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7편 - 퇴비 기본정리]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퇴비 기본정리>입니다.
💚 미생물제제는 어떻게 토양에서 살아남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냥 과신하는 건 금물입니다.
🔻퇴비의 정의
• 낙엽, 볏집, 왕겨. 톱밥. 가축 분뇨 이러한 다양한 유기질 재료를 섞어서 발효시킨 것을 말합니다.
🔻퇴비의 역할
• 작물들에게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위해서, 그러나 효과는 비료처럼 크고 빠르지 않습니다.
• 심어놓은 작물이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딱딱한 땅의 배수성을 좋게 만기 위해서입니다.
• 떼알구조의 토양으로 체질을 바꾸어주기 위해서입니다.
🔻퇴비의 종류
• 완숙 퇴비
- 완전히 썩어 발효가 끝난 퇴비입니다.
- 아주 좋은 거름 밭이나 하우스에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미완숙 퇴비
- 암모니아 냄새가 많이 나는 덜 발효된 퇴비입니다.
- 유해 암모니아 가스 때문에 가스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밀폐된 비닐에 넣어두면 가스 때문에 비닐이 부풀어 오릅니다.
- 수분과 만나는 과정에서 열과 가스가 발생해 유해 미생물, 곰팡이들을 증식시켜 작물에 피해를 줍니다.
- 토양에 꼭 필요한 토착 미생물을 죽이기도 합니다.
🔻미완숙 퇴비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
• 퇴비를 구매하거나 만들어낸 이후에 1년 이상 부숙시킨 후에 완숙 퇴비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당장 퇴비를 시비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씨앗을 심기 열흘 전에 토양과 섞어서 가스가 공기 중으로 모두 날아가게 해야합니다.
• 가스가 발생했을 때 비닐 멀칭이 되어 있다면 대부분 사멸하기 때문에 미완숙 퇴비의 가스가 모두 빠진 후 비닐 멀칭을 진행해야합니다.
📺 "happy village 행주마을"님의 거름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8qhOWAGENMo
✏️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72편 <퇴비ㆍ유기질비료 시비량 바로알기> 복습해보고 질소에 대해 알아보세요.
https://app.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OjUx/posts/Y29tbXVuaXR5LXBvc3Q6MTUxNTgw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제 49호 2023. 12.4.~12. 10.]
💚벼, 감자, 마늘, 양파, 복숭아 💚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팜이웃들은 이번주에 이런 작업을 했어요.
• 마늘&양파 : 부직포 등 보온재 덮기
• 복숭아 : 전정 작업
🌱지금 이웃들의 농작업 확인하러 가기
farmmorning://com.greenlabs.smartfarm/farming/logs/my-crops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1.2~3.0℃)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3.7~12.0㎜)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 이동성 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음
• (저수율) 83.3%(평년 69.8%의 119.3%) * 11. 27. 기준
🌾 벼
• (볍씨 준비) 지역 적응 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 개선 등 종합적 관리
🌽 밭작물
• (감자) 휴면상태 검정은 씨감자를 심기 전에 18~25℃ 실온에서 1~2주 두어 감자 싹이 나오는지 확인
• (봄감자 신청) 종서신청 및 사전준비, 기본신청기간: 12.1.~12.31.
🥬 채소
• (시설채소) 채소류 한계온도를 참고하여 적온관리, 강풍 및 폭설대비 시설점검
•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비닐고정,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어 지온상승 유도. 한지형 마늘은 땅이 얼기 전 12월 중순까지 비닐을 덮음
🍇 과수
• (과원 관리) 수확 후 밑거름 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 (복숭아 동해예방) 복숭아 품종별 내한성 조사 후 적지 선정(가납암백도,
오도로끼 품종은 동해에 약하므로 중북부 지역 품종 선택 시 유의)
- 주간부(80~100cm) 볏짚이나 부직포로 피복, 백색페인트 도포
- 동해피해로 수피 터진 부분은 노끈이나 고무밴드로 묶어줌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48840&fileSeCode=185001&fileSn=1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6편 - 미생물제제 총정리]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미생물제제 총정리>입니다.
💚 미생물제제는 어떻게 토양에서 살아남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냥 과신하는 건 금물입니다.
🔻미생물제제란?
• 비료와 화학제품의 활용으로 토양에 미생물이 부족해지면서 미생물을 보충하는 보충제가 미생물제제입니다.
