나 고온의 기온
- 뿌리 활착이 안된 경우
[해결 방안]
- 칼슘 엽면 시비
- 관주용 칼슘제 & 수분 관리 병향 필수
🔻 원인2) 건조or과습한 상황
[증상 위치]
- 잎 가장자리or새순 전체가 말라감
- 건조할 경우 : 잎이 시들었다가 퍼졌다 반복
- 과습할 경우 : 뿌리 썩으며 수분 이동 불가하여 위쪽 마름
[발생 원인]
- 물 주는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거나 배수 불량 토양
- 갑작스러운 고온과 바람
[해결 방안]
- 토양 수분 균일하게 유지
- 관수 직후 과습 방지 배수 확보
🔻 원인3) 역병 초기 증상
[증상 위치]
- 새순, 줄기 윗 부분에서 한쪽만 급격히 시들어감
- 물 빠진 것처럼 축 처지고 검게 변색됨
- 새벽에 괜찮다가 오전 중에 시드는 경우도 있음
[발생 원인]
- 저온 다습한 환경, 통풍 분량
- 토양에 곰팡이 포자가 있는 경우
[해결 방안]
- 역병 전용 약제 살포
- 습도 낮추고 환기 강화
- 병든 부위 즉시 제거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30
453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31T06:30:00Z
[✍️석회비료는 왜 사용할까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3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석회비료의 효과>입니다.
🔻석회비료란?
• 칼슘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로 산성토양을 개량하여 작물의 영양흡수를 촉진시키고 중금속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
• 탄수화물의 이동을 촉진하여 뿌리 및 잎, 줄기를 강화하고 토양구조 개선하여 공기와 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도움
🔻석회 비료와 궁합이 좋은 비료와 나쁜 비료
1) 궁합이 좋은 비료
• 잘 부숙된 구비(가축의 분뇨와 섞어 발효시키 볏짚) 혹은 인분뇨와 과인산석회를 섞으면 암모니아의 질소 손실을 막을 수 있음
2) 궁합이 나쁜 비료
• 암모니아태 질소비료(황산암모늄)와 화학적 염기성 비료(용성인비, 석회질소, 소석회, 탄산석회)를 섞으면 암모니아가 손실됨
• 질산태 질소비료(질산암모늄, 질산소다)와 화학적 산성비료(과인산석회, 중과인상석회)를 섞으면 질산태 질소가 손실됨
• 수용성 인산이 많은 비료(과인산석회, 중과인삭석회)와 석회나 재와 같은 염기성 비료를 섞으면 인산이 불용선으로 변함
🔻석회 사용 주의 사항
• 석회는 흙을 단단하게 만드는 특성이 있으므로 잘 섞어 주지 않으면 땅이 굳어질 수 있음
• 칼슘이 빗물에 쉽게 씻겨 나갈 수 있으므로 한 번에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함
• 칼슘은 가물거나 기온이 높으면 흡수가 어렵기 때문에 제대로 흡수가 되지 않거나 과다한 사용으로 토양이 알칼리성으로 변한 경우에는 아연(Zn)과 망간(Mn)을 잎에 직접 뿌려주는 것이 효과적
✍️매일농사공부 4탄 88편 [석회 시비법 알아보기]도 같이 복습해보세요!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
29
390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30T06:30:00Z
[🎓3월 5주차 쪽지 시험]
오늘은 쪽지 시험을 풀며 한 주 동안 올라왔던 매일농사공부를 복습하는 시간입니다.
🔎쪽시 시험 참여 방법
- 시험범위는 한 주 동안 공부한 내용입니다.
- 보기에 설명이 '맞으면 O, 틀리면 X'라고 댓글에 달아주세요!
- 예시) 1번 O, 2번 X
🔎오늘의 시험
1. 봄철 이후부터 탄저병 예방 약제를 뿌려 병 발생을 차단한다? (O/X)
2. 가지나 줄기의 윗부분에 가까운 잎에서 흡수율이 높으며, 어린잎은 성옆보다 흡수가 빠르다? (O/X)
📢정답 및 해설은 월요일 4시에 공개됩니다.
공부 열심히 하셔서 꼭 만점 받으세요!
