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아이콘
고추
311,096 명
전남구례 남흥원예사
40년차 농약사·
🌶 고온기에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

“왜 고추 꽃이 자꾸 떨어지나요?” 여름철 낙화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여름철 고온기, 고추를 재배하시는 분들께 가장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있습니다.

> “꽃은 피었는데 열매는 안 맺히고, 꽃이 그냥 떨어져버려요. 왜 그런 걸까요?”

이런 현상을 **낙화(落花)**라고 하는데요, 단순히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게 아니라 고온 스트레스와 생리적 불균형, 환경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온기에 고추 꽃이 떨어지는 이유, 그 과정, 낙화로 인해 생기는 문제, 그리고 실질적인 해결 방법까지 순서대로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 1. 원인 – 고추 꽃이 떨어지는 이유는?

고온기 낙화는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 ① 고온 스트레스 (30℃ 이상)

고추는 25~28℃에서 가장 활발하게 생장하고 수정이 잘 일어나지만,
기온이 30℃를 넘어서면 꽃가루의 발아력이 떨어지고 암술도 손상됩니다.

결국 수분(수정)에 실패하면서 꽃이 생리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② 수분 부족

고온기에는 잎을 통한 증산작용이 활발해지면서 식물이 수분을 더 많이 필요로 합니다.

뿌리가 충분히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면 꽃이 먼저 떨어지면서 스트레스를 줄이려고 합니다.


🧪 ③ 질소 비료 과다 사용

여름철 생장을 유도하기 위해 질소를 많이 주게 되면 잎과 줄기만 무성하게 자라며
생식 생장(꽃과 열매 맺음)은 억제됩니다.

꽃이 제대로 크지 못하고 떨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 ④ 일조 문제

일조가 너무 강하면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고, 너무 약해도 꽃이 약해집니다.

고온과 함께 일조까지 강하면 꽃의 생리적 기능이 무너지기 쉽습니다.


🐛 ⑤ 병해충 피해

총채벌레, 진딧물 등 꽃을 갉아먹는 해충이 있을 경우,
꽃 조직이 손상되어 바로 낙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2. 과정 – 낙화는 이렇게 일어난다

1. 고온 지속 → 체내 스트레스 증가


2. 꽃가루 발아력 저하 → 수정 실패


3. 자연스레 꽃이 떨어짐 (낙화 발생)


4. 수분 부족, 해충 피해 등 복합 요인이 더해지면 낙화 심화

---

⚠️ 3. 결과 – 꽃이 떨어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열매 수확량이 급감
꽃이 없으면 당연히 열매도 없습니다.

꽃이 늦게 다시 피거나 재생이 안 됨
생육이 지연되고 수확시기도 늦어집니다.

총 생산량 감소 → 판매 수익 하락
상품성 있는 열매 수량이 줄어 경제적 피해로 이어집니다.

---

🌿 4. 해결방안 – 고온기 고추 낙화, 이렇게 막을 수 있습니다!

✅ ① 고온 스트레스 줄이기

차광망 설치
노지재배 시 은색 차광망을 설치해 직사광선 차단, 하우스에서는 내피 설치로 온도 감소

잎에 물 분무
오전, 오후에 잎에 가볍게 물을 뿌려 미세 냉각 효과 부여

아침 물주기
증산이 심한 한낮을 피해서 이른 아침이나 저녁 시간 관수

---

✅ ② 비료 조절 – 질소 줄이고 칼륨·인산 보강

인산(P), 칼륨(K) 위주로 시비해 꽃과 열매 생성 에너지 공급

칼슘 + 붕소 보충
→ 꽃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며 착과력 향상
→ 수용성 칼슘제, 붕소 복합비료 활용

---

✅ ③ 생리활성제 활용

아미노산, 호르몬 조절 보조제 사용
→ 고온기 생리 스트레스 완화 + 착과력 증가


---

✅ ④ 병해충 방제

꽃 주변의 총채벌레, 진딧물 등 흡즙성 해충 방제 철저히

살충제는 고온 시간대를 피해서 저녁에 살포

---

📝 마무리 TIP

고추는 여름철에도 잘 자라는 작물이지만,
꽃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으면 결국 수확은 줄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7~8월 고온기에는 위와 같은 낙화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수정 성공률을 높이고 열매를 튼실하게 맺도록 관리해주시면,
더 많은 수확과 고품질 고추 생산이 가능합니다.

