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

딸기·병해충상담
경기이천 햇빛농원
청년딸기농부·
상토에 수분이너무없는거같아 물양을 늘렸어요.
그런데 작은뿌리파리들이 득실득실 하네요.
무슨약을 처방해야 좋을까여?
충남공주서경록
베리마크가 가장 효과적이긴 한데~ 벌독성이 있어서 현시점에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벌독성 없는걸로 에스지블루밍이나 아타브론 노몰트 PLS등록된 약제는 3가지 입니다~ 3가지 모두 수확 2주 전까지만 사용 가능하구요~ 수확기 아직 많이 남으셨으면 혼합통 잘 이용하셔서 관주처리 하셔야 할듯요~ 현시점에 조루관주는 잎장이 많아 손실되는 부분이 많을듯 싶네요
경기가평나주신원농장
작은뿌리파리 퇴치법 중 첫째는 예방을 위한 재배적 방제법으로, 우선 주위 환경을 철저히 관리하고 완숙퇴비를 쓰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수경재배 때는 지나친 관수를 피해야 하는데, 이는 상토의 수분함량이 34% 이하일 때 작은뿌리파리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둘째는 친환경 방제법으로 작물을 미리 살펴 성충이 보이면 노란색 끈끈이트랩을 설치합니다. 이때 트랩은 육묘벤치 또는 지표면에서 위 25㎝나 아래 10㎝ 지점에 놓고 15일마다 교체하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셋째는 살충제 방제법으로 적용 약제로는 디노테퓨란·아세타미프리드·디메톡삼·비펜트린+이미다클로프리드·비펜트린+클로티아니딘·스피네토람·클로로페나피르·클로로플루아주론·루페뉴론 등이 있다고 합니다.
살포할 때는 발생시기에 예방적으로 하고, 한포기에 100㎖씩 10일 간격으로 물을 주는게 좋다고 합니다. 주의할 점은 가능하면 천적피해가 적은 약제를 쓰고, 개화기에는 꿀벌에 영향을 덜 미치는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딸기모임의 연관글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의 법칙 입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비료를 어떻게 줘야 할까?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가장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입니다.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이란? 독일의 과학자 리비히가 주장한 이 법칙은 식물은 가장 부족한 영양소에 의해 생장이 제한된다라는 원리입니다. 작물 생장은 어느 한 가지 영양소가 부족하면, 다른 영양소가 충분하더라도 생장에 한계가 생깁니다. 실제 농사에서는 어떻게 적용할까? ✅ 벼농사: 지난해 논에 올무(잡초)가 많아 벼가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수확량이 줄었음 → 토양 분석 후 부족한 양분(예: 질소, 가리)을 채우고, 잡초 관리가 필수 ✅ 밤 농사: 특정 구역(이평만)에서 쭉정이 밤이 많이 발생 → 밤이 충실하게 여물려면 붕소(B), 칼슘(Ca) 등 부족한 양분 보충 필요 ✅ 마늘 & 딸기: 작물별로 가장 부족하기 쉬운 양분(마늘 – 질소 부족 시 생육 저하, 딸기 – 칼슘 부족 시 과실 품질 저하)을 미리 체크하고 보충 결론!! 농사를 지을 때 ⭐️모든 영양소를 무조건 많이 주는 것이 아니라, 가장 부족한 양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보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토양 분석을 통해 부족한 양분을 확인 ✅ 필요한 양분을 맞춤형으로 공급 ✅ 작물이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비료 낭비도 줄이고, 작물 생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농사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원칙!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우리 농장에 한번 적용해보세요!
·
13
2
Farmmorning
오스템바이오 소독제 ‘엔도씰’ 생물막·이끼 제거…토양 개선 주기적 살포로 ‘병충해’ 걱정 뚝 예년 같으면 5월 중순 딸기 출하를 끝냈을 텐데, 올해는 6월초까지 수확할 것 같아 기대가 큽니다.” 충남 논산시 광석면 율리에서 ‘킹스베리’ 딸기농사를 짓는 손국현씨(29)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고온으로 병해충이 기승을 부리고 품질이 떨어지는 시기지만, 손씨의 시설하우스에선 고품질 딸기 수확이 한창이기 때문이다. 손씨는 이같은 안정적 수확의 비결로 오스템바이오(대표 장현모)의 소독제 ‘엔도씰’(옛 엔도산)을 꼽았다. 그는 “알이 큰 ‘킹스베리’는 날이 조금만 더워져도 금방 무르고 상품성이 떨어지지만, ‘엔도씰’ 사용 후부터는 경도가 유지되고 흰가루병·탄저병·작은뿌리파리 같은 병해충도 크게 줄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정량 펌프를 이용해 ‘엔도씰’을 일정한 농도·주기로 관주하고, 주 1회 엽면살포도 병행한다. 병해가 의심되는 상황에선 농도·횟수를 높여 병 확산을 선제 차단한다. ‘엔도씰’은 세균·곰팡이·진균·포자·생물막 제거와 부란병·탄저병·시듦병·갈반병 등 병해 예방에 효과적인 다목적 소독제다. 무색·무취·무미하고 약해·약흔이 없어 육묘, 작물 재배뿐 아니라 농자재와 토양·시설 내 소독에 폭넓게 사용된다. 오스템바이오 관계자는 “토양에 직접 관주한 ‘엔도씰’은 생물막과 이끼를 제거해 토양 환경을 개선하고, 용존산소를 뿌리에 공급해 작물 생장을 돕는다”며 “이상고온에도 안정적인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산 킹스베리연합회 박형규 회장(70)도 ‘엔도씰’의 효능을 인정했다. 박 회장은 “최근 몇년간 흰가루병이 심했는데, 2년 전 ‘엔도씰’을 사용하고부터 병 발생이 눈에 띄게 줄었다”며 “수정벌에 영향을 주지 않고 농약 잔류 걱정도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보조사업 지원 대상 품목에 ‘엔도씰’이 포함되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충북 제천시 한수면 덕곡리에서 사과농사를 짓는 박종인씨(41)는 2023년 탄저병이 전국을 휩쓸었을 때 ‘엔도씰’의 효과를 체감했다. 박씨는 “당시 주변 농가는 수확량이 80∼90% 감소하는 큰 피해를 봤지만, 평년 수준의 수확량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효과를 확인한 후부터는 농장 전체에 ‘엔도씰’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며 병충해에 사전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현모 대표는 “오스템바이오의 ‘AB작물재배용 상토’와 ‘바토재배용기’, 축사용·원예용 차광제인 ‘쿨에프엑스(Cool FX)’ ‘레듀졸’을 함께 사용하면 이상기상에도 수확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구입문의 010 4357 0900 유튜브 촬영영상 https://youtu.be/XY6spnO0cmg?si=Mbra4FLGLLiK-YKX
·
21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