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마늘·병해충상담
경기양평 힐스
농사정보 알아보기·
마늘을 뽑아보니 뿌리가 쑥 쉽게 뽑혀서 이상하다 했는데 뿌리부터 종구까지 서서희 썪어가고 있는데 어떤 병인지 알려주세요

썪는 냄새도 나고 곰팡이냄새도 나요

잎이 마른거 서너개가 발생했는데 전염되기도 하나요?

고자리 구더기는 안보여요

사진
왼쪽이 썪음
오른쪽은 정상

파종시 토충 뿌린것 외에 약제는 안했는데 예방법이 있나요?

감사합니다
마늘뿌리썩음, 물러짐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경남창원마당뫼
무름병일수도 있습니다
뿌리쪽은 비오고 난후 물이 고여 있거나 하면 무름병이 오거든요
농약방에 가서 물어 보시면 여러가지
좋은 방안을 제시 하리라 븝니다~~
경기용인땅땅
답변왕
가정 먹거리를 유통으로·
마늘은 각종병을 많이 받는 작물입니다.
그래서 심어놓고 바라만보지 마시고 틈틈히 자료를찾아 내공을 쌓아놔야 예방도 처방도 용이하게 대처할수 있습니다.
팜모닝 로봇
공식
말씀하신 증상은 마늘의 마른썩음병과 유사합니다. 이 병은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특히 저장 중에 많이 나타납니다. 포장에서는 잎이 구부러지고 황화되어 시들음 증상으로 나타나며, 뿌리가 썩어 쉽게 뽑힙니다.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오그라들면서 마르고, 병든 부위는 갈색을 띠고 흰 균사체가 보여 건전한 부위와 쉽게 구별됩니다. 전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 발생이 심한 토양은 5년 이상 돌려짓기를 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도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MTE3

마늘모임의 연관글

벌마늘 벌마늘은 질소질 비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웃거름을 늦게까지 주는 경우, 파종 적기보다 일찍 파종할 때, 관수를 지나치게 자주할 때, 주아를 일찍 제거할 때 많이 생긴다. 벌마늘 발생 예방을 위해 농가는 씨 마늘을 선별할 때 7g 이상의 큰 인편을 파종하지 않아야 하며, 가급적 사질토양에는 재배를 하지 말아야한다. 또한 적기에 파종을 해야하며, 질소질 비료를 지나치게 시비하거나 인편분화기 이후 추비를 주지 말아야 한다. 뻥마늘 뻥마늘은 겨울철 이상 고온이 발생한 경우, 검증되지 않은 외국 수입종구 사용, 종구를 높은 온도에 보관 했을 경우, 질소비료를 과다 살포한 경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늘은 구가 형성되지 않아 일부 보통 마늘 인편 2개 크기의 구가 생기는 것도 있으나 질감이 양파와 비슷하고 약간 쓴맛이 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전혀 없으므로 발견 즉시 뽑아 없애야 한다. 스펀지마늘 스펀지마늘은 상위 5~6엽이 아주 밀생해 있고, 주아 (종대)의 생성과 출현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주대가 막혀 있으며, 인편부화와 결구가 되지 않는다. 이는 겨울 이상난동과 종구 자체의 생리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구가 형성되지 않아 일부 보통 마늘 인편 2개 크기의 구가 생기는 것도 있으나 질감이 양파와 비슷하고 약간 쓴맛이 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전혀 없으므로 발견 즉시 뽑아 없애야 한다. 이상 벌마늘, 뻥마늘, 스펀지마늘의 주요 원인과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농사대장 도와줘 채널 각종 병충해상담 공동구매 농약 영양제 비료 진행중 아래 링크 눌러주시면 이동됩니다 ⬇️⬇️⬇️⬇️⬇️⬇️⬇️⬇️⬇️⬇️ http://pf.kakao.com/_qtGsn 들어오셔서 각종 혜택 받아가세요^^
·
37
15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