• 퇴비 제조시 미생물 제제를 활용하며, 퇴비 제조시 부숙 촉진, 잡균 발생억제, 악취제거 효과가 있습니다.
• 500배로 희석해 관주 및 엽면 시비해 사용합니다.
• 화학 농약과 혼용하지 않고 3~4일 간격을 두고 교대로 살포해야합니다.
•미생물은 작물생육에 좋은 대사물질을 생산하지만 비료처럼 빠르게 생육을 촉진시키지 못하므로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미생물제제의 허와 실
• 미생물제제 한 병에는 보통 10의 11승의 개체수가 있으며, 토양 300평에 살고 있는 토착 미생물은 10의 17승입니다.
• 토양에 미생물제제를 희석하여 300평에 살포한다면 토착미생물 1,200,000마리가 있는 토양에 미생물 1마리를 넣는 것과 같아서 토착 미생물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듭니다.
• 따라서 미생물제제는 어떻게 미생물들이 토양에서 살아남게 할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 물에 희석해서 토양에 살포하는 미생물제제를 과신하여 미생물의 숫자가 많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은 주의해야합니다.
📺 "귀농7년차"님의 미생물제제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xHwJWWOto94
✏️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5편 <미생물 수를 파악하는 방법> 복습해보고 질소에 대해 알아보세요.
https://app.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OjUx/posts/Y29tbXVuaXR5LXBvc3Q6MTU2OTQ0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3편 - 염류집적 예방하기]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염류집적 예방하기>입니다.
💚 작물의 수분 흡수를 방해하는 염류집적에 대해 공부해보시고 적절한 비료 시비 해보세요.
🔻염류집적이란?
• 비료로 준 성분이 식물에 이용되거나 토양에 흡착되고 남은 성분이 토양에 쌓이는 현상입니다.
• 비료를 시비하면 토양에 질산태질소, 인산염, 칼리, 염소, 칼슘, 마그네슘이 많아집니다.
🔻염류집적 특징
• 노지 토양에서는 남아있는 염류(남은 비료 성분)이 빗물에 용탈되는 경우가 많지만 하우스 토양에서는 염류 집적 문제가 더욱 심각합니다.
• 염류집적으로 토양의 염류 농도가 높아지면 흙 속의 물을 흡수할 수 없어서 작물이 말라죽게 됩니다.
• 같은 양분이라도 어떤 비료냐에 따라 염류집적 정도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칼리비료라고 할지라도 염화칼리, 황산칼리는 염류집적을 일으키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 시비합니다.
🔻염류집적 예방하는 법
• 농업진흥청에서 제공하는 비료사용 처방서의 전기 전도도를 참고해 염류집적을 판단합니다.
• 전기 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남는 양분의 양이 많다는 뜻이므로 전기 전도도가 높으면 염류집적 상태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작물이 필요로 하는 비료를 과다하게 시비하면 염류집적이 올 수 있으므로 토양 검정 후 부족한 양만 비료를 시비 해야합니다.
📺 "지리산 리포터"님의 염류집적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B5jf777HO3Q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2편 - 뿌리 성장이 왜 중요할까?]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뿌리 성장이 왜 중요할까?>입니다.
💚 뿌리로 양분을 흡수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뿌리 성장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뿌리의 양분과 물 흡수 과정
• 표피, 피층, 중심주로 나뉘는 뿌리는 양분과 물을 뿌리털을 통해서 흡수합니다.
• 중심주는 양분이 이동하는 주요부위로 체관부, 물관부, 내초, 내피로 나뉩니다.
• 토양에 있던 양분은 뿌리에 있는 수소와 교환되면서 뿌리로 흡수됩니다.
• 토양 양분이 있던 곳에 뿌리 속의 수소가 자리하고 뿌리 속의 수소 자리에 토양의 양분이 자리하며, 표피, 피층을 지나서 중심주로 흡수되게 됩니다.
🔻뿌리 성장이 왜 중요할까?
• 뿌리가 양분을 흡수하는 과정은 흙의 양분과 뿌리가 배출하는 수소이온의 교환 뿐만 아니라 뿌리의 세포막을 통한 수송, 세포막의 단백질 기능, 전기화학적 기울기 등 아주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흡수됩니다.
