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아이콘
딸기
45,525 명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다음 주 딸기 모임 작업 알림 🔔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있을 예정입니다.
기온은 평년(0.0~2.0℃)과 비슷하거나 낮겠습니다.

강수량은 평년(1.4~4.2㎜)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관수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저수율: 68.0% (평년 70.6%의 96.3% / 12.12 기준)

1️⃣ 광합성 저하 및 낮은 지온은 양분 흡수가 불량해
생육이 부진하거나 왜화 되어 약한 화방이 출현하고,
착과 불량,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간 환기와
야간 보온관리로 적온을 유지하고,
오전 관수로 시설 내 과습을 방지해주세요!

2️⃣ 겨울철 자연재해 대비가 필요해요.

기존 규격 시설과 내재해형 규격 시설, 비규격 시설인지 확인하고,
기존 규격 시설과 내재해형 규격 시설의 경우 안전적설심을 확인하세요.
※ 농사로() → 농업기술 - 농자재 → 시설설계도(참고용)

3️⃣ 정전 등으로 가온 시설을 가동할 수 없을 땐
숯, 알콜 등을 연소시켜 가온, 보온피복 강화,
살균제 및 요소 엽면 살포로 생육 촉진하는 사후대책도 기억해두세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다음 주 딸기 모임 작업 알림🔔

1️⃣ 광합성이 적거나 지온이 낮으면
양분 흡수가 불량해질 수 있어요.

이는 생육 부진과 왜화(작은 꽃)되어
약한 화방을 출현시키고,
착과가 불량하거나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할 수 있어요.

주간 환기는 잘 시키고,
야간 보온 관리로 적온을 유지하세요.

관수는 오전에 실시해 과습을 방지하세요.

2️⃣ 일교차에 의한 시설 내 안개가 발생하지 않도록
측창과 천창 개폐에 신경을 써서
생육 저하와 생리장해 현상을 방지하세요.

흐리거나 습한 날은 관수량을 줄이고,
관수용 물은 미리 받아 온도를 유지하세요.

야간 최저온도는 12℃ 이상이어야 해요.

3️⃣ 폭설을 대비해 제설 장비를 미리 준비하세요!

비닐하우스 끈은 팽팽하게 당겨두면
눈이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어요.

노후되거나 붕괴 우려되는 하우스는
보강 지주를 설치해야 해요.

눈 녹은 물이 비닐하우스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고,
비닐을 씌워 습해를 미리 예방하세요!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 폭이 크겠고, 추울 때가 있을 예정입니다.
기온은 평년(1.0~3.0℃)과 비슷하거나 낮을 전망입니다.

강수량은 평년(3.1~11.0㎜)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관수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저수율: 66.8% (평년 69.7%의 95.8% / 11.28 기준)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다음 주 딸기 모임 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있겠고,
기온은 평년(3.2~4.8℃)과 비슷하거나 낮을 전망입니다.

강수량은 평년(2.7~12.5㎜)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관수 관리에 신경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저수율: 66.6% (평년 69.3%의 96.1% / 11.21 기준)

<생육 관리>
낮에는 환기를, 밤에는 철저한 보온 관리로 적온을 유지하세요!

1️⃣ 오전 10~12시 이전 관수를 마무리해
시설 내 과습을 방지해주세요.

2️⃣ 꿀벌의 활동 온도는 18~22℃이므로
시설 온도 관리에 유의해야 해요.

3️⃣ 탄산시비 시 CO2농도 1,500ppm 내에선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증가해요.

일출 30분~1시간 후부터 환기할 때까지
2~3시간 정도 시용하세요.

<당도 향상기술>
온도, 일사량, 잎 면적, 탄산가스, 꽃솎음, 전조, 관수방법, 품종,
수확시기 등에 따라 당의 축적량은 달라져요.

1️⃣ 해가 지기 전 후 3~4시간 동안
잎의 광합성 산물인 당을 과실로 보낼 수 있도록
13~15℃를 유지해주고,
새벽 최저 온도도 5~6℃로 관리해주세요.

2️⃣ 새 잎의 발생 속도가 떨어지기 떄문에
잎 따주기를 최대한 자제해주세요.

3️⃣ 수경재배의 수확기간 중 급액 농도를 낮추면
세력이 약해지고, 과실의 당도가 떨어져요.
수확기 EC 농도는 1.2~1.3dS/m로 관리해주세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 전조처리, 왜 하나요?
ㆍ 엽면적과 광합성 양을 증대시켜 최종 과실 수량을 높여줘요!
ㆍ 촉성재배 👉 휴면 돌입을 막는 역할을 해요.
ㆍ 반촉성재배 👉 휴면 타파를 쉽게 하기 위해 사용해요.

