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

고추·병해충상담
쏘쏘함
고추 잎에 이런게 생겨는데요

세균성점무늬 병인가요??

한 5그루 에 생겨서 생긴 잎들
따 버려는데요

잎만 따 버리면 될까요
아님 농약 처야 할까요
고추반점, 병반갈변
FarmmorningFarmmorning
세종세종청운농원육묘장
답변왕
퇴비까스피해로봅니다
뿌리확인해보세요
팜모닝 로봇
공식
고추 잎에 생긴 증상은 점무늬병, 흰별무늬병과 유사합니다. 이 병은 주로 잎에 작은 갈색 점이 생기며, 점점 확대되어 중심부가 오목해지고 흰색으로 변합니다. 피해가 심하지 않다면, 병든 잎을 제거하거나 소각하여 전염원을 없애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스프링클러 관수를 자제하고, 식물체의 잎이 젖어있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농약은 등록된 것이 없으므로, 정식 전 어린 식물체부터 세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도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OTY=

고추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이예요 🫡 오늘은 고추모자이크병 알아볼께요 글씨 오타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 ^^ 병징 병원바이러스의 종류와 계통에 따라서 특이한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재배환경이나 품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래 했같리는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어 진단은 결코 쉽지 않다. AMV는 모자이크 증세를 보이는 포기에서 분리된다. CM\V에서는 잎에 모자이크가 생기거나, 바이러스의 계통이나 한경조건에 따라서 잎이나 분지에 괴저가 생기고 앞이 떨어질 수도 있다. 나중에 병든 포기는 왜소해지고 잎은 소형화되어 버들잎 증상을 보인다. 열매에 열은 누런색의 둥근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BBWV 및 CMMV의 병징은 CMV보다 약하고 잎에 가벼운 모자이크나 누런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긴다. BBWV에서는 줄기에 가벼운 괴저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BBWV 반입계에서는 잎에 뚜렷한 누런색의 점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기고 열매에도 누런색의 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X에서는 잎에 괴저를 동반하는 심한 모자이크가 생기며, 때로는 흐릿한 누런 갈색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Y에서는 잎에 누련색 점무늬나 누런 얼룩 모자이크가 생기고 줄기나 열매에도 누런색 줄무늬가 생긴다. BBWV와 중복감염 되면 줄기에 심한 괴저가 생기고 극단적인 결실 장애를 보인다. TMV에서는 처음에 나온 새잎이 누렇게 되고 곧 자주갈색의 괴저점무닉가 생기며 심할 때는 떨어진다. 어린 분지나 성숙한 잎의 잎자루에도 괴저 점무닉가 생긴다. 열매는 누런색으로 변하거나 혹은 괴저 점무늬가 생기며 떨어지기 쉽다. TMV에서는 새잎이 누련색으로 변한 후에 뚜렷한 모자이크로 바뀌고, 열매에는 누런색 무늬나 줄무늬가 생기며 기형이 보이기도 한다. AMV 크기는 56 x 16nm (B), 43x16nm (M), 35x16nm (Tb), 30x16nm (Ta)의 4종의 입자로 이루어진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0~65C, 희석한계 10-5~106, 보존한계 3~5일이다. BBWV : 지름 25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2, 3개의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는 60~70C, 희석한계는 10-4~10-, 보존한계는 2~3일이다. 기주범위가 넓어 시금치, 완두, 콩 외에, 화초나 잡초 등에 기생성을 보인다. TAV :지름 25~30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5~60C, 희석한계 102~10, 보존한계 18.5"C에서 2~3일이다. 국화과, 가지과 외에 다른 식물에 비교적 넓은 기생성을 보이지만, 병징은 일반적으로 가볍거나 없다. CMV:지를 28~30nm의공 모양 바이러스로 몇 가지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 55~75C, 희석한계 104~105,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2-8일이다.