• 이 복잡한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돼 뿌리 속으로 양분이 잘 흡수되기 위해서는 토양조건 뿐만 아니라 작물의 뿌리의 성장이 중요합니다.
📺 "오농TV"님의 뿌리 성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youtu.be/AgaZUG9lgUs?feature=shared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90편 - 작물의 필수영양소란?]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작물의 필수영양소란?>입니다.
💚 내 작물에 필수적인 영양소가 무엇인지 알고 시비하세요!
🔻필수영양소란?
• 1972년 엡스타인 박사의 기준에 따라 없는 경우에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없는 원소, 작물 구성에 필수적인 원소,물질대사의 산물인 경우에 필수영양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 자연계에서 흡수할 수 있는 필수 영양소는 수소(H), 탄소(C), 산소(O)가 있습니다.
• 비료성분으로 공급되는 필수 영양소는 6개의 다량원소와 8개의 미량원소가 있습니다.
🔻다량원소와 미량원소
• 6개의 다량원소
- 질소(N), 칼륨(K), 인(P), 마그네슘(Mg), 칼슘(Ca), 황(S)
• 8개의 미량원소
- 염소(Cl), 아연(Zn), 붕소(B), 구리(Cu), 철(Fe), 니켈(Ni), 망간(Mn), 몰리브덴(Mo)
• 다량원소는 작물이 많은 양을 필요로 하는 원소이며 주로 분자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 미량원소는 적은 양으로 효소활성제나 촉매역할을 합니다.
📺 "식소남 미카엘"님의 미량원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tFqgvxfN5rU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제 48호 2023. 11. 27.~12. 3.]
💚벼, 감자, 고구마, 마늘, 양파💚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팜이웃들은 이번주에 이런 작업을 했어요.
1. 벼 : 비료 사용, 농지 정리
2. 감자 : 돼지감자, 홍감자 수확
3. 고구마 : 수확 및 저장
4. 마늘 : 비닐 멀칭
5. 양파 : 정식, 멀칭
🌱지금 이웃들의 농작업 확인하러 가기
farmmorning://com.greenlabs.smartfarm/farming/logs/my-crops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3.5~5.1℃)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4.0~9.6㎜)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 이동성 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음
• (저수율) 83.1%(평년 69.4%의 119.7%) * 11. 20. 기준
🌾 벼
• (볍씨 준비) 지역 적응 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 개선 등 종합적 관리
🌽 밭작물
•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가을재배 채종 품종은 실온 보관 휴면기간 단축
•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임
• (봄감자 신청) 종서신청 및 사전준비, 기본신청기간: 12.1~12.31
🥬 채소
•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은 부직포 또는 유공비닐 이중피복, 난지형 마늘 월동 전에 뿌리 활착 잘 되어야 동해 피해가 적음
• (시설채소) 작물별 적온 관리 하되, 야간 최저온도를 과채류는 12℃ 이상, 엽채류는 8℃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
•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 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 과수
• (과원 정비) 낙엽·잡초 등 병해충 월동 생육처 제거, 관수시설 물빼기 등
• (과원 관리) 수확 후 밑거름 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 (저장고 관리) 저장고 내 온도 0℃, 상대습도 90%, 최대적재량 70~80% 유지,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회, 10분씩)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48677&fileSeCode=185001&fileSn=1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88편 - 계분ㆍ돈분ㆍ우분 어떻게 다른가?]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계분ㆍ돈분ㆍ우분 어떻게 다른가?>입니다.
💚 가축분 퇴비인 돈분, 우분, 계분도 각각 차이가 분명히 있습니다. 오늘 공부를 통해서 내 상황에 맞는 퇴비 사용하세요.
🔻계분, 돈분, 우분의 양분 함량 정도
• 계분 : 질소(N) - 1.73 / 인산(P) - 1.65% / 가리 0.47%
• 돈분 : 질소(N) - 0.90 / 인산(P) - 1.49% / 가리 0.19%
• 우분 : 질소(N) - 0.41 / 인산(P) - 0.56% / 가리 0.09%
🔻가축분 퇴비(계분ㆍ돈분ㆍ 우분)의 특징
• 가축분 퇴비는 사료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사료의 영양이 풍부하면 분의 영양도 좋습니다.
• 육식인 닭은 잡식인 돼지나 초식인 소에 비해서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를 먹기 때문에, 계분은 질소(N)의 함량이 돈분이나 우분에 비해 높습니다.