<레드펄을 키운다면 전조 처리는 필수>
설향은 전조 처리 없이 재배하는 농가가 대부분이나
레드펄은 휴면이 깊어 반촉성 재배 시 전조 처리하면
휴면 타파에 효과적이에요.

<전조 처리, 언제 하나요?>
보온 개시 직후부터 시작하면 3화방의 분화가 늦어져요.
3화방의 분화 이후부터 전조를 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하우스 내의 밤 온도가 낮을 때는 효과가 크게 떨어지므로
최저 5℃ 이상으로 유지하고, 낮 온도는 25℃ 정도로 관리해요.

<전조 중단 시기, 어떻게 결정하나요?>
전조에 의한 지상부의 생육 촉진 효과는 10~20일 후에 눈에 띄게 나타나요.
목표하는 초세에 도달될 시점을 생각하며
미리 조명 시간과 횟수를 조절하는 게 중요해요.

품종과 초세, 낮의 기리 등을 고려해 중단 시기를 결정하는데,
웃자랄 염려가 있으므로 조명 시간과 횟수를 조절해
수확이 80~90% 이루어질 때까지 진행하다
수확 종료 15~20일 전에 중단하는 걸 권해요.

<품종별 장일처리 시간에 대한 반응이 달라요>
설향·대왕·싼타 👉 12-6-2-0-0회/일(출뢰기-수확 초기-수확 중기-수확 성기-수확 후기)

저온기에는 강하게 하다 봄철 수확 성기 이후에 조명을 중단해주는 것이
초세를 유지하고, 수확량 증대에 유리해요.

레드펄 👉 수확 초기~수확 중기까지 좀 더 강하게 처리하는 게 좋아요.

출처: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다음 주 딸기 모임 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있겠고,
기온은 평년(5.7~7.9℃)과 비슷하거나 낮을 전망입니다.

강수량은 평년(3.1~9.7mm)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관수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저수율:66.0% (평년 68.5%의 96.4% / 11.07 기준)

1️⃣ 온도·일사량·잎 면적·탄산가스·꽃솎음·
전조·관수 방법·품종·수확 시기 등에 따라
당의 축적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당도 향상 기술 역시 달라져야 해요.

2️⃣ 해가 지기 전·후 3~4시간 동안
잎의 광합성 산물인 당을 과실로 보내야 하므로
13~15℃를 유지해주고,
새벽 최저 온도는 5~6℃로 관리해주세요.

3️⃣ 초세 관리는 새 잎의 발생 속도가 떨어지는 시기이므로
잎 따주기를 최대한 자제해주는 게 좋아요.

4️⃣ 수경재배 시 수확 기간 중 급액 농도를 낮추면
세력이 약해지고, 당도가 떨어져요.
수확기 EC 농도는 1.2~1.3dS/m으로 관리해주세요.


11월 11일 오늘은 농업인의 날이에요.
농사 짓느라 늘 고생하는 농민분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농업을 위해 힘 써주시는 농민들을 위해
팜모닝도 열심히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
딸기·온도 관리
딸기 농사도우미
다음 주 딸기 모임 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찬 공기의 영향으로 쌀쌀할 때가 있겠고,
기온은 평년(8.8~10.4℃)과 비슷하고,
강수량도 평년(5.5~14.3mm)와 비슷하겠습니다.

저수율: 66.2% (평년 68.3%의 96.9% / 10.31 기준)
밭가뭄: 정상 153개 시군(92%), 관심 11개(6%), 주의 3개(2%)
- (11.7 무강우 시) 정상 151개 시군(90%), 관심 13개(8%), 주의 2개(1%), 경계 1개(1%)

1️⃣ 생육 단계별 온도관리가 필요해요.
단계별로 온도를 낮춰주세요.

개화기 주간 👉 25℃
개화기 야간 👉 10℃

과실비대기 주간 👉 25℃
과실비대기 야간 👉 6~8℃

2️⃣ 액아는 제거하고, 잎은 개화기 5~6매,
비대결실기 이후 8매 확보,
화방 당 정화방은 7~10화, 2화방은 5~7화,
3화방 이후는 3~5화를 남기고 적화하며
세력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세요.

3️⃣ 개화 초기 수정벌을 투입하고,
벌이 활동하기 좋은 14~25℃ 온도를 유지해주세요.

벌통 위치는 남북방향 하우스의 경우 북에서 남으로,
동서방향 하우스의 경우 동에서 서로 해주세요.

4️⃣ 노균병, 흰가루병, 총채벌레류,
진딧물, 응애류, 가루이류, 작은뿌리파리등
11월 상순까지 매개충에 의한 바이러스병 예방을 위해
집중관리가 필요해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딸기 농사도우미님의 딸기·온도 관리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