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매일매일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 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 가을철 유해 나방류 방제 방법 ]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01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9월 23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가을철 유해 나방류 방제 방법>입니다.

9월에서 10월은 여러 나방류의 활동이 증가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합니다. 오늘은 가을에 나타나는 4종류의 유해 나방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담배나방
- 피해 작물: 옥수수, 콩, 토마토, 고추 등
- 피해 형태: 유충이 열매나 잎을 갉아먹어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림
- 방제 방법: 페로몬 트랩, 천적 이용(기생 벌), 스피노사드 등 유충 특화 살충제

🔻담배거세미나방
- 피해 작물: 배추, 상추, 토마토, 감자 등
- 피해 형태: 유충이 잎을 먹어 구멍을 만들고 심할 경우 작물이 괴사
- 방제 방법: 페로몬 트랩, 생물학적 방제(병원성 곰팡이), 살충제(사이퍼메트린)

🔻벼멸구나방
- 피해 작물: 벼
- 피해 형태: 유충이 벼 잎을 말아 안쪽에서 섭식, 광합성을 방해하고 수확량 감소
- 방제 방법: 철저한 관수 관리, 살충제(이미다클로프리드)

🔻배추좀나방
- 피해 작물: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등 십자화과 작물
- 피해 형태: 유충이 잎을 갉아먹으며, 특히 잎 뒷면에 피해를 입힘
- 방제 방법: 페로몬 트랩, 천적 이용(포식성 딱정벌레), 곰팡이 제제

9월에서 10월에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주요 나방류는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입히며, 주로 유충(애벌레)이 농작물의 잎, 줄기, 열매를 갉아먹는 형태로 피해를 줍니다. 조기에 방제하여 피해를 최소화하세요!

매일농사공부 5탄 52편 [담배나방 방제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IwNjE2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공유
경북영천이주영
지역 농협 조합원·
풀잎 사랑님 감사합니다 남은 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건강하세요
경북영천이주영
지역 농협 조합원·
김 진환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경북영천이주영
지역 농협 조합원·
모든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남은 시간 즐겁게 보내세요 건강하세요
경북성주풀잎사랑
농사공부 만점자
5도2촌 어쩌다 농부❤·
그제랑 간밤은시원하게 꿀잠 잤습니다.
얼마안에 누리는 호사인지...
가을을 즐기세요^^~
전북전주유일기
텃밭 농부·
공부완료.
올해 배추에 웬 벌레가 그리 많은지요?
소독을해도 별 효과가 없네요.
이번 김장 배추는 탈이 많을 것 같습니다.
예찰을 잘 하셔야겠습니다.
전북전주유일기
텃밭 농부·
정술님.
어디에 숨으셨나요?
보이지않네요.
전북전주유일기
텃밭 농부·
선영님.
감사합니다.
아직도 낮엔 덥네요.
그래도 좋습니다.
아침에는 시원했습니다.
경북구미선영~~
농사공부 만점자
이젠 춥다니 소리가 나오네요 건강조심 하세요~^^~
경북구미선영~~
농사공부 만점자
날씨가 많이 선선하네요 항상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경기용인유영동(尙沅)
답변왕
17개월 연속출석왕 ·
김정술님 감사합니다 이제 완연한 가을날씨입니다 건강하세요
충북단양김정술
농사공부 만점자
그러게요 아침저녁으로 공기가 너무 기분좋습니다
경남산청복숭아17556
김정술님감사합니다건강하셔요
전남신안Kbd1961
공부완료 ㅋ 날씨가 션해젓습니다
전남신안Kbd1961
여름은 이제 내년이겟지요 ㅋ 아고 ㅋ 올여름 더위가 최고엿던듯 ㅠㅠㅠ
충북제천진성체리
공부완료. 감사합니다!
충북제천진성체리
모두감사합니다!
경북상주서영진
감나무엔. 무슨약이좋은지요
충남당진PSJ
공부완료
경북예천산속 과수원 최재준
준 농원·
공부 완료 감사합니다 😊 🙏 😄
경기수원대파1462 김보환
공부완료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경기고양초보
공부완료
충북보은송철호
공부완료 감사합니다
전북익산고대박
노력한 댓까는 돌아온다·
공부완료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충남논산정영훈
드림아그로·
공부완료 하였습니다
충북괴산남완
공부완료

