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소비자
추가한 이웃5362명

모임글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봄철 농기계 점검 및 안전관리]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2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2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봄철 농기계 점검 및 안전관리>입니다.

🔻농기계 점검, 왜 중요할까요?
• 농기계 사고의 상당수는 정비 불량이나 조작 미숙으로 발생해요. 철저한 점검은 사고를 예방하는 첫걸음입니다.
• 겨울동안 잠자던 농기계를 제대로 점검해야 제 성능을 발휘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어요.
• 정기적인 관리와 정비는 고가의 농기계를 오랫동안 고장 없이 사용하는 비결입니다.

🔻작업전 필수 점검 사항
1) 엔진 및 주요 부품 상태 확인
• 엔진 오일: 양과 상태(색상, 점도)를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 오염 시 교환해주세요. 사용 설명서의 권장 교환 주기를 참고하세요
• 냉각수: 냉각수 양을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하며, 겨울철 부동액 상태를 점검합니다. 누수 여부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에어클리너: 필터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면 엔진 출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청소하거나 교체해주세요 (건식은 털어내고, 습식은 경유나 등유로 세척)
• 연료필터/탱크: 필터의 이물질을 확인하고 청소 또는 교체하며, 연료탱크 내 수분이나 침전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합니다.
• 배터리: 단자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부식된 경우 깨끗이 닦아주세요. 배터리액이 부족하면 증류수를 보충합니다.

2) 작동 상태 점검
• 타이어: 마모 상태와 적정 공기압(작업 종류 및 기종별 상이)을 확인하고, 볼트/너트 조임 상태를 점검합니다.
• 벨트/체인: 장력(느슨함, 팽팽함)과 마모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조정하거나 교체합니다.
• 작동레버 및 페달: 클러치, 브레이크, 각종 레버의 유격과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부드럽게 움직이는지 점검합니다.
• 유압 시스템: 유압 오일 양을 점검하고 누유 여부를 확인합니다. 작업기(로터리 등) 부착 후 작동 상태를 점검하세요.

3) 외관 및 안전 장치 확인
• 볼트/너트: 기체 각 부분의 볼트와 너트가 풀린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단단히 조여줍니다.
• 윤활: 주요 회전 및 마찰 부위에 윤활유(그리스)를 충분히 주입합니다.
• 안전커버/장치: 회전체 안전커버,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후미등), 반사판 등의 부착 및 작동 상태를 확인합니다.

🔻점검 후 시운전 및 보관 방법
• 모든 점검을 마친 후, 평탄한 곳에서 3~5분 정도 공회전하며 엔진 소리, 배기 가스 색 등을 확인하고, 저속으로 주행하며 작동 이상 유무를 최종 점검합니다.
• 사용 후에는 흙, 먼지 등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세척하여 보관해야 부식을 막고 다음 사용에 편리합니다. 특히 임대 농기계 반납 시 세척은 필수입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3
423
6
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영농 폐자재 처리 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26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28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영농 폐자재 처리 방법>입니다.

🔻영농 폐기물 처리가 중요한 이유?
• 방치되거나 잘못 처리된 폐기물은 토양, 수질,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며, 특히 불법 소각은 미세 먼지를 발생 시키고 산불 위험을 높입니다.
•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영농 폐기물의 불법 소각, 매립, 투기는 금지되어 있으며 위반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대 100만원 이하)
• 산림 인접 지역 불법 소각시 추가 과태료(최대 50만원)가 부과될 수 있으며, 산불 발생시 더 큰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폐비닐 배출 방법
1) 이물질 제거
• 비닐에 묻은 흙, 돌, 작물 잔재를 최대한 털어냅니다.
• 이물질이 많은 경우 수거 보상금이 낮아지거나 수거가 거부될 수 있습니다.
2) 종류별 분리
• 하우스용 비닐과 멀칭용 비닐을 구분해 색상으로 나눕니다.
•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묶거나 포개어 지정된 장소에 배출합니다.
• 재활용 불가 품목: PVC 혼합, 반사필름, 오염이 심한 비닐

🔻올바른 농약용기 배출 방법
1) 내용물 비우기
• 용기 안의 농약을 남김없이 사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합니다.
2) 분리 배출
• 플라스틱, 유리병, 봉지등으로 나누어 구멍이 뚫리지 않은 마대 혹은 그물망에 담아 배출합니다.
3) 주의 사항
• 영양제, 유기농 자재 용기는 폐농약 용기 수거함에 넣지 않고 플라스틱 혹은 유리로 분리 배출합니다.
• 농약은 절대 하천이나 토양에 버리지 않고, 해당 지자체 환경 관련 부서에 문의하여 처리 합니다.