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가지과, 박과, 십자화과 외에 많은 식물을 감염하고 45과 190종의 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PVX : 515x13nm의 실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8~75"C, 희석한계 10-5~10 6,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기주범위는 명아주과, 비름과, 번행초과 등이다. PVY: 730x11nm의 실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2~62C, 희석한계 10 -2~10*,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1~2일이다. 기주범위는 좁아 가지과, 명아주과의 일부 식물에 기생성을 보인다. TMV: 300x18nm, 막대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88~93C, 희석한계 10 6~10 ',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본 바이러스에는 몇 가지 계통이 있지만 피망에서는 토마토계, 보통계, 고추계가 중요하다. 토마토계는 토마토에, 보통계는 담배에 대한 기생성이 강하다 전염 AMV, BBWV, CMV, TAV, PVY는 진딧물류에 의해서 비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즙액접종은 쉽지만, 접촉전염은 드물고 종자 및 토양전염은 하지 않는다. PVX의 전염원은 감자 등의 병든 식물로 생각되지만, TMV의 1차전염은 주로 보독한 종자 및 오염된 토양에서 일어난다. 두 바이러스 모두 발병 후는 병든 포기와의 접촉이나 흑은 수확작업 등에 의해서 쉽게 즙액전염 한다. 방제 이들 바이러스는 종자전염을 하거나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매개하므로 이들 매개충의 밀도를 줄여서병 발생을 낮춘다.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는 유묘를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오염토양, 웃,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식, 적아, 수확 등의 작업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
52
29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작물에 꼭 필요한 칼슘(Ca), 왜 중요할까요? 작물 생육에서 가장 자주 간과되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이 있습니다. 바로 **칼슘(Ca)**입니다. "칼슘은 단지 뿌리나 잎을 튼튼하게 하는 영양소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세포벽을 구성하고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영양소입니다. 칼슘의 주요 역할 세포벽 구성과 강도 유지 칼슘은 식물 세포벽의 '펙틴'과 결합하여 세포를 단단하게 만듭니다. 세포벽이 단단해야 식물이 병에 강하고 물리적인 상처에도 잘 견딥니다. 생장점 보호 뿌리 끝, 잎의 성장점 등 활발히 자라는 부위에 칼슘이 집중 공급되며, 이 부분이 손상되지 않고 계속 자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양분 이동과 효소 작용 조절 칼슘은 양분과 수분의 이동 조절, 세포 내 효소 활성 조절, 호르몬 균형 유지에도 영향을 줍니다. 칼슘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칼슘은 토양 내에 있다고 해서 곧바로 흡수되는 것이 아닙니다. 형태, 토양의 pH, 수분 상태 등 다양한 조건이 맞아야 작물이 잘 흡수할 수 있습니다. 1. 수용성 칼슘비료 사용 예: 질산칼슘, 아미노산 칼슘, 칼슘 킬레이트 등 작물이 직접 흡수 가능한 형태로, 엽면시비나 관주에 효과적입니다. 2. 칼슘엽면시비 칼슘은 뿌리보다 잎을 통한 흡수 효율이 더 높을 때도 많습니다. 생장기에 7~10일 간격으로 엽면시비하면 빠르게 결핍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pH 조절 및 토양 칼슘 보충 산성토양일 경우 칼슘 흡수가 저하되므로 **석회(탄산칼슘)**를 적절히 사용하여 pH를 6.5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물 관리와 병행 칼슘은 수분을 통해 이동되므로, 급격한 수분 부족이나 과습은 칼슘 흡수를 방해합니다. 균일한 관수가 필수입니다. 🌾 칼슘, 꼭 신경 써야 하는 이유 칼슘은 단순한 ‘보조 영양소’가 아닙니다. 작물의 성장, 병 저항성, 품질, 저장성까지 좌우하는 핵심 영양소입니다. 칼슘이 부족하면, 생기는 피해는 작고 꾸준하게 나타나며 수확 직전까지도 영향을 줍니다. 보이지 않는 칼슘 결핍, 지금부터 미리미리 관리해 보세요! 즉, 칼슘 하나로 작물의 건강 전체가 좌우될 수 있는 셈이죠. ⚠️ 칼슘이 부족하면 생기는 증상들 칼슘 결핍은 특히 새로 자라는 부분에서 먼저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칼슘은 식물체 내에서 이동성이 낮아, 이미 자란 잎보다 신생 조직에 부족 현상이 쉽게 생기기 때문입니다 칼슘함량이 많은 복합비료 몬스터 강력추천 드립니다 공동구매 카카오채널 ⬇️⬇️⬇️⬇️ http://pf.kakao.com/_qtGsn
·
8
1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