이웃 추가 등록해 주시면 가장 먼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010-2360-6412
재배 중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세요.
세종세종 청운농원육묘장
답변왕
하우스고추
전남구례 남흥원예사
40년차 농약사·
안녕하세요, 남흥원예사입니다.

긴 글이지만 끝까지 읽어보시면 작물 생육에 큰 도움이 되는 내용이니, 꼭 한번 정독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비가 잦아드는 시기가 지나면, 곧바로 본격적인 '고온기'로 접어들게 됩니다. 이 시기는 고추 재배에 있어 아주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장마 이후 햇볕이 강해지고 기온이 급격히 오르면서, 고추는 수분과 양분을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되지만, 그 방식이 잘못되면 오히려 작물에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고온기 고추 재배 시 '관주(물 + 비료 주기)'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와 그 원리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온기 관주는 오히려 고추를 시들게 만들 수 있습니다
고온기(30도 이상)에는 고추 뿌리의 흡수 능력 자체가 떨어지며, 이때 과하게 물이나 비료를 주면 작물이 더 시들 수 있습니다.

물과 비료를 줬는데도 시드는 이유는 단순히 '덥기 때문'이 아니라, '삼투압 장애(염류 장애)'라는 과학적 이유 때문입니다.

왜 고온기에 비료 관주가 위험할까요?
1. 고온 스트레스로 뿌리 활동이 둔해짐
고온에서는 고추 뿌리가 스스로 열을 피하려고 활동을 줄입니다. 이때 흡수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주는 물이나 비료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합니다.

2. 뿌리 주변 염분 농도가 올라감 *중요*
고온기에는 물은 금방 증발하지만, 비료 성분(염류)은 토양에 남습니다. 그 결과 뿌리 주변의 염분 농도(삼투압)가 높아져, 오히려 식물 세포 안의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잎이 시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현상을 ‘역삼투압’ 또는 ‘염류 장애’라고 합니다.

3. 급격한 물주기는 뿌리에 부담
한 번에 많은 양을 빠르게 주면 산소 결핍 + 염 농도 급변이 겹치며 뿌리에 이중 스트레스가 가해집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간대
오전 6~9시 또는 해 질 무렵에 관주

-물의 양과 속도
천천히, 골고루, 과하지 않게

-비료 농도
고온기에는 평소보다 희석 배수를 더 늘려서 ‘약하게’ 관주 주기 격일 또는 토양 수분 상태에 따라 조절

-관주 대신 엽면시비 활용 *중요*
고온 스트레스 시 흡수 효율 높은 아미노산, 칼슘, 마그네슘 등은 잎으로 공급

고추는 물보다 ‘흡수 가능한 환경’을 원합니다
고온기에는 물을 얼마나 주느냐보다, 작물이 흡수할 수 있는 상태에서 주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고추가 스스로 숨을 쉬고, 영양을 끌어올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남흥원예사는 작물의 상태와 계절을 고려한 정확한 생육 관리법을 언제나 연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틈틈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재배 정보를 지속적으로 올리겠습니다.

이웃 추가 등록해 주시면 가장 먼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010-2360-6412
재배 중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세요.
경기고양 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의 법칙 입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비료를 어떻게 줘야 할까?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가장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입니다.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이란?

독일의 과학자 리비히가 주장한 이 법칙은 식물은 가장 부족한 영양소에 의해 생장이 제한된다라는 원리입니다.

작물 생장은 어느 한 가지 영양소가 부족하면, 다른 영양소가 충분하더라도 생장에 한계가 생깁니다.

실제 농사에서는 어떻게 적용할까?

✅ 벼농사: 지난해 논에 올무(잡초)가 많아 벼가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수확량이 줄었음 → 토양 분석 후 부족한 양분(예: 질소, 가리)을 채우고, 잡초 관리가 필수

✅ 밤 농사: 특정 구역(이평만)에서 쭉정이 밤이 많이 발생 → 밤이 충실하게 여물려면 붕소(B), 칼슘(Ca) 등 부족한 양분 보충 필요

✅ 마늘 & 딸기: 작물별로 가장 부족하기 쉬운 양분(마늘 – 질소 부족 시 생육 저하, 딸기 – 칼슘 부족 시 과실 품질 저하)을 미리 체크하고 보충

결론!!
농사를 지을 때 ⭐️모든 영양소를 무조건 많이 주는 것이 아니라, 가장 부족한 양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보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토양 분석을 통해 부족한 양분을 확인
✅ 필요한 양분을 맞춤형으로 공급
✅ 작물이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비료 낭비도 줄이고, 작물 생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농사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원칙!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우리 농장에 한번 적용해보세요!
Farmmorning
경기고양 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 붕소(B)의 효과 및 필요성 – 작물 생육에 꼭 필요한 이유!

