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마늘

마늘 · 자연재해•동물피해
전북김제박린
텃밭농25년본격농8년·
[홍산마늘구비대의 원리]
마늘재배를 하시는분이라면 누구나 크고 잘생긴 마늘을 키우려 노력할것입니다.
굵은종자를 심어야 한다.
물을 많이주는게 좋다.
구비대제를 정확한 싯점에 주면된다.
등등 여러 설들이 있지만,
저는 원론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풀어보고 싶습니다.

마늘구비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것은
잎의 숫자입니다. 물론 넓고 두툼한 잎이
전제가 되겠지만요.
5월 구비대기에 잎의수가 10~11장이면
대짜마늘은 거의 확정적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잎의수를 늘려나갈지 방안을 찾아야겠죠.

먼저 12월중순쯤을 월동기 초입으로할때
대짜마늘을 내기위한 잎은 6장내외로 만들어야합니다.
이시기에 2~4장 또는8~10장의 잎이라면
중짜마늘이 되거나 뻥마늘이 되거나 입니다.
월동후 2월말경의 해동기엔 살아남아 파릇한 잎이 5~6장 정도라면안정적입니다.
2월말에서 3월초 추비후 엽수가 5월에
10장을 넘어가면 대짜마늘의 90%는
이룬셈입니다.
이후 수분관리와 쫑대제거만 적절하면
자랑하고싶은 마늘들이 기다릴겁니다.

이러한 우등상품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것은 첫째 균형시비, 둘째 적절한 정식시기, 셋째 꾸준한 수분관리, 넷째 충분한 충균피해에 대한 예방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월동기의 보온재 사용은 작물의 생육상태와 기후예보등에 따라 선택하는 작업일뿐 반드시 해주어야할 항목은 아닙니다.
제시한 네가지를 기준으로 마늘재배를
이끌어나가면 불필요한 고가의 영양제나 발근제등을 넣지 않고서도 좋은마늘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마늘에 좋다하면 지갑열어 구해다 주고, 또 무슨아미노산이며 비싼킬레이트비료와
이미 토양에 충분한 성분들이 있음에도
한겨울에 추비를하는등의 불필요한 일들로 가성비는 악화되고 마늘은 과잉피해를 겪게 됩니다. 과잉피해임에도
또 무엇이 부족한가를 고민하고 생리활성제를 넣어주며 악순환이 되어갑니다.
같은 마늘농사를 하는 주변인들과의 미묘한 경쟁심리에 내마늘이 더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줌 두줌 더 넣어준 비료에 토양은 농도장애를 불러와 건강한 뿌리마저 상하게 합니다.

재배의 기본은 정석으로 나아가야하며, 여기에 재배자의 노하우가 곁들여져 좋은 성과를 거두는것이라 생각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 밭은 부직포를 씌운곳과 안씌운곳
그리고 멀칭한곳과 무멀칭으로 흩어뿌림한곳등 획일적인 모양은 아닙니다.
이는 파종시기와 파종방법 그리고 종자의 상태등에따라 운용을 달리해서 그렇습니다.
요즘 매일같이 된서리에 시달리는 마늘밭을 보고있자면 은근히 걱정은 되지만, 그래도 홍산마늘이기에 이정도
추위는 능히 견딜거라는걸 알기에 조바심을 내진 않습니다.
딱히 노랗게 말라가는 잎들도 안보이고
고라니 발자욱만 눈쌀 찌푸려지게 합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전북전주최남옥
우리집마당물놀이·
농부님마늘농사질짓으셨서 종자부탁드립니다
마늘을실패를많이한답니다
전주이옵니다
경기용인땅땅
출석왕중왕
가정 먹거리를 유통으로·
다 좋은 말씀인데 복잡하게 길게 설명하시면 이해부족입니다.
그냥 건강하게 키우면 대짜생산되는데 그게 적절한 영양공급. 물. 병해방제 이것입니다.
저도 마늘재배&판매하는데 가격이 비싼데도 찾아주시는분들이 계셔서 감사하지요
경기시흥김익중
가꾸는 일에 매력~·
몇년 간은 덮지도 얺다가
지난해 활대를 이용해 비닐을 쳤는데 바람과 눈의
무게로 겨디질 못해 걷어내고 부직포만 덮었어요 그래도 잘 자라는
모양이라 안심합니다
감사합니다
:
비회원은 일부 댓글만 볼 수 있어요

