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팜모닝공식

팜모닝공식 ·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 주간농사정보 제 44호 2024. 10.28.~.11.3]

💚벼, 콩, 감자, 보리, 밀, 유채, 배추, 무, 마늘, 양파, 딸기, 배, 단감💚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9.8~11.4℃)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2.8~7.3㎜)과 비슷하겠음 *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겠음
- (저수율) 72.0%(평년 68.7%의 104.8%) * 10. 21. 기준

🌾 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토양검정) 작물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여 시비처방서 발급과 지도를 받음
-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가 소홀하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 밭작물
-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 (유채) 건조한 토양 관수, 유묘기에 솎음작업 또는 보식 실시

🥬 채소
- (가을배추‧무) 생육 부진 시 요소 0.2%액 살포, 결구상태 및 시세에 따라 출하
-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중순~12월 중순 땅이 얼기 전에 비닐 덮음
- (시설채소)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작은뿌리파리 등 발생 초기 방제
- (딸기) 야간온도 5℃ 이상 유지, 개화기 잎 5~6매 확보, 개화초기 수정벌 투입

🍇 과수
- (배 수확 후 관리) 수확 후 상처과, 생리장해과, 병해충과, 과숙과는 선별하고 예건 후 저장하여야 장기간 보관 가능
- (단감)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 (저장) 입고 전 저장고 온도 0℃, 습도 90%, 최대적재량 저장고 부피 70∼80% 유지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5884&fileSeCode=185001&fileSn=1
Farmmorning
이웃들의 농작업 보기
공유

팜모닝공식모임의 연관글

[ 주간농사정보 제 11호 2025.3.24.~3.30.] 💚벼, 보리, 밀, 고구마, 마늘, 양파, 고추, 배추💚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7.0~8.8℃)과 비슷하거나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 (3.7~10.7㎜)과 비슷하겠음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음 - (저수율) 82.4%(평년 76.5%의 107.7%) * 3. 17. 기준 🌾 벼 - (사전준비) 건전한 볍씨, 상자, 약제 등 육묘 준비,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 - (벼 육묘)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보급종 제외),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 🌽 밭작물 - (봄감자) 아주심기 20∼30일 전 산광싹틔우기 실시, 적기 아주심기 및 제초제 처리 - (고구마)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 육묘온상 만들기 - (콩·팥 종자) 콩·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 🥬 채소 - (시설하우스) 봄철 강풍 대비 시설물, 비닐 등 점검, 황사 발생 시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 최소화 및 피복제 세척 실시 - (시설수박) 적정잎수 확보후 수정 실시, 수정 전·후 토양 수분 관리 - (고추) 육묘 후기에는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관리, 육묘기 고온장해 예방을 위한 환기 관리 필요 - (마늘・양파) 관수시설 점검, 구비대기 물주기, 병해충 방제 🍇 과수 - (저온피해 예방) 방상팬에 의한 송풍법, 미세·미온수 살수법 활용 - (묘목심기)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 가급적 봄 식재(3월 중·하순 전에 식재) - (병해충 방제) 기계유유제, 석회유황합제, 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월동병해충 밀도↓ - (플럼코트) 인공수분 시기는 플럼코트 개화기간(약10일) 중 낮 최고기온 17℃ 이상 되는 포근하고 바람 없는 날, 오전 10시~오후 4시 사이에 하는 것이 효과적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9225&fileSeCode=185001&fileSn=1
좋아요25·댓글54
Farmmorning
[ 주간농사정보 제 13호 2025.4.7.~4.13.] 💚벼, 보리, 밀, 고구마, 마늘, 양파, 고추, 배추💚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10.1~11.9℃)보다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6.2~25.7㎜)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 - (저수율) 83.1%(평년 78.6%의 105.7%) * 3. 31. 기준 🌾 벼 - (사전준비) 건전한 볍씨 및 육묘상자 준비,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 - (벼 육묘)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보급종 제외),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 - (못자리 관리) 지역별 온도를 고려하여 적기 파종, 물관리 및 온도유지 🌽 밭작물 - (맥류) 가뭄해 우려 포장은 중경제초로 표토 수분증발 방지 - (옥수수) 중・북부지방 보통 직파재배 파종 실시 - (감자) 여름감자 아주심기, 퇴비 및 비료는 밑거름으로 살포, 아주심기 후 제초제 살포 - (고구마)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 육묘 온상 만들기 🥬 채소 - (마늘・양파) 노균병・잎마름병 예찰 및 적기방제 - (노지고추) 정식 전 묘 순화, 본밭 토양 관리 및 아주심기 실시 - (시설하우스) 봄철 강풍·황사 대비 시설물 및 출입문과 환기창 점검 🍇 과수 - (저온피해 예방) 방상팬에 의한 송풍법, 미세·미온수 살수법 활용 - (방제) 석회보르도액은 황산구리와 석회의 혼합액으로 약효 지속력이 큰 살균제이며 꽃이 1∼2개 필 때 살포함 - (수분) 인공수분 적기(사과는 중심화가 70~80% 개화, 배는 꽃이 40~80% 개화)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9498&fileSeCode=185001&fileSn=1
좋아요27·댓글43
Farmmorning
[ 주간농사정보 제 10호 2025.3.17.~3.23.] 💚벼, 보리, 밀, 고구마, 마늘, 양파, 고추, 배추💚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6.4~8.0℃)과 비슷하거나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4.9~23.4㎜)과 비슷하거나 적겠음 *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음 - (저수율) 81.9%(평년 76.4%의 107.2%) * 3. 10. 기준 🌾 벼 - (사전준비) 건전한 볍씨 및 육묘상자 준비,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 - (벼 육묘)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보급종 제외),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 🌽 밭작물 - (봄감자) 아주심기 20∼30일 전 산광싹틔우기 실시, 적기 아주심기 및 제초제 처리 - (고구마)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 육묘온상 만들기 - (콩·팥 종자) 콩·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 🥬 채소 - (마늘‧양파) 배수로정비, 웃거름 적기시용, 구비대기 관수, 노균병 방제 등 - (노지고추) 아주심기 일주일 전부터 순화, 밑거름 시비 등 본밭 만들기 - (시설관리) 봄철 황사 · 강풍 대비 및 화재예방 안전수칙 준수 🍇 과수 - (묘목) 품종이 정확, 잔뿌리가 많고 눈이 충실한 묘목, 병해충이 없는 묘목 선택 - 묘목심기: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 가급적 봄 식재(3월 중·하순 전에 식재) - (시설점검) 서리 등 저온피해 대비 방상팬, 관수시설 사전가동 및 점검 - (병해충 방제) 기계유유제, 석회유황합제, 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월동병해충 밀도↓ - (플럼코트) 살구 수분수 30% 심고 방화곤충 활용하여 자연수분 유도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9089&fileSeCode=185001&fileSn=1
좋아요6·댓글20
주간농사정보님의 팜모닝공식·주간농사정보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