53
412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29T06:30:00Z
[✍️ 요소 비료 사용 시 주의사항]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요소 비료 사용 시 주의사항> 입니다.
🔻요소 비료란?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질소 비료로, 기초적이면서 가장 강력한 질소 비료
• 약 46% 질소 함량으로 가장 고농도의 질소 비료
• 백색의 입상 형태 (수용성)이지만 가끔 황색 코팅형도 있음
• 수분에 잘 녹아 관주 / 엽면시비 모두 가능
-수분이 있는 조건에서 암모니아로 전환되어 작물이 흡수
-생육 초기, 회복기에 사용하면 빠르게 반응하며, 높은 질소 함량에 비해 저렴한 편
-단, 과다 사용 시 잎만 무성하거나 병해 민감, 저장성 저하 같은 피해 증상이 나타남
🔻 요소 비료 사용 시 주의사항
• 비대기 이후 ~ 수확기
-질소가 많으면 작물의 성숙 지연 + 비대/착색/당도 혹은 저장성 저하
-예: 감자,마늘,양파, 과수 등은 질소 끊는 시점이 중요
• 과다한 질소 축적 상태인 경우
-이미 잎이 짙은 녹색이고 무성할 때 요소를 추가하면 병해 + 연약한 조직
-총채벌레, 노균병 등 발생 위험 급증
• 건조한 날 (바람이 많이 불 때), 고온일 때, 물을 안주고 시비할 경우
-요소는 수분이 있어야 효과가 발생 → 가스로 인한 피해, 손실, 뿌리에 농도장해 유발 가능
• 석회, 생석회와 동시 사용할 경우
-pH 상승 + 암모니아 휘발할 경우 비료 손실 심각 → 최소 2주 정도의 시차 두고 시비 필요
• 햇빛 강한 날 엽면시비 할 경우
-고온 + 고농도 요소 → 잎 태움 (비료 화상) 발생
-엽면 시비는 500배 ~ 1,000배 희석 + 이른 아침, 저녁에 살포
• 저온 + 토양 미활성 상태인 경우
-뿌리 흡수력이 떨어져서 요소 비효율 + 축적 위험 (예: 2월 해동 직후)
🔻 잦은 가스 피해 조심
• 요소 비료 사용 시 가스 (암모니아, NH3)가 발생 → 비료 손실이 크고 식물에 가스 피해
-25℃ 이상 고온일 경우
-바람이 많이 불 경우
-건조한 땅에 뿌리고 물을 안 줄 경우
-표면 시비만 하고 흙에 섞지 않은 경우
-토양 pH가 7.5이상 높을 경우
• 가스 피해 줄이는 방법
-요소 뿌린 후 바로 물 주기 ( 혹은 비 예보 활용)
-흙 속으로 10cm 이내 살짝 섞기
-흐린 날, 서늘할 때 시비
-시비 후 1~2일 간 하우스 환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4탄 117편 [요소-유안 비료 차이점 알아보기]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g1ODcz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52
605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28T06:30:00Z
[✍️ 높은 당도를 위한 유황가리고토 사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4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8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높은 당도를 위한 유황가리고토 사용법> 입니다.
🔻유황가리고토란?
• 칼리 22%, 고토 18%, 유황 22%로 구성된 수용성 천연 광물비료
• 시비 후 서서히 분해되어 작물의 흡수율을 높이며 품질향상 및 수량증대에 도움을 주는 비료
-모든 작물에 필요한 칼리, 고토, 황 성분을 작물이 흡수하기 쉬운 수용성 형태로 공급
-황 성분(22%)이 포함되어 있어 냉해, 설해,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줌
-다른 비료와도 자유롭게 배합 사용 (예: 요소 + 유황가리고토 / 요소 + 염화가리 + 유황가리고토)
-염류집적이 가장 적은 이상적인 흙살리기용 고급 칼리비료로, 염소에 민감한 작물에 효과가 좋음
🔻입상과 분상의 차이점?
