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금정 토마토17268
답변 고수
농민·취미로 소일하는 농부
품앗이 점수4004
추가한 이웃234명

게시글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카이스트의 탄생*

🌲가난한 나라에서 기술대국으로!
이런 사연이 있었네유

최형섭 원장은 미국을 돌며 젊은 과학자들에
게 “조국을 살려달라” 호소했는데 연구 인력을 모으는 것도 한 편의 드라마였다.

초대 원장 최형섭은 미국을 돌며 한인 과학자들에게 호소했다.
그는 돈이 없어 허름한 숙소에 묵으며 조국의 젊은 과학자들의 손을 붙들고 호소했다.

“가난한 조국은 당신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런 정성이 통했음인지 첫해인 1966년 18명이 귀국한 후 1990년까지 영구 귀국한 과학자가 1,000명을 넘었다.

귀국 과학자들은 당시 국립대 교수 연봉의 3배를 받았지만, 그것도 미국에 있을 때의 절반이 안됐다.
그런데도 국내에서는 이들을 흘겨보는 이들도 있었다. 주로 서울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들이었다.
그들은 자신들보다 귀국한 과학자들의 연봉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고 이런저런 경로로 문제를 제기했다.

논란이 일자 박 대통령은 그들의 급여 명세서를
훑어 보았다.
그 후 '이대로 시행하시오!' 라고 지시했다.
훗날 밝혀진 바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날 몇몇 과학자의 연봉이 일국의 대통령인 자신의 연봉보다 높은 것을 알았다고 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그런 것에 전혀 개의치 않았다.

‘이대로 시행하라’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
서울대를 비롯한 국립대 교수들이 제기한
‘형평성 논란’은 잠잠해졌다.

부자 나라 미국에서 과학자들이 이렇게 유출된 역사는 없었다.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은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이 세상에서 제일 부자 나라인 미국을 등지고 한국으로 돌아가고 있다’ 는 사실을 보고받고
“KIST의 재미 한국인 과학자 유치는 세계 최초의 역(逆) 두뇌 유출 프로젝트다”며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

박정희 대통령이야말로 KIST를 살린 인물이라고 평했다.
“대통령께서는 설립 후 3년 동안 적어도 한 달에 한두 번씩은 꼭 연구소를 방문해 연구원들과 대화를 나눠 연구소의 사회적 위상을 높여주었고, 건설 현장에 직접 나와 인부들에게 금일봉을 주는 등 각별한 신경을 써주었다.”
박 대통령은 그뿐 아니라 국가기관의 부당한 간섭도 원천 예방해 주었다고 최형섭 초대 원장은
기록하고 있다.

“청와대에서 열린 KIST 소장 임명장 수여식에서 박 대통령은 ‘예산을 얻으려고 경제기획원에 들락 거리지 마라.’
‘절대로 인사 청탁을 받아들이지 마라.’ 고
당부하셨다.
그것이 오늘의 KIST를 만든 원동력이었다.”

이렇게 어렵게 출범한 KIST는 국가 건설의 초석을 쌓았다.
KIST의 시작은 미약하고 초라하게 출범했으나 그 KIST가 이 나라 과학의 근간이 되었고 기업의 두뇌를 산출해서 오늘의 IT 강국 대한민국을 탄생시켰다!

KIST는 1965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과 미국
린든 존슨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의 공업기술 및 응용 과학연구소 설립에 관한 공동성명' 에 근거해 1966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라는 명칭으로 설립됐다.

미국 정부는 당시 베트남전 파병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한국 정부에 1,000만 달러를 원조했다. 원조금의 사용처를 두고 복지사업, 산업체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 되었지만 박 전 대통령은 "과학기술이 한국의 미래"라며 연구소 건립을 지시했다.

연우회 관계자는 "KIST가 설립된 1966년은
한국이 현대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나선 원년(元年)" 이라며 "박 전 대통령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과학대통령'이었다" 고 말했다.

이후 KIST는 국산 1호 컴퓨터, 자동차와 반도체 원천 기술 등을 개발하며 한국 산업과 과학계를 이끌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20개가 넘는 대학·연구소도 KIST에서 탄생해 독립했다.

'박정희' 이분의 이름 석자와 그를 떠올리면
괜스레 눈가가 뜨거워지고 그리워진다!
마치 많은 이들에게 '엄마가 마음의 고향'인 것처럼, 이분은 '나의조국 대한민국의 고향' 인것 같다! <終>

최형섭박사
·좋아요 3
자유주제·자유게시판
💫 추석을 마무리하며...


추석을 마무리하는 가을의 길목에서
수고하신 모든 분들께
안부를 전합니다.

눈뜨면 아침이고
돌아서면 저녁이고
월요일인가 하면
벌써 주말이고

9월 추석도 언제 오려나
했는데
벌써 추석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날이네요~~

세월이 빠른 건지
내가 급한 건지
아니면 삶이 짧아 진건지
"일모도원"이라
해 놓은 건 없는데

거울속에 나는 어느새 늙어 있고
마음속의 나는 그대로인데
어느새 세월은 70을 훌쩍 지나버렸습니다.

