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마늘·병해충상담
강원춘천 귀요미맘
마늘잎이 반저이생기고 누렇게 뜨네요무슨병일까요
마늘반점, 병반
FarmmorningFarmmorning
팜모닝 로봇
공식
마늘 잎에 반점이 생기고 누렇게 뜨는 증상은 녹병과 유사합니다. 녹병은 잎에 처음에는 황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점차 황적색으로 변하며 감염 부위가 융기되고 균열되어 적황색의 분말이 분출됩니다. 심한 경우 잎 전체가 주황색으로 변하며 말라죽을 수 있습니다. 수확 후 병든 식물체를 제거하고, 윤작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료가 부족하면 추비를 사용하여 초세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도감에서 확인하세요.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MzY0

마늘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오늘은 농가에서 꼭 알아야 할 마늘 수확 시기와 방법, 그리고 수확 후 필수 관리사항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 🗓 마늘 수확 최적 시기는 언제? 마늘 수확 시기를 판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잎의 상태를 보는 것입니다. 잎이 70% 이상 누렇게 말랐을 때 마늘 잎이 전체적으로 누렇게 변하고 아래쪽 잎부터 70% 이상 말랐다면 수확 적기입니다. 일반적으로는 6월 초~중순에 수확합니다. 너무 일찍 수확하면 마늘이 작고 저장성이 떨어지며, 너무 늦으면 마늘 껍질이 벌어져 품질이 저하됩니다. 🛠 올바른 마늘 수확 방법 ① 날씨 선택하기 비가 오지 않는 맑고 건조한 날씨를 선택합니다. 수확 전후 최소 2~3일간 비가 없으면 최적입니다. ② 마늘 캐기 수확할 때는 호미나 전용 도구로 마늘 밑 부분을 깊이 파서 들어 올려 뿌리까지 완전히 캐냅니다. 강제로 뽑으면 줄기가 끊어지거나 마늘이 상처를 입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③ 흙 털기 및 정리 수확한 마늘은 부드럽게 흙을 털고, 가능한 한 뿌리를 자르지 않은 채로 둡니다. 줄기와 잎은 5~10cm 정도 남겨 두고 자르면 수분 증발을 막아 저장성이 좋아집니다. 🚨 마늘 수확 시 주의 사항 비 온 뒤 바로 수확 금지! 습한 날씨나 비 온 직후 수확하면 곰팡이나 병해 발생이 쉬워 저장성이 떨어집니다. 상처 주의! 마늘 껍질이 손상되면 곰팡이나 병균 침투의 원인이 됩니다. 직사광선 주의! 수확 후 마늘을 오래 햇빛에 노출하면 마늘이 마르거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마늘 수확 후 꼭 해야 하는 관리법 ① 예건(말리기) 수확 직후 2~3일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예건합니다. 습기가 빠지면서 껍질이 단단해져 저장성이 높아집니다. ② 본격 건조하기 마늘을 묶어서 통풍이 좋은 그늘이나 건조실에 걸어서 2주 정도 완전히 건조합니다. 이때 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곰팡이와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③ 선별 및 저장 완전히 건조된 마늘은 크기와 품질에 따라 분류하고 상처가 난 것은 따로 보관해 먼저 소비합니다. 건조하고 서늘하며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보관합니다. (적정 온도 0~4℃) 수확 시기: 잎의 70% 이상 누렇게 변했을 때(6월 초~중순) 수확 방법: 날씨가 맑고 건조할 때, 상처 주지 않게 조심히 캐기 수확 후 관리: 예건 → 본격 건조 → 선별 및 저장(통풍 잘되는 서늘한 곳) 지금까지 마늘 수확과 관리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정확한 관리로 올해도 풍성한 수확 이루세요! 🌱🌞🍀 http://pf.kakao.com/_qtGsn
·
48
22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