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음식물 잔반으로 퇴비 만들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26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7월 10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음식물 잔반으로 퇴비 만들기>입니다.

집에서 나오는 음식물 잔반은 매번 처리도 귀찮고, 집에 두면 안좋은 냄새가 납니다.
하지만 간단한 준비물 몇 가지만 있으면 쓸모없는 음식물 잔반으로 퇴비를 만들 수 있는데요,
오늘은 잔반도 처리하고 밭도 기름지게 하는, <음식물 잔반으로 퇴비 만들기>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준비물
- 음식물 잔반(육류는 부패 문제로 지양)
- 농업 부산물(낙엽, 왕겨, 쌀겨, 톱밥 등 화학약품 처리하지 않으며, 마른 상태의 재료)
- 용기(플라스틱 용기, 스티로폼 상자 등)

🔻제조 방법
- 1. 음식물 잔반의 물기를 충분히 제거 합니다.
- 2. 1번의 잔반을 농업 부산물과 함께 섞어 줍니다. 이때 농업 부산물은 음식물 잔반과 1대 1 비율이어야 합니다.
- 3. 1번의 재료를 밀폐용기에 넣고 냄새 걱정 없는 곳에 배치합니다.
- 4. 3~6개월간의 발효과정을 거칩니다. 발효가 완료되면 냄새가 없어집니다.

🔻추가 비법
- 실내/실외 제조시: 실내에서 만들 경우, 외부에서 산소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호기성발효를 2차로 진행해야 합니다. 실외에서 만들 경우, 뚜껑과 옆면에 산소 유입 구멍을 만들고 바닥에 수분 빠지는 배수구멍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 겨울에 제조시: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미생물의 활동성이 낮습니다. 때문에 겨울에는 용기 뚜껑 밀봉 후 봄이 올 때까지 보관을 해둡니다. 퇴비 재료가 얼어 있어도 괜찮습니다.
- 발효 과정시: 흰 곰팡이가 생기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다만 음식물 잔반의 물기로 시큼한 냄새가 난다면, 농업부산물을 더 섞거나 바닥에 깔아줍니다. 혹은 박스를 개봉하여 가끔 뒤집어주며 공기와 접촉후 2차 발효를 시킵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모임의 연관글

[✍️발열퇴비, 숙성퇴비 효과적인 사용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20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월 13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발열퇴비, 숙성퇴비 효과적인 사용방법>입니다.  오늘은 올바른 퇴비 관리로 물 오염을 방지하고 작물 생육에 도움을 주는 발열퇴비와 숙성퇴비 만드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물 오염의 주요 원인 • 부숙되지 않은 퇴비에서 질소와 인이 빗물에 씻겨 하천과 지하수를 오염 • 축산 분뇨는 악취와 수질 오염의 주요 요인 🔻발열퇴비, 숙성퇴비 • 역할 - 적절히 부숙된 퇴비는 토양의 양분을 안정적으로 공급 - 물 오염을 방지하는 데 도움 • 발열퇴비 특징 - 빠른 효과가 필요한 밭작물, 대규모 농장에서 사용 추천 - 발열퇴비는 빠르게 부숙이 이루어지며 초기 효과가 빠름 - 빠른 효과가 필요한 밭작물, 대규모 농장에서 사용 추천 - 비교적 내성이 강한 작물(과채류, 곡물)에 적합 • 숙성퇴비 특징 - 숙성퇴비는 부숙 기간이 길어 영양소가 안정적으로 공급됨 - 숙성퇴비는 염류 집적 우려가 적어 과채류 및 잎채소 같은 민감한 작물에도 적합 🔻발열퇴비 • 만드는 법 1. 준비물: 축분, 볏짚, 톱밥, 물 2.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분 함량을 약 60%로 조정 3. 퇴비를 더미로 쌓고 내부 온도를 60~70℃로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뒤집기 4. 2~3주 후 냄새가 줄고 색이 짙어지면 사용 가능 • 사용 시기: 작물 심기 최소 1~2주 전 사용. 발효가 완전히 끝난 상태인지 확인 후 살포 • 사용 방법: 1. 발열퇴비를 토양에 얇게 뿌리고 흙과 잘 섞음 2. 고온 발효 과정에서 잔류한 염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물을 충분히 주어 흡수 및 희석 🔻숙성퇴비 • 만드는 법 1. 준비물: 발효된 축분, 유기물(볏짚, 톱밥 등) 2. 발효된 축분과 유기물을 혼합해 퇴비 쌓기 3. 내부 온도를 관리하며 매주 한 번 뒤집기 4. 약 3개월 이상 숙성해 냄새와 병해 요소 제거 • 사용 시기: 작물 심기 최소 2~3주 전 사용 • 사용 방법: 1. 작물의 뿌리가 자리잡을 구역에 골고루 섞기 2. 과다한 사용을 피하고, 토양 조건에 따라 적정량만 사용 물과 토양을 함께 지키는 퇴비 관리! 적절한 퇴비 제작과 사용으로 농작물의 품질을 높이고 환경도 보호해보세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47편 [과질껍질 비료로 만드는 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Q3NjQ5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1·댓글447
Farmmorning
[✍️깻묵 비료 만드는 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78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2월 9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깻묵 퇴비 만드는 방법>입니다. 깻묵 퇴비는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유기질 퇴비입니다. 작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고 토양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오늘은 깻묵 퇴비의 장점과 만드는 방법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깻묵 액비의 장점 - 질소 5%, 인산 2%, 칼륨 1% 함유로 작물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 제공 - 지렁이 등 토양 생물 활성 증가 - 왁스층 형성을 도와 해충 피해를 줄임 - 화학비료 대비 비용 절감 가능 🔻깻묵 액비 만드는 법 • 재료 - 깻묵 10kg - 물 50ℓ - 쌀겨 5kg (선택) - 흑설탕 1kg - 토미(미생물 제제) 500g 1. 혼합 및 발효 준비 - 항아리나 폴리에틸렌 용기에 물을 붓고 40도 이하로 유지 - 흑설탕을 넣고 녹임 - 깻묵과 쌀겨(선택)를 스타킹이나 포대에 넣고 항아리에 담굼 2. 발효 - 덮개로 밀폐하고 외진 곳에 보관 - 하루 1~2회 저어 발효를 촉진 - 여름엔 1~2주, 겨울엔 약 4주 소요 - 발효 완료 시 악취가 줄고 구수한 냄새가 남 3. 희석 및 사용 - 발효된 액비를 10~20배의 물로 희석해 사용 - 엽면 시비: 물 100ℓ당 액비 500cc와 미량원소 100g 혼합 - 관주: 물 100ℓ당 액비 1,000cc 사용 🔻사용 시 주의사항 - 발효가 충분하지 않으면 작물 뿌리에 피해를 줄 수 있으니 반드시 완전 발효 후 사용 - 적정량을 사용해 과잉 비료로 인한 토양 산성화를 방지 - 석회나 규산질 비료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 깻묵 퇴비는 경제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선택입니다. 손쉽게 만들어 건강한 작물 재배에 도전해 보세요! 매일농사공부 5탄 132편 [낙엽 퇴비 만드는 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QzMjI3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5·댓글529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