마늘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오늘은 마늘재배의 암덩어리 뻥마늘 스펀지 마늘 대하여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마늘 재배 시 발생하는 문제 중 대표적인 것이 벌마늘(벌어진 마늘), 뻥마늘(속이 빈 마늘), 그리고 스펀지마늘(속이 푸석하고 조직이 스펀지처럼 무른 마늘)입니다. 이들은 환경적 요인, 영양 불균형, 병해충 피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원인을 살펴보고, 방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벌마늘(벌어진 마늘) 발생 원인 벌마늘은 마늘구가 한 덩어리로 단단하게 형성되지 않고, 여러 개의 작은 마늘 쪽이 벌어져 자라는 현상입니다. ​ (1) 파종 시기 문제 너무 이른 시기에 파종하면 싹이 빨리 올라와 겨울철 저온 피해를 입고, 이후 급격한 기온 변화로 벌마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너무 늦게 심으면 뿌리 활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생육이 불균형해질 수 있습니다. ​ (2) 종구(씨마늘) 크기 및 품질 작은 씨마늘을 사용하면 생장이 불균형해지고 벌마늘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병해에 감염된 종구를 사용하면 정상적인 구 형성이 어렵습니다. ​ (3) 영양 불균형 및 토양 환경 질소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잎이 무성해지면서도 마늘구 형성이 불량해 벌마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수가 잘되지 않는 토양에서는 수분 과다로 인해 벌마늘이 증가합니다. ​ (4) 수확 시기 조절 실패 너무 이르게 수확하면 마늘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아 벌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너무 늦게 수확하면 마늘 쪽이 분리될 수 있습니다. ​ ✅ 예방 방법: 적절한 파종 시기를 준수하고, 건강한 씨마늘을 사용합니다. 토양 배수를 개선하고, 비료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마늘의 성숙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시기에 수확합니다. 2. 뻥마늘(속이 빈 마늘) 발생 원인 뻥마늘은 마늘 내부가 제대로 차지 않고 속이 비어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 (1) 기온 변화와 생육 환경 겨울철 저온 피해를 심하게 입거나, 봄철 급격한 온도 상승이 있으면 마늘구 비대가 원활하지 않아 속이 비게 됩니다. ​ (2) 영양 불균형 및 토양 문제 질소 비료가 부족하면 잎이 작고 마늘구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해 뻥마늘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인산과 칼륨 공급이 부족하면 마늘구 형성이 불완전해집니다. ​ (3) 병해충 피해 뿌리응애, 선충 등 해충 피해를 입으면 뿌리 기능이 약화되어 마늘구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균핵병 등이 있으면 마늘 생장이 저해되면서 내부가 비게 됩니다. ​ (4) 수확 및 건조 과정 문제 너무 이른 시기에 수확하면 마늘구 성숙이 부족하여 속이 비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조 과정에서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마늘 내부가 수축하여 뻥마늘이 될 수 있습니다. ​ ✅ 예방 방법: 충분한 영양 공급과 균형 잡힌 비료 사용을 유지합니다.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확 및 건조 과정을 적절히 관리합니다. 3. 