• 분상: 가루형태로 마치 모래와 같이 가는 형태로, 친환경 농사에 많이 사용하는 비료
• 입상: 분상을 뭉쳐 알갱이 형태로 만든 형태로, 땅에 뿌리기 편함
🔻유황가리고토 사용법
• 일반 칼리비료와 동일하게 사용
-단, 칼리성분이 함류된 복합비료를 사용할 때에는 시비된 칼리 성분량을 감하여 시비
• 토양관주와 엽면살포 가능
-수용성 광물비료로 물에 녹여 토양관주와 엽면살포 가능 → 과채류, 과수류 등 모든 밭작물에 활용
• 황산가리와 차이점
-황산가리는 일반 농사를 위한 비료로, 다양한 암석을 포함하지만 물에 잘 녹고 유기농에는 사용 불가
-두 비료 모두 황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황가리고토 염수 함량이 2.5% 낮아 염류 집적을 덜 시킴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68편 [칼륨 비료의 모든 것]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Q5ODgx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51
486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27T06:30:00Z
[✍️ 돌발 해충 부하방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돌발해충 부화 미리 방제하기> 입니다.
🔻돌발해충 부화, 예년보다 빨라진다
- 기후변화로 돌발해충 발생이 예년보다 증가하는 추세
- 5월 초부터 월동난 부화 주의 관찰 시작하기
- 초기 에찰 후 약제방제 신속하게 진행하기
- 주요 기주식물 중심으로 방제 범위 확대하기
🔻돌발해충 | 꽃매미
- 포도속(포도, 머루)작물 선호하며, 약충과 성충이 즙을 빨아 먹어 나무 생육을 저하시킴
- 꽃매미 부화 전(3월 무렵)에 나무에서 알 제거하기
- 천적인 꽃매미벼룩좀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갈색날개매미충
- 산수유, 감, 매실 등의 가지에 붙어 즙을 빨아 먹음
- 나무 생육저하하고 그을음병 유발
- 과수나 수목류 새 가지에서 알 제거하기(3월)
- 천적인 갈색날개메미충 알기생봉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미국선녀벌레
- 유충과 성충이 집단으로 즙을 빨아 먹어 생육 저하
- 기주범위가 넓으므로 농경지뿐 아니라, 인근 야산의 나무도 동시에 방제해야 함
- 천적인 선녀벌레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81편 [병해충 잡는 살충제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k0MTg1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28
417
공유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2025-03-26T06:30:00Z
[✍️ 원소 결핍이 잘 발생하는 토양]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6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원소 결핍이 잘 발생하는 토양 조건> 입니다.
🔻칼슘(Ca) 결핍이 발생할 수 있는 토양
- 비가 자주 오는 산성 토양
- 땅이 산성인 경우, 칼슘(Ca)이 더 잘 빠져나가서 작물이 흡수할 칼슘이 줄어들어요
- 경사진 과수원 밭
- 경사면은 빗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칼슘(Ca)유실이 빨라요
- 화학비료를 많이 준 밭
- 비료에 들어있는 산성 성분(황산, 염산 등)이 토양을 더 산성으로 만들어 칼슘 유실을 촉진해요
🔻마그네슘(Mg) 결핍이 발생 할 수 있는 토양
- 채소/과수를 많이 기르는 밭
- 마그네슘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로, 공급 부족시 금방 결핍 증상이 나타납니다.
- 칼륨(K) 비료를 많이 준 밭
- 마그네슘과 칼륨은 서로 경쟁하는 성격이 있어서 칼륨이 너무 많으면 마그네슘 흡수가 방해됩니다.
- 모래땅(사질토), 유기물이 적은 밭
- 마그네슘이 머무를 수 있는 힘이 약한 흙으로, 쉽게 빠져나가고 작물이 흡수를 못해요.
🔻철(Fe) 결핍이 발생 할 수 있는 토양
- 알칼리성 토양
- 철이 뿌리가 흡수할 수 없는 형태로 변합니다.
- 흙이 건조하거나 염류가 많은 땅
- 물이 부족하면 뿌리가 철을 빨아드릴 수 없어요. 또한 염류가 많으면 철의 흡수 장해가 발생해요.
- 인산 비료를 많이 준 경우
- 작물 체내에서 철과 인산이 결합하면, 철이 식물 전체로 이동을 못합니다.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5편 [다량원소 특성과 결핍 증상]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Y3NjIx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22
381
공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