짧은 세월
허무한 세월
그래도 하루 하루
최선을 다해 살아야 겠지요

늘 바람처럼 물처럼
삶이 우리를 스쳐 지나간다 해도
사는 날까지는 열심히 살아야겠지요

사는 동안
아프지 말고
어느 하늘 밑
어느 동네에 살든
내가 아는 모든 이들이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겠네요

추석을 마무리하며
모두 무탈하게 보내시고

이제 다시 건강하게 새로운 내일을 맞이합시다~!
·좋아요 4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추석 대명절을 앞두고 한번쯤 읽어보심 좋을 듯 해서 긴 글이지만 옮겨와 게시해 봅니다.

''기(氣)와 영(靈)의 세계''

우리는 전통적인 관례로 4대조 이하 조상님들께 제사를 올린다.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일까?
오대조부터그이상은묘재
를 택 일해서재사를모신
다 보통은음력10월에
모신다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12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와 파장이 같은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다.

1대를 25(30)년으로 하면 4대조는 100(120)년이 된다.
돌아가신 분은 100(120)년 동안의 바로 자기의 가족이나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4대조 이하의 조상영들은 후손과 파장이 맞으므로 후손과 함께 할수 있고 후손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영향력도 음과 양으로 좋은 쪽과 나쁜 쪽 양갈래이다.
그것은 모두 그들 조상영의 생전의 사람됨과
인격 그리고 업보에 따라 나타난다.

살아 생전에 착하고 어질게 살아 높은 영계에 가 계신 조상영은 후손을 위해 여러가지 도움을 주고 보살펴 주려고 애쓰지만, 생전에 인간됨이 천박하거나 악독했던 사람, 혹은 어려서 세상물정 모르고 죽은 소위 철부지 귀신들은 후손을 못살게 굴고 온갖 나쁜 짓을 서슴치 않는다.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조상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후손의 몸을 빌지 않으면 안 된다.
조상은 영(靈)으로 존재하고,
영은 곧 기(氣)이므로 물질인 육체가 없이 기만으로는 아무것도 행할수가 없다.

즉 천지조화가 불가능한 것이다.
파장이 맞는 고로 4대조 이하 조상영은 그 후손의 몸에 임할 수 있다.
조상의 영혼이 후손의 몸속에 들어오는 것은 우리가 텔레비젼의 채널을 맞추어서 어떤 특정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죽음은 끝이 아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인가?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지상에서의 죽음은 천상에서 영혼으로 다시 태어나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제삿날은 천상에서의 생일날과 같은 것이다.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백魄)이 있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귀(鬼)가 되느니라.

이 말씀과 같이 사람의 몸은 육체와 유체로 구성되어 있다.
육체(肉體)는 우리가 만질 수 있는, 물질적으로 된 몸이고, 유체(幽體)는 ‘그윽하다, 숨어있다’는 뜻의 유(幽)자를 쓰는데 이는 보이지 않는 몸이라는 뜻이다.

육체 속에는 넋이 깃들어 있고, 유체 속에는 혼이 깃들어 있다.
혼은 유체보다 더 영적이며, 유체는 혼이 깃들어 있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육체와 유체는 혼줄로 연결되어 있는데 혼줄이 끊어지면 죽음에 이른다.
육체를 버리면서 지상에서의 삶을 마감하고 천상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제사는 내 생명의 뿌리에 대한 보은이다.

죽은 사람에게는 왜 절을 두 번 하는 것일까?

설날 같은 명절 때 할아버지나 부모님께 드리는 세배는 한번 절을 합니다.
그에 비해 돌아가신 조상님의 제사를 지낼 때는 절을 두 번 합니다.

이처럼 산사람과 죽은 사람에게 절하는 횟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음양사상에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1은 양을 뜻하고 2는 음을 뜻합니다.
즉 살아있는 사람은 양이고 죽은 사람은 음이랍니다.

그래서 절의 횟수도 음양으로 구분하여 산사람에게는 한번 절을 하고, 죽은 사람에게는 두 번 절을 한답니다.

상을 당한 초상집에 가서도 이런 경우를 쉽게 접하게 됩니다.
돌아가신 분의 영정 앞에서는 두 번 절을하고 상주 분들에게는 한번 절을 하는 거죠.

참고로 절에는 2배, 3배 뒤에 반절이라고 해서 붙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절 뒤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허리를 간단하게 숙이는 것을 말합니다.

산사람한테는 한번 절하는 일배 뒤에는 반절이 안 붙지만 죽은 사람에게 하는 재배나 혹은 불교에서의 삼배 같은 절에는
반절이 붙는다는 것을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엄격히 말하면 죽은 사람에게는 두배
반을 절한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그리고 절은 무엇보다 공손하게 올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절을 할 경우 그 손가짐도 헛갈리는 분이 많은데, 산사람에게 절을 할 때는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에 가지런히 올려놓고 절을 하고, 여자는 그와 반대로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놓고 절을 한답니다.

반면에 죽은 사람에게 절을 할 때는 위 경우와 남여 각각 반대로 하면 된답니다

/ 효학박사 교육학박사
孝泉박종윤님의
글을 옮겨왔습니다.

사랑하는 가족분들과 풍성하고 행복한 추석연휴 보내시기 바랍니다!^^
·좋아요 14
한가위, 덕담을 나눠주세요

·좋아요 21
Farmmorning
·

·좋아요 0
Farmmorning
·

·좋아요 1
Farmmorning
·

·좋아요 0
Farmmorning
·

·좋아요 0
Farmmorning
·

·좋아요 2
Farmmorning
·

·좋아요 1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