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고추

고추 · 일상
경북예천hkte
3일전까지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2일간 여행하고 와서 고추밭에 가보니 시들시들한 녀석들이 꽤 있네요.
농사는 알다가도 모를일이네요.
FarmmorningFarmmorning
경남창원이승규
토양 문제에서 오는 역병 아니면 청고병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둘다 물을따나 움직이므로 전염성이 빠릅니다. 치료도 상당히 어렵고요, 가능한 뽑이퍼리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여태 농시지으시느라 고생하셨는데 안타깝습니다.
배수로도 깊게만드시고 무리 차지않아야 병발생도 덜합니다
경북예천hkte
감사합니다
경북영덕달리는캬뱌레
주말농부 1년차^^·
제 경험으로는 칼슘 부족 입니다
경남사천와룡산백곰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경북예천hkte
감사합니다
전남무안배추
계란단계 귀농초보·
고추초보라 뭐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청고병이고 소생불가라고해서 빨리 뽑아야 다른데 안 번진대요 저는 미련없어 다 뽑아버렸습니다
경북예천hkte
감사합니다
강원영월김현덕
7년차 곡물 농부·
청고병이면 가지를 부러뜨려 투명한컵에 물담아서 꼿아보세요 희색 회충같은게 나오면 청고병입니다
경기수원매실6483만물박사
고추농사 고수님을 오늘 접하네요.
반갑습니다 😁
경기수원매실6483만물박사
배수가 잘 안돼 발생한 것 같네요
경기용인땅땅
출석왕중왕
가정 먹거리를 유통으로·
청고든 혹이든 일단뽑아서 절단해 보시고 뿌리고 보세요

고추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다이센엠 소개드립니다 오늘은 다이센엠-45 농약의 특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광범위한 병해에 효과적 다이센엠-45 농약은 광범위한 병해에 효과가 우수한 종합 보호 살균제입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병해에 대응하여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2. 작물에 필요한 필수 미량요소 공급 다이센엠-45 농약은 작물에 필요한 필수 미량요소(zn)를 공급하여 작물체를 튼튼하게 해주며, 과일의 착색 촉진 및 당도 증가에 효과적입니다. 이로 인해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내우성이 강하고 다른 약제와 혼용범위가 넓음 다이센엠-45 농약은 내우성이 강하고 다른 약제와 혼용범위가 넓습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작물에 약해가 거의 없고 연용해도 내성이 생기지 않음 다이센엠-45 농약은 작물에 약해가 거의 없고 연용해도 내성이 생기지 않으며, 내성이 쉽게 오는 제품과 혼용 시 내성 지연의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도 병해 저항성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이상으로 다이센엠-45 농약의 특장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단감포함) 둥근무늬낙엽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45일전 2회 19930403 감(단감포함) 탄저병 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45일전 2회 19930403 감귤 녹응애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7회 19840420 감귤 검은점무늬병(흑점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7회 19830326 감자 역병 발병초기부터 7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14일전 4회 19810508 감자 겹둥근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4회 20220112 겨자무 노균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40319 고추 탄저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3일전 3회 20210827 구기자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21일전 3회 20210414 금감(금귤) 검은점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35일전 4회 20210702 녹두 갈색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0414 녹두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1130 단고추류 탄저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3일전 3회 20210827 대추 탄저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20406 도라지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1230 드라세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발생초기 - 20241218 땅콩 검은무늬병 발병초기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14일전 1회 19890408 레몬 검은점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 수확35일전 4회 20210714 마(산약)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0414 마늘 잎마름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0827 모과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600배 수확21일전 2회 20230309 무 노균병 발생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21일전 3회 20210827 배 검은별무늬병 5,6월과 10월에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14일전 5회 19850415 배추 노균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1018 배추 반쪽시들음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20112 복숭아 탄저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0827 사과 갈색무늬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5회 19830326 사과 겹무늬썩음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5회 19860308 사과 점무늬낙엽병 꽃이 피기전 및 꽃이 진후 10일경부터 10일 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5회 19870330 사과 탄저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 수확30일전 5회 19810225 사탕무 노균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41218 산딸기 점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1213 생강 흰별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1130 석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600배 수확7일전 3회 20211213 수박 탄저병 발병직전부터 7~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5일전 1회 19880503 순무 노균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31011 순무양배추(콜라비) 노균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 수확7일전 3회 20210824 알로에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31011 양배추 노균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0827 양앵두(체리) 갈색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600배 - 수확14일전 3회 20210824 양파 노균병 발병초기부터 7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120ℓ/10a 수확7일전 5회 19860308 우엉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11130 유자 탄저병 발병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 수확35일전 3회 20200428 유자 검은점병 6월상순부터 14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35일전 3회 20220406 인삼 점무늬병 발병초기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 수확45일전 5회 19991124 잇꽃(홍화)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14일전 3회 20220509 자두 탄저병 발생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1018 참깨 잎마름병 발병초기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7일전 1회 19890408 참다래(키위) 탄저병 발병초10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 수확21일전 3회 20201109 팥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1130 팥 갈색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500배 수확7일전 3회 20210702 포도 새눈무늬병 발병초기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500배 - 수확30일전 3회 19930403 포도 탄저병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600배 - 수확30일전 3회 19810225 사용방법 1. 이 농약은 사용약량을 지켜 물에 희석한 후, 경엽처리시 작물별 최대살포물량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여 살포하십시오.[10a당 살포물량 : 과수류(200~450ℓ), 포도(200~300ℓ), 채소류/화훼류(150~200ℓ), 양파(120ℓ), 인삼(150~250ℓ)] 농사대장이 준비했습니다 매장방문 상담 환영 전화 문의 010 4357 0900
좋아요19·댓글11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이예요 🫡 오늘은 고추모자이크병 알아볼께요 글씨 오타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 ^^ 병징 병원바이러스의 종류와 계통에 따라서 특이한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재배환경이나 품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래 했같리는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어 진단은 결코 쉽지 않다. AMV는 모자이크 증세를 보이는 포기에서 분리된다. CM\V에서는 잎에 모자이크가 생기거나, 바이러스의 계통이나 한경조건에 따라서 잎이나 분지에 괴저가 생기고 앞이 떨어질 수도 있다. 나중에 병든 포기는 왜소해지고 잎은 소형화되어 버들잎 증상을 보인다. 열매에 열은 누런색의 둥근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BBWV 및 CMMV의 병징은 CMV보다 약하고 잎에 가벼운 모자이크나 누런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긴다. BBWV에서는 줄기에 가벼운 괴저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BBWV 반입계에서는 잎에 뚜렷한 누런색의 점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기고 열매에도 누런색의 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X에서는 잎에 괴저를 동반하는 심한 모자이크가 생기며, 때로는 흐릿한 누런 갈색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Y에서는 잎에 누련색 점무늬나 누런 얼룩 모자이크가 생기고 줄기나 열매에도 누런색 줄무늬가 생긴다. BBWV와 중복감염 되면 줄기에 심한 괴저가 생기고 극단적인 결실 장애를 보인다. TMV에서는 처음에 나온 새잎이 누렇게 되고 곧 자주갈색의 괴저점무닉가 생기며 심할 때는 떨어진다. 어린 분지나 성숙한 잎의 잎자루에도 괴저 점무닉가 생긴다. 열매는 누런색으로 변하거나 혹은 괴저 점무늬가 생기며 떨어지기 쉽다. TMV에서는 새잎이 누련색으로 변한 후에 뚜렷한 모자이크로 바뀌고, 열매에는 누런색 무늬나 줄무늬가 생기며 기형이 보이기도 한다. AMV 크기는 56 x 16nm (B), 43x16nm (M), 35x16nm (Tb), 30x16nm (Ta)의 4종의 입자로 이루어진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0~65C, 희석한계 10-5~106, 보존한계 3~5일이다. BBWV : 지름 25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2, 3개의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는 60~70C, 희석한계는 10-4~10-, 보존한계는 2~3일이다. 기주범위가 넓어 시금치, 완두, 콩 외에, 화초나 잡초 등에 기생성을 보인다. TAV :지름 25~30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5~60C, 희석한계 102~10, 보존한계 18.5"C에서 2~3일이다. 국화과, 가지과 외에 다른 식물에 비교적 넓은 기생성을 보이지만, 병징은 일반적으로 가볍거나 없다. CMV:지를 28~30nm의공 모양 바이러스로 몇 가지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 55~75C, 희석한계 104~105,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2-8일이다.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가지과, 박과, 십자화과 외에 많은 식물을 감염하고 45과 190종의 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PVX : 515x13nm의 실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8~75"C, 희석한계 10-5~10 6,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기주범위는 명아주과, 비름과, 번행초과 등이다. PVY: 730x11nm의 실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2~62C, 희석한계 10 -2~10*,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1~2일이다. 기주범위는 좁아 가지과, 명아주과의 일부 식물에 기생성을 보인다. TMV: 300x18nm, 막대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88~93C, 희석한계 10 6~10 ',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본 바이러스에는 몇 가지 계통이 있지만 피망에서는 토마토계, 보통계, 고추계가 중요하다. 토마토계는 토마토에, 보통계는 담배에 대한 기생성이 강하다 전염 AMV, BBWV, CMV, TAV, PVY는 진딧물류에 의해서 비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즙액접종은 쉽지만, 접촉전염은 드물고 종자 및 토양전염은 하지 않는다. PVX의 전염원은 감자 등의 병든 식물로 생각되지만, TMV의 1차전염은 주로 보독한 종자 및 오염된 토양에서 일어난다. 두 바이러스 모두 발병 후는 병든 포기와의 접촉이나 흑은 수확작업 등에 의해서 쉽게 즙액전염 한다. 방제 이들 바이러스는 종자전염을 하거나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매개하므로 이들 매개충의 밀도를 줄여서병 발생을 낮춘다.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는 유묘를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오염토양, 웃,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식, 적아, 수확 등의 작업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좋아요50·댓글29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