스펀지마늘(조직이 무르고 푸석한 마늘) 발생 원인 스펀지마늘은 마늘 내부 조직이 단단하지 않고, 푸석푸석하거나 물러진 상태를 말합니다. ​ (1) 고온과 수분 스트레스 봄철 고온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 마늘 내부 수분 균형이 깨져 조직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수분이 과다할 경우에도 마늘구 내부 조직이 무르게 변하면서 스펀지마늘이 될 수 있습니다. ​ (2) 질소 비료 과다 사용 질소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마늘 조직이 물러지고 스펀지처럼 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육 후반기에 질소 비료가 과다하면 마늘구가 단단해지지 않습니다. ​ (3) 병해(곰팡이 감염 등) 마늘이 곰팡이에 감염되면 내부 조직이 무르게 변하고 썩을 수도 있습니다. 푸른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 등이 마늘 내부 조직을 약하게 만듭니다. ​ (4) 수확 및 건조 과정 문제 수확 후 건조가 불량하면 내부 습도가 높아져 마늘이 무르게 변할 가능성이 큽니다. 건조 환경이 너무 습하거나, 바람이 잘 통하지 않으면 스펀지마늘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 ✅ 예방 방법: 봄철 수분 관리에 신경 쓰고, 질소 비료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병해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확 후 건조를 빠르고 철저하게 진행합니다. 4. 벌마늘, 뻥마늘, 스펀지마늘 방지 핵심 요약 ✅ 적절한 파종 시기 준수 → 너무 이르게 또는 늦게 심지 않기 ✅ 건강한 종구 사용 → 병해 없는 씨마늘 선택 ✅ 토양 및 영양 관리 → 배수 개선, 질소·인산·칼륨 균형 맞추기 ✅ 해충 및 병해 방제 → 뿌리응애, 선충 등 해충 방제 ✅ 수확 및 건조 관리 철저 → 수확 시기 준수, 건조 환경 최적화 올바른 재배 관리와 병해충 방제를 통해 벌마늘, 뻥마늘, 스펀지마늘 발생을 줄이고 품질 좋은 마늘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 ​
좋아요23·댓글19
Farmmorning
벌마늘 벌마늘은 질소질 비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웃거름을 늦게까지 주는 경우, 파종 적기보다 일찍 파종할 때, 관수를 지나치게 자주할 때, 주아를 일찍 제거할 때 많이 생긴다. 벌마늘 발생 예방을 위해 농가는 씨 마늘을 선별할 때 7g 이상의 큰 인편을 파종하지 않아야 하며, 가급적 사질토양에는 재배를 하지 말아야한다. 또한 적기에 파종을 해야하며, 질소질 비료를 지나치게 시비하거나 인편분화기 이후 추비를 주지 말아야 한다. 뻥마늘 뻥마늘은 겨울철 이상 고온이 발생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외국 수입종구 사용, 종구를 높은 온도에 보관 했을 경우, 질소비료를 과다 살포한 경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늘은 구가 형성되지 않아 일부 보통 마늘 인편 2개 크기의 구가 생기는 것도 있으나 질감이 양파와 비슷하고 약간 쓴맛이 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전혀 없으므로 발견 즉시 뽑아 없애야 한다. 스펀지마늘 스펀지마늘은 상위 5~6엽이 아주 밀생해 있고, 주아 (종대)의 생성과 출현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주대가 막혀 있으며, 인편부화와 결구가 되지 않는다. 이는 겨울 이상난동과 종구 자체의 생리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구가 형성되지 않아 일부 보통 마늘 인편 2개 크기의 구가 생기는 것도 있으나 질감이 양파와 비슷하고 약간 쓴맛이 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전혀 없으므로 발견 즉시 뽑아 없애야 한다. 이상 벌마늘, 뻥마늘, 스펀지마늘의 주요 원인과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농사대장 도와줘 채널 각종 병충해상담 공동구매 농약 영양제 비료 진행중 아래 링크 눌러주시면 이동됩니다 ⬇️⬇️⬇️⬇️⬇️⬇️⬇️⬇️⬇️⬇️ http://pf.kakao.com/_qtGsn 들어오셔서 각종 혜택 받아가세요^^
좋아요11·댓글2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