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마늘·품종•종자
경기부천 부천역곡 정병호
출석왕중왕
올해 홍산마늘을 3년째 주말농장 밭에 심었는데 수확기 20여일 놔두고 녹병이 걸려서
수확을 했는데 내년 주아 통마늘과 마늘이 크기는 괜찮습니다.
주아 또한 병해 때문에 포기를 했구요.
처음 걸려 봤는데 무서운 병이더군요.
문제는 주아로 생산한 통마늘을 종자로 사용이 가능한지요?
불가능 하다면 통마늘과 주아를 조금씩 구해야 해서요.
박사님들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전북김제박린
답변왕
텃밭농25년본격농8년·
녹병은 진균류의 곰팡이 병해이며,
곰팡이가 유전되는게 아니라
포자가 씨앗에 묻어있을 수 있기에
감몀된 종자를 심으면 녹병 발생이 쉽다는거죠.
종자개발자는 원칙적 제시를 한것이기에
종자사용을 금하는것처럼 표현되었으나,
충분한 살균과정후 파종하면 무균종자나 다름 없기에 파종해도 됩니다.
아울러 녹병이 발병한 개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녹병이 발생한 포장의 모든 마늘에는
눅병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파종전 살균처리는 필히 해야겠죠.
또한
알렉시바이러스에 감염된경우도 살균소독만으론 안되지만 파종전 침지형태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기에
이또한 종자를 전혀 못쓰는것도 아닙니다.
알 수 없음
아유 속상해서 우찌할꼬
경남합천전성환
귀농을 준비중인 3년차·
녹병이 걸린 주아는 불가능합니다. 홍산마늘 개발자가 안된다고 말씀하셨어요.

마늘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마늘 녹병에 알아보겠습니다 마늘은 우리의 일상 요리에 필수적인 재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마늘 재배에는 여러 병해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녹병’입니다. 이 글에서는 마늘 녹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방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마늘 녹병이란? 마늘 녹병은 마늘잎에 붉은 밤색의 병반이 생기는 균병으로, 병든 잎에 길고 둥근 모양의 얼룩점이 생깁니다.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이 많고, 해에 따라 마늘 녹병이 성행하는 때가 있고, 상대적으로 잠잠하게 지나가는 해도 많습니다. 마늘 녹병의 원인 녹병은 곰팡이 즉 진균이 일으키는 병의 일종으로 공기 중으로 날아다니다가 조건이 맞으면 기생합니다. 곰팡이가 기생하기 좋은 곳은 햇빛이 통하지 않고 습기가 많은 곳입니다. 녹병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으로는 영양상태가 좋지 않거나, 과습하고 통풍이 되지 않을 때, 질소비료의 과용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마늘 녹병 방제 방법 녹병 예방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모두싹을 이른 봄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살포하는 것입니다. 또한, 발생이 심한 포장에는 적용 살균제를 7~8일 간격으로 뿌려주되, 심할 경우 최대한 빨리 수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늘 녹병은 마늘 재배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방제와 관리를 통해 이를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마늘 녹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방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글은 마늘 녹병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실제로 마늘을 재배할 때는 자신의 환경과 조건에 맞게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공동구매 약제 비료 영양제 ⬇️⬇️⬇️ http://pf.kakao.com/_qtGsn
좋아요12·댓글1
대산농사대장님의 마늘·비료•농약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