매일매일 농사공부모임의 연관글

[✍️늦가을 탄저병의 위험성]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45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1월 6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늦가을 탄저병의 위험성>입니다. 쌀쌀한 날씨에도 특정 조건에서 탄저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을철 습도와 작물 상태에 따라 발병할 수 있는 탄저병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늦가을 탄저병의 특징 - 여름철과 달리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어 수확 후에도 저장 중에 악화 가능 - 탄저병균은 작물 잔재나 토양 속에서 오랫동안 생존해, 조건이 맞으면 재발 가능 - 늦가을 일교차로 인해 아침에 이슬이 많이 맺히면서 병균이 쉽게 확산 🔻추운 날씨에도 발생하는 이유 - 온도 적응성: 탄저병균은 낮은 기온에서도 생존 가능해, 추위에도 감염성 유지 - 잠복 감염: 병균이 작물에 잠복한 채로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는 가을철에 발병 - 수확기 상처 노출: 상처나 일교차로 인한 작물 스트레스로 발병 🔻주요 피해 작물 (11월 기준) - 배추, 무: 잎과 뿌리가 부패해 상품성 저하 - 고추: 저장 중에 발생하면 곰팡이가 생김 - 감귤: 과피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저장성이 감소 🔻늦가을 탄저병 예방 방법 - 습도 관리: 저장 전 작물을 충분히 건조하고, 저장고의 습도와 온도를 낮게 유지 - 상처 예방: 수확 시 작물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손상된 작물은 즉시 제거 - 살균제 방제: 수확 전 탄저병에 효과적인 살균제를 뿌려 예방 늦가을에는 탄저병 발병률이 낮지만, 조건에 따라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예방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매일농사공부 5탄 46편 [탄저병 증상과 방제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E5MDI3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6·댓글527
Farmmorning
[✍️늦가을 고자리파리 방제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5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1월 14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늦가을 고자리파리 방제방법>입니다. 최근 고자리파리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월동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늦가을 발생하는 고자리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고자리파리의 생태 - 연작하는 포장에서 많이 발생 -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틈새나 주위의 흙속에 알을 낳음 - 가을에 알을 낳고 월동에 들어감 🔻피해정보 - 유충은 마늘, 양파, 파, 부추 등 화훼류의 뿌리가 난 부분에서부터 파먹음 - 지하부의 비늘줄기를 가해하여, 아래 잎부터 노랗게 되어 말라 죽음 - 피해받은 포기는 뿌리의 중간이 잘라진 채 잘 뽑아짐 - 그 속에서 구더기 모양의 유충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음 🔻방제방법 - 보통 퇴비 냄새를 맡고 고자리파리가 모여들고 산란 - 완전히 부숙된 퇴비를 사용하면 발생이 덜함 - 퇴비 살포 직후(로터리 전) ‘빅카드’ 농약 살포가 효과적(광고 X) - 빅카드는 권장량의 2~3배 물과 희석하여 물 조리개로 뿌림 - 살포 후 로터리를 하면 2차로 땅속의 알과 유충을 박멸 매일농사공부 2탄 27편 [마늘 주요 병해충 관리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EyMjgy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0·댓글543
Farmmorning
[✍️ 무름병 방제 및 예방 대책 ]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99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9월 2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무름병 방제 및 예방 대책>입니다. 무더운 가을이 지속되면서 무름병 피해를 입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무름병 발생은 온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무름병의 발생 환경과 방제 및 예방 대책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무름병이 생기는 원인 - 습한 환경: 토양이 습해질 경우 세균 번식이 활발해짐 - 상처를 통한 감염: 농기구나 해충에 의해 작물에 상처가 생기면 세균이 쉽게 침투 - 온도 변화: 20°C 이상에서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가을철 따뜻한 날씨가 위험 요소로 작용 🔻피해 - 증상: 작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이 물러지며 썩어 악취 발생. 주로 배추, 무, 마늘에서 많이 나타남 - 작물 손실: 무름병이 심해지면 전체 작물이 썩어버려 수확량이 급격히 감소 - 2차 감염 위험: 다른 병해충이 작물을 공격할 가능성이 커짐 🔻방제 및 예방 대책 - 감염된 작물은 즉시 제거하여 주변 건강한 작물로의 확산을 막음 - 제거된 작물은 소각하거나 폐기 처리 - 모종을 심고 첫 소독약을 뿌릴 때 3회 이상 칼슘제를 살포 - 배수 관리가 중요. 물이 고이지 않도록 토양 배수로를 정비 - 같은 자리에 매년 동일 작물을 심지 않음으로써 병 발생 가능성을 줄임 무름병은 조기에 대응하고 꾸준히 관리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병입니다. 가을철 농사에서는 배수 관리와 예방 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철저한 방제를 통해 건강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매일농사공부 2탄 19편 [배추에게 발생하는 병 관리]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A5NDg0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7·댓글577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