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 강화 vs 완화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 강화 vs 완화 · 참여글
이동활
24년 9월쯤 경영체 등록을 했습니다.
기준도 기준이지만 경영체 등록을 하기위해서 3~4곳의 기관을 방문해야 했습니다.
강화와 완화를 떠나서 경영체 등록이라는 1가지 업무 때문에 시골 농민이 행정기관을 3~4곳이나 왔다 갔다 한다는건 좀 너무 한것 같습니다.

처음에 농산물품질관리원 방문,상담하니
농어촌공사에서 서류처리해야함.

농어촌공사에 문의해서 필요서류안내받은후,경영체등록 농지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방문해서
농어촌공사에 필요한 서류발급받고,
(여기서 무인발급기에서만 발급하는 서류가 있는데, 2곳의 면사무소를 방문했구요.)
(읍면사무소에 방문했더니 무인발급기에서만 발급가능하니, 무인발급기가 있는 곳으로 가야한답니다. 무인발급기의 용도를 이상하게 이용하더군요. 이럴거면 무인발급기를 모든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를 하던지.정말 어처구니 없었음)

준비된 서류를 가지고 농어촌공사방문 및 서류처리후

다시 읍,면사무소 방문해서 농지대장 등록

다시 농산물품질관리원 방문해서 경영체 신청

농품관 직원분 현장 방문후 최종 완료.

조건을 강화를 하던 완화를 하던, 업무처리과정에 동선이 너무 복잡합니다.
경남하동진교
귀향 2년차 ·
그게 그리 복잡해졌나요? 전 22년 겨울에 인터넷으로 필요 서류 확인 후 면사무소 가서 산업계 직원 도움 받아 서류 다 떼고 임대계약서 작성하고 동네 이장 사인 받고 면사무소 산업계 갖다 주니 산업계에서 농품관에 보내 주어 실사 온다 연락와서 겨울이라 작물없다 했더니 작물 심을 때 연락 달라해서 5월초에 모심고 전화했더니 바로 실사 나와 면적 전부 확인하고 그냥 등록 해주던데요. 지역마다 일처리 방법이 다른 모양이네요. 전 농어촌 공사를 한번도 가 본적이 없어요. 농품관은 공동경영주 문의하려 지나는 길에 한번 들렀을 뿐이고. 임업경영체 등록도 비슷하게...
경남하동지안
주말 초보 농부·
저희도 등록할때 여기저기 방문하고 문의하고 복잡해서 포기하고싶은 마음 절로 들었던게 기억납니다.
다른 분들도 화를 내면서 포기하겠다고 가시는거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