🔻농가를 돕는 제도들
• 수거 보상금: 폐비닐, 폐농약 용기를 공동 집하장에 가져가면 무게나 개수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합니다.
• 집중 수거 기간 운영: 농번기 전후로 지자체에서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 기간을 운영하니 해당 기간을 활용하세요.
• 농업 부산물 파쇄 지원: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파쇄기 대여 또는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니 신청하여 활용해보세요.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56
486
6
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모종 곰팡이 대처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24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26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모종 곰팡이 대처법>입니다


🔻곰팡이가 자주 생기는 작물
• 토마토, 오이, 가지, 피망, 딸기, 상추 등 각종 채소류
-특히 잿빛곰팡이병에 취약하며, 모종 단계나 육묘기, 정식 직후에 곰팡이 피해가 자주 발생
-잿빛곰팡이병은 잎, 줄기, 과실 등 다양한 부위에 발생하고, 습도가 높고 통풍이 부족할 때 심해짐

• 배추, 양배추, 무, 순무 등 십자화과 채소
-작물의 종자나 어린 모종에서 곰팡이성 병(탄저병, 점무늬병, 잘록병 등)이 잘 발생
-특히 관리가 소홀하면 모종이 입고병(잘록병) 등으로 고사하는 일 자주 발생

• 맥류(보리, 밀, 귀리), 벼, 옥수수 등 곡류
-붉은곰팡이병, 흰가루병 등이 맥류와 벼, 옥수수 모종 단계에서 자주 발생
-습한 환경과 잦은 비, 높은 온도에서 곰팡이병 발생이 증가

• 화훼류(장미, 거베라 등) 및 과수(포도, 복숭아, 감귤 등)
-잿빛곰팡이병은 화훼와 과수 모종 및 어린 묘목에도 흔히 나타남


🔻곰팡이 원인 파악 및 환경 개선
• 곰팡이는 습도와 통풍 부족에서 주로 발생 → 모종 주변의 통풍을 충분히 시키고, 과습 피하기
• 저녁 늦게 물을 주거나 하우스 내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


🔻곰팡이 제거 방법
• 곰팡이가 생긴 부위는 신속히 제거
-곰팡이가 핀 잎이나 모종은 바로 떼어내고, 주변도 깨끗이 정리

• 베이킹소다 페이스트 사용
-베이킹소다와 물을 섞어 곰팡이 부위에 20분 정도 바른 후, 브러시로 문지르고 깨끗이 닦아내기

• 과산화수소(3%) 희석액 사용
-분무기에 담아 곰팡이 부위에 뿌리면 소독과 방제 효과가 있음
-곰팡이 감염이 심하면 농도를 2~3배로 높여 사용
-사용 후에는 환기를 시키고, 눈이나 피부에 닿지 않게 주의

• 알코올 희석액: 알코올을 물에 희석해 곰팡이 부위에 분사하면 곰팡이 제거에 도움
-식초, 표백제, 붕사, 과산화수소 등도 곰팡이 제거에 사용. 단, 식물에 직접 닿지 않게 주의


🔻곰팡이 예방 및 관리
• 흙 표면 건조 유지: 흙이 항상 젖어 있지 않도록 하고, 물을 줄 때는 흙이 마른 후에 주기
• 통풍 강화: 선풍기, 환풍기 등을 이용해 공기 순환을 도와줌
• 환경 위생 관리: 모종 주변과 용기, 도구를 청결하게 유지
• 곰팡이 방지 스프레이: 베이킹소다, 과산화수소 등을 이용한 곰팡이 방지 스프레이를 주기적 사용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47
429
8
Farmmorning

관심 작물

고추

고추

벼

감자

감자

정보

경력

5 ~ 10년 미만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