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류집적 진단과 해결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8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염류집적 진단과 해결법> 입니다.
🔻염류 집적 장해란?
• 시설재배지 지표면에 집적되는 염류는 비료 성분 중 작물이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물질들로 물에 쉽게 녹는 염화칼슘, 질산칼슘, 염화칼리 등이 있음
• 물과 함께 표층토로 이동되어 물은 증발, 염류만 백색 결정이 남음
-축분퇴비를 과다하게 넣을 경우 비료성분인 인산과 칼륨이 집적
-비료와 함께 부성분으로 딸려온 염소나 나트륨 함량이 높아 토양의 질이 떨어짐
🔻염류 장해 발생
• 양분불균형에 의한 장해
-비료성분의 과다로 특정 성분의 부족보다는 양분 상호간의 불균형에서 오는 문제가 많음
-암모니아 과잉으로 칼슘의 흡수저해로 칼슘결핍이 발행되는 것도 이에 속함
-교환성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1:2:5 비율로 필수 유지
• 고농도 염류 장해
-비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토양이 장기간 건조되어 토양용액이 농축되면 작물은 염류장해를 받아 수량 감소의 원인이 됨
-작물은 뿌리와 토양용액과의 삼투압 차이를 이용하여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
-뿌리의 농도가 토양용액의 농도보다 높으면 작물은 정상적으로 수분, 양분 흡수 불가하며 뿌리의 수분과 양분이 토양으로 빠짐
🔻토양의 염류집적 진단
• 작물 관찰에 의한 진단
-작물의 생장속도가 둔화되며 장해증상이 발생하지 않아도 20% 정도 수량 감소
-잎에 생기가 없고 심하면 낮에는 시들고 저녁부터 다시 생기를 찾음 → 뿌리가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수분부족 현상
-잎의 색이 진하며 잎의 표면이 정상적인 잎보다 더 윤택이 남
-잎의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림
-과채류의 경우 과실이 잘 크지 못함. 특히 토마토는 과실 표피가 윤택이 나며, 착색이 나쁘고 적색과 녹색 구분이 뚜렷
-장애를 받고 있는 뿌리는 뿌리털이 거의없고 길이가 짧으며, 갈색으로 변함
-시설재배에서는 위와 같은 증상이 불규칙적으로 발생
🔻토양의 염류집적 해결방법
• 토양 관리 방법
-담수제염: 염류농도가 2~3인 시설재배토양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객토: 염류농도가 3~4.5인 시설재배토양에 효과적
-환토: 염류농도가 4.5 이상인 시설재배토양에 권장되는 방법
-토양 뒤집기: 소형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토양을 50~60cm 깊이로 뒤집어 관리
• 작물 재배 방법
-내염성 작물 재배: 옥수수, 수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등 흡비력이 강한 작물을 40~45일 정도 재배하여 집적된 염류를 제거
-중간작물 재배: 토양 내 염류농도를 경감시키는 효과
• 기타 기술적 방법
-킬레이트제 사용: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킬레이트제 이용 기술로 염류집적 해소, 비료 사용량 절감, 작물 수량 증대
-밀기울 토양처리: 토양 내 염류농도를 경감하고 토양 병해충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
-고온온수 소독: 토양 병해충 발생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음
-태양열 토양소독: 다양한 병원균, 해충, 잡초 종자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4편 [염류 해소하는 킬레이트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YzNDkz🎓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