• 그러나 질소(N)는 암모니아 가스 피해가 발생하므로 질소 함량이 높은 계분을 시비할 때 가스 피해를 주의해야합니다.
• 인(P)은 골분 사료와 연관돼 있어서 광우병 때문에 골분 사료를 많이 주지 못하는 우분은 인(P)의 함량이 적습니다.
• 퇴비는 보통 계분, 우분, 돈분을 배합해 만들기 때문에 배합 비율을 꼼꼼히 따져서 내 토양에 질소가 부족하다면 계분이 많이 배합된 비료를 시비하는 것이 좋으며, 내 토양에 인(P)이 과잉하다면 인(P)이 적게 함유된 우분이 많이 배합된 퇴비를 시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축분 퇴비 별 추천 작물
• 계분 (양분 함량이 높지만 가스 피해 우려가 있습니다.)
- 배추 : 배추는 질소(N)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질소 함량이 높은 계분을 시비하면 효과적입니다.
- 고추 : 고추는 천근성 식물로 뿌리가 깊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양분이 많은 계분을 시비하는 것아 효과적입니다.
• 우분 (탄질율이 높으며, 양분 함량이 많지 않고 가스 피해 우려가 적습니다.)
- 대파 : 탄질율이 높은 우분이 퇴비로 적절합니다.
- 쪽파 : 쪽파는 퇴비 장해가 많은 작물로 암모니아 가스피해가 적은 우분이 적합합니다.
- 옥수수 : 계분을 시비하면 옥수수는 웃자라 바람에 쓰러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분을 시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꿈꾸는텃밭"님의 퇴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s35zeU08bH0
✏️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47편 <포대 퇴비 완숙시키는 방법> 복습해보고 퇴에 대해 알아보세요.
https://app.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OjUx/posts/Y29tbXVuaXR5LXBvc3Q6MTQzNzQ3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87편 - 내 토양 상태 점검하는 2가지]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내 토양 상태 점검하는 2가지>입니다.
💚 양이온치환용량(CEC)와 염기포화도로 내 토양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양이온치환용량(CEC)란?
• 양이온치환용량(CEC)는 토양이 갖고 있는 음전기의 총합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료를 보관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 양이온치환용량(CEC)가 크면 클수록 양분보유능력이 커지며, 염류집적이 일어나지 않으며 외부 변화에 저항하는 힘이 커집니다.
• 양이온치환용량(CEC)는 농촌진흥청 토양검정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토양은 평균 10cmol/kg 내외입니다.
• 양이온치환용량(CEC)은 유기물과 점토 함량이 많을수록 커집니다.
🔻염기포화도란?
• 염기포화도는 양이온치환용량(CEC)이 나타내는 양분을 보유할 수 있는 공간에 염기성 양이온(칼륨, 석회,고토 등)이 얼마나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일반 작물은 염기포화도가 80%일 때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이 때 토양 pH가 6.5가량입니다.
• 토양에 석회는 양이온치환용량(CEC)의 65%, 고토는 약 10%, 칼륨은 5~10%일 때 균형이 맞습니다.
• 염기포화도가 적합한 토양이 아니라면 양분 사이에 길항작용이 일어나 다른 양분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염기포화도는 중요합니다.
📺 "임동희"님의 양이온치환용량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60AzOfe1_Eg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84편 - 손끝으로 내 토양 성질 진단하기]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손끝으로 내 토양 성질 진단하기>입니다.
💚 토양 검정 받기 전에 간단하게 내 토양 상태 손끝으로 확인해보세요!
🔻 건강한 흙의 기준
• 흙이 적당하게 배수와 관수가 잘 되어 흙 알갱이, 물, 공기가 작물이 성장하기 적당하게 있는 공극률, 보수력, 통기성이 좋은 흙이 건강한 흙입니다.
• 깊이 갈이를 통해 흙의 부피가 커져 공극이 많아진 흙은 미생물이 숨 쉴 수 있는 건강한 흙입니다.
• 흔히 사람들은 떼알구조의 흙을 건강한 흙이라고 합니다.
🔻 손끝으로 내 토양 성질 진단하는 법
• 삽으로 흙을 파낸 부분의 흙을 눌러봅니다.
• 부드럽게 느껴지는 흙은 유기물함량이 충분하고 유익한 미생물이 많은 떼알구조가 잘 형성된 건강한 흙입니다.
