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경남하동 진교
농민·귀향 2년차
추가한 이웃75명

게시글
농업인 건보료 지원확대, 찬성vs반대
반대.
지원을 해주자고 하는데 반대할 이유가 없겠지요. 허나 최소한 이런 설문을 하려면 영세농의 분류기준이 뭔지 영세농의 평균 보험료는 얼마인데 정부에서 얼마를 지원하고 있어 평균 얼마를 내고 있는데 추가로 얼마를 더 지원하는 방안에 찬성이냐 반대냐 해야 할 듯. 현재 월 만원 내고 있는데 추가로 이천 지원해주면서 생색은 20프로 지원했다고 할 수도. 그리고 영세농 중 자식이 직장 다니는 집은 전부 자식들 밑으로 들어가 있을 듯 하고 대부분이 65세가 넘는 농촌의 현실에서 유의미한 지원인지도 헷갈림.
좋아요 4 댓글 0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 강화 vs 완화
강화. 지금도 농업 경영체 등록하는 것은 전혀 까다롭지 않다고 생각함. 강화하여 진짜 농업인이 제대로 된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 놀이 삼아 하는 농업인에게 까지 혜택이 필요할까요..
좋아요 6 댓글 0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참깨 대량 파실 분 계시나요? 약 5톤 정도 구매해 달라는 친구가 있어서 글 올려 봅니다.
좋아요 2 댓글 2
마늘·영농일지
홍산마늘이 잘자라고 있습니다. 팜모닝 장터 통해 20접 구매하여 심었는데 발아율 거의 100프로에 가깝게 거의 구멍마다 다 올라와 보식이 거의 필요없을 정도입니다. 종자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년의 예로 보아 기후변화로 봄이 일찍 따뜻해지므로 마늘도 더 일찍 심어야 내년 봄에 벌마늘이 나오지 않을 걸로 생각되어 추석 지나고 심었는데 결과가 어떨지 궁금하네요.
좋아요 3 댓글 2
진교님의 마늘·영농일지 작성글 사진
들깨·영농일지
아직 익지 않은 것이 많아 잎이 노래진 것만 우선 베어 두었는데 계속 비가 내리네....ㅠㅠ
좋아요 3 댓글 2
진교님의 들깨·영농일지 작성글 사진
들깨·영농일지
들깨가 품종에 따라 익는 시기가 이렇게 다르네요. 모종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동네 어르신들 심고 남은 것 조금씩 얻어다 심었더니 어떤 것은 벌써 베어 말릴 때이고 어떤 것은 아직도 이렇게 시퍼렇고 어떤 것은 아직 꽃이 달려 있고...이래저래 한꺼번에 베지 않고 천천히 베어도 되니 시간적 여유도 있어 좋네요. 올핸 모종값 안들이고 들깨 농사 지었습니다.
좋아요 4 댓글 0
진교님의 들깨·영농일지 작성글 사진
자유주제·자유게시판
배추 무우가 잘 자라고 있습니다. 심고나서 비닐에 붙어 잎이 타는 문제 땜시 멀칭을 안하고 했더니 풀이 무성하네요. 마늘도 싹이 많이 났네요.
좋아요 5 댓글 0
진교님의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
자유주제·자유게시판
햇마늘을 깠는데 이 사진처럼 나온다고 지인이 사진을 보내 왔는데 어떤 경우일까요? 처음 보는 거라...
사진상으론 냉동 후 해동처럼 보이는데 그렇게 하진 않았다고 하고...혹시 아시는 분?
좋아요 4 댓글 6
진교님의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
양파·영농일지
올해는 왜이리 숫양파가 많은 건가요? 양파의 암수는 심는 시기와 연관이 있다고 하던데 결국은 날씨와 기온과 연관이 있다는 뜻인데 올해 날씨의 어떤 특징 때문에 숫양파가 많이 생긴 걸까요? 어떤이는 올해 조생종은 괜찮고 만생종만 숫양파가 많다고 하고...
올핸 마늘도 벌마늘이 엄청 많쟎아요. 이것도 날씨 때문이라던데 과학적 영농법으로 설명을 부탁 드려요.
좋아요 3 댓글 9
진교님의 양파·영농일지 작성글 사진
그곳에서 농사하게 된 계기는?
하동군 진교면 이곡마을에서 농사 중입니다. 연로하신 아버지 모시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 김에 아버지 지으시던 농사 이어짓고 있습니다. 관행농사로 먹고 살 수 있는 시대가 아니라 이일 저일 가리지 않고 하고 있습니다. 절대로 몸에 무리가 가지 않을 만큼 일해야 한다는 걸 아버지와 동네 어르신들 보며 절실히 느꼈답니다. 100세 시대에서 110대 시대로 갑니다. 농사가 노인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다같이 노력합시다.
좋아요 4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