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매일매일 농사공부
팜모닝 농사공부
공식
[✍️토양 전염병 알아보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1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14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토양 전염병 알아보기>입니다.

🔻토양 전염병이란?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병해로,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속의 다양한 병원균들은 작물의 뿌리등을 통해 침입하여 작물 전체에 피해를 주며 한번 발생하면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예방이 중요합니다.

🔻토양 전염병이 생기는 이유
• 연작: 같은 밭에서 동일한 작물을 반복 재배하면 병원균이 축적되어 원인이됨
• 배수 불량: 물 빠짐이 나쁘면 뿌리가 약해지고 병균이 침입하기 쉬움
• 유기물 과다/불균형: 발효되지 않은 퇴비 등은 병균의 서식처가 될 수 있음
• 감염된 묘 사용: 묘 자체에 병원균이 있으면 이식 후 빠르게 확산됨
• 이 외 장화, 농수로 등으로 병원균이 옮겨질 수 있음

🔻주요 토양 전염병과 증상
• 시들음병: 갑자기 잎이 시들고 뿌리나 줄기 내부가 갈색으로 변함
• 역병: 뿌리나 줄기가 썩고 식물이 쓰러짐
• 모잘록병: 싹이 난 후 줄기가 썩어 쓰러지
• 검은썩음병: 뿌리가 검게 썩고 생육불량 발생
• 선충 피해: 뿌리에 혹이 생기고 작물이 잘 자라지 않음

🔻토양 전염병 예방법
• 윤작: 같은 작물은 최소 2-3년간 연속 제배하지 않으며, 병에 강한 작물로 바꿔 심으면 병원균 밀도가 낮아짐
• 소독: 여름철 투명 비닐을 덮어 1-2개월 방치해 태양열로 고온 살균을 하거나 약제를 사용하여 토양을 소독함
• 배수 관리: 고량을 깊게 만들거나 물 빠짐이 좋은 토양 구조를 유지함
• 품종 선택: 토종이나 병에 강한 개량 품종을 선택하거나 자가육모시 소독한 상토와 깨끗한 물을 사용
• 이 외 농기구나 장화는 염소계 소독제나 태양광에 말려 병원균을 제거합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모임의 연관글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조절]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5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조절 > 입니다. 🔻영양생장 • 뿌리, 줄기, 잎 등 식물의 몸을 키우는 단계 • 줄기가 길어짐, 잎 무성함, 키큼 • 질소(N)과다시 영양생장이 과도해짐 • 잎과 줄기 성장이 집중하면 열매는 절게 맺음 • 주야간 온도 편차 5도보다 작으면 영양생장 강해짐 🔻생식생장 • 꽃이 피고 열매나 씨앗을 맺는 생장 단계 • 꽃눈 형성, 개화, 착과, 결실 • 인(P), 칼륨(K) 균형이 중요 • 잎은 줄고, 꽃과 열매 성장에 집중하게 됨 • 주야간 온도 편차 5도보다 크면 생식생장 강해짐 🔻작물 시기별 성장 • 초반 생육기 : 영양 생장에 집중하여 뿌리와 잎키우기 집중 • 개화기 이후 : 생식 생장에 집중하여 열매 키우기에 집중 🔻예시로 알아보기 • 토마토, 고추, 참외 등 과채류 -영양생장이 지나치면 열매 없이 잎만 무성 -질소를 조절하고, 칼륨을 보강할 필요 있음 • 사과나무 - 이듬해 열매 성장 유도하려면 올해 꽃눈 형성을 위한 생식 생장 유도가 중요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7·댓글413
Farmmorning
[✍️해충 생태와 방제시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20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22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해충 생태와 방제시기>입니다. 🔻해충의 생태 이해하기 해충은 일반적으로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의 단계를 거칩니다. 방제를 위해 가장 중요한 시점은 “알”에서 부화 직후의 유충 시기입니다. 이때는 해충이 아직 약하고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기 전이기 때문에 방제 효율이 높습니다. 🔻5월까지 주요 해충과 방제 시기 1) 논 (벼) ·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멸구류(벼멸구, 흰등멸구 등) · 성충이 이동하며 논에 자리를 잡기 시작함 · 5월 중순에 산란 시작하여 6월초까지 유충이 발생함 · 5월 중순 전에 성충기 방제 또는 알 부화 직후 유충 방제 하는 것이 중요함 2) 밭작물 (고추, 배추, 콩 등) ·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 월동 성충이 4월부터 활동 시작하여 5월 첫 세대 유충이 부화함 · 5월 초 ~ 중순: 첫 세대 유충 방제 적기 · 유충이 잎 내부에 들어가기 전 접촉성 살충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임 3) 과수원 (사과, 배, 복숭아 등) ·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배나무잎벌레, 노린재류 · 5월초~말까지 예찰을 통해 산락 시점을 파악하여 초기 유충 방제하는 것이 중요 🔻해충의 발육 알아보기 · 해충은 기온에 따라 발육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산온도(발육최저온도 이상으로 누적된 온도)를 기반으로 방제 시기를 예측합니다.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7·댓글504
Farmmorning
[✍️ 제초매트 시공실수 원인]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1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3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농제초매트 시공실수 원인> 입니다. 🔻 제초 매트란? -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을 보호하기 위해 땅 위에 덮는 특수 천 또는 시트형 자제 - 햇빛을 차단해 잡초가 광합성을 하지 못하도록 막음 🔻 시공실수 1) 핀 고정이 부족한 경우 - 문제 : 잡초가 매트 틈새로 올라오거나 매트 사이에 공간이 생김 - 해결책 > U자 고정핀을 최소 1m간격으로 촘촘히 설치 > 모서리와 겹침 부위는 추가 고정 필수 > 돌멩이나 흙뿌리기로 마무리해 들뜸 방지 🔻 시공실수2) 자재 겹침 부족 - 문제 : 매트 연결 부위 사이에서 잡초 올라옴 - 해결책 > 겹침 최소 20cm 이상 유지 > 겹침 방향을 빗물 흐름 반대로 시공 > 연결 부위에 실리콘 실링제 또는 생분해 테이프 사용 🔻 시공실수3) 시공 전 제초작업 생략 - 문제 : 멀칭전에 잡초 씨앗이나 뿌리가 있으면, 빛은 차단되나 습도와 온도가 높아져 발아가됨 - 해결책 > 멀칭 전 반드시 제초작업 + 뿌리 제거 작업 필수 > 뿌리 깊은 잡초는 제초제 사전 살포 병행 > 유기물 및 씨앗 덩어리가 많으면 멀칭 대신 볏집 사용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57편 [효과적인 제초제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g0MjI0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23·댓글433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