• 딱딱하게 느껴지는 흙은 낱알구조의 공극률이 50% 이하인 통기성이 나쁘고 배수가 안되는 뿌리가 잘 자라지 못하는 흙입니다.
• 딱딱하게 느껴지는 흙은 정밀 검사를 위해 여러 곳의 흙을 채취해 농촌진흥청에서 토양 검정을 받아보며, 깊이갈이를 통해 숨 쉬는 흙을 만들어줍니다.
📺 "지리산리포터"님의 흙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zQf-Fixtqto
✏️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83편 <숨 쉬는 흙 만들기> 복습해보세요.
https://app.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OjUx/posts/Y29tbXVuaXR5LXBvc3Q6MTU1MTY1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팜모닝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83편 - 숨 쉬는 흙 만들기]
👋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숨 쉬는 흙 만들기>입니다.
💚 내 토양도 숨을 쉽니다. 숨을 잘 쉬는 토양이 작물이 잘 자라요!
🔻 숨 쉬는 흙
• 좋은 흙은 흙 알갱이 50% 공기 25% 물 25%로 구성돼 있습니다.
• 흙 속의 무수한 미생물들이 대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놓으면서 흙에도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순환합니다.
• 흙의 호흡량이 적다는 것은 뿌리와 미생물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 과다시비, 제초제 남용은 홁의 호흡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농약 사용량을 줄이고 깊이갈이에 신경 쓴다면 흙의 호흡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 흙 속의 흙, 물, 공기
• 흙은 흙 알갱이, 물, 공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날씨와 환경에 따라 이들의 비중이 달라집니다.
• 비가 오면 물이 늘어나 공기가 줄어들어 뿌리가 숨 쉬기 힘들어집니다.
• 가뭄이 오면 공기가 늘어나 뿌리가 흡수할 물이 줄어들게 됩니다.
• 퇴비를 주고 깊이갈이를 하면 흙 알갱이가 줄어들어 물과 공기가 들어갈 공간이 늘어나 뿌리채소가 잘 자라게 됩니다.
📺 "이세계농부"님의 건강한 토양 만들기에 대한 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0xzhrAkfgMs
💚농한기인 올겨울, 팜이웃들이 보고 싶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드리고자 [농민들의 농한기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실제 농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 되는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함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s://forms.gle/qfcCNFx6a8jkmeHC9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제 47호 2023. 11. 20.~11. 26.]
💚벼, 감자, 고구마, 마늘, 양파, 사과💚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팜이웃들은 이번주에 이런 작업을 했어요.
1. 벼 : 농지 정리, 월동준비
2. 감자 : 가을감자 수확
3. 고구마 : 수확 마무리, 농지 정리
4. 마늘 : 고자리약 살포, 비닐멀칭
5. 양파 : 정식, 비닐멀칭
6. 사과 : 퇴비 주기, 과원 정리
🌱지금 이웃들의 농작업 확인하러 가기
farmmorning://com.greenlabs.smartfarm/farming/logs/my-crops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4.8~6.2℃)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3.3~7.8㎜)과 비슷하거나 적겠음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 밤낮의 기온 차가 큰 날이 많겠음
• (저수율) 82.6%(평년 69.0%의 119.7%) * 11. 13. 기준
🌾 벼
• (볍씨 준비) 지역 적응 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 개선 등 종합적 관리
•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 소홀로 인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 밭작물
•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시설재배 채종 품종은 실온 보관으로 휴면기간 단축
•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 습도는 85~90%임
• (봄감자 신청) 종자 신청 및 사전 준비 철저, 기본신청기간: 12.1.~12.31.
🥬 채소
•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 부직포 이중피복
• (시설채소) 강풍 및 폭설 대비 시설 점검, 햇빛 강도에 따라 주는 물의 양 조절
•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 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등
🍇 과수
• (사과원 관리) 세력 약하면 낙엽 전 엽면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 (동해 대비) 배수로 정비, 나무 주간부 수성페인트 도포 등 보온자재 피복
• (동해 양상) 사과, 배는 1~2년생 가지 피해 받기 쉬움, 포도는 저장양분 부족 및 등숙 불량 가지 고사 심함, 복숭아는 동해 피해 받은 후 4~5월 서서히 고사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48542&fileSeCode=185001&fileS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