농사를 지으며 붕소(B) 라는 영양소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붕소는 식물에 꼭 필요한 미량원소 중 하나로, 부족하거나 과하면 작물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붕소의 역할과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붕소(B)의 주요 효과

✔ 세포벽 형성 → 식물의 세포를 튼튼하게 만들어 생육을 촉진
✔ 뿌리 및 줄기 발달 → 뿌리의 활력을 높이고 양분 이동을 원활하게 함
✔ 꽃눈 형성 및 수정율 향상 → 꽃 수정이 잘 되어 착과율 증가 (과일·채소 필수!)
✔ 당·양분 이동 촉진 → 광합성으로 생성된 당을 균형 있게 분배하여 과실 품질 향상
✔ 저장성 증가 → 마늘, 감자, 양파 등 저장 작물의 품질 유지에 도움

⚠ 붕소 결핍 시 나타나는 증상

🔹 잎 끝이 타들어가거나(엽소현상) 기형 잎 발생
🔹 과실이 뒤틀리거나 터지는 현상 (예: 사과·배 기형과, 귤 동록현상)
🔹 뿌리 발달 저하로 생육 부진 (예: 무, 배추 뿌리 비대 불량)
🔹 마늘·양파 등 구근 작물의 알이 작아지고 저장성이 떨어짐

🌱 붕소 부족은 특히 모래 토양이나 산성 토양에서 자주 발생하므로, 토양 상태에 맞춰 적절히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붕소 과다 시 발생하는 문제

❌ 잎 끝이 마르고 노랗게 변하는 독성 증상 발생
❌ 뿌리 생장 저해로 작물이 위축됨
❌ 과다 사용 시 토양 내 축적되어 장기적으로 문제 발생

🔹 붕소는 많이 주면 독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올바른 붕소 시비 방법

✅ 기비(밑거름)로 사용 시

마늘, 양파, 감자 등 저장성이 중요한 작물에 심기 전 붕사(융전 붕사 등) 10a당 1~2kg 시비

벼·보리 등 곡물류에는 기비로 적당량 사용

✅ 엽면시비(추비)로 사용 시

붕소 결핍이 보이면 붕산 수용제 희석 후 엽면 살포 (생육기 2~3회 사용)

과수(감귤, 사과, 배 등) 착과율 향상을 위해 개화 전·후 2회 정도 뿌려주면 효과적

🌟 결론 – 붕소, 꼭 필요하지만 과하면 독!

붕소는 작물의 생육과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미량원소입니다.
부족하면 작물이 기형과를 맺거나 성장이 멈추고, 과하면 독성이 생기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수!
토양 상태와 작물의 필요량을 고려해 알맞게 시비하면 품질 좋은 수확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은 붕소 비료를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가요?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안면도 직접 찾아뵙고 고추씨앗을 전달하였네요 수량이 많은것도 이유지만 농사 환경이 어떤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운전대 잡고 달려갔습니다 🚚

안면도 농가 선생님 의 고추 씨앗은 품종 선택부터 씨앗은 안면도의 독특한 해양성 기후와 토양을 고려해 품종을 추천드렸습니다 . 덕분에 다양한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고, 병충해에 강한 내병성 또한 씨앗의 발아율이 높아서 충분한 모종을 얻을 수 있어요. 농가분은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고추 재배에 최적화된 환경 고추농사 하여 고추품종을 직접 조언도 아낌없이 해주셨습니다. 농사대장한테 고추씨앗 구매시 재배 중 특이 사항이 생기면 즉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에요 🤭 특히 고추품종 선택 신뢰할 만한 씨앗을 고르는 게 농사의 반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이 씨앗이 믿을 수 있는지 판매처가 어디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그리고 여기서 공유할 팁과 정보는 초보농민 물론, 어느 정도 농사 경험이 있는 분들에게도 유용할 거예요. 안면도 농가분의 어떻게 활용하면 성공적으로 고추를 키울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지역별로 적합한 품종이 따로 있으니 너무 일반적인 고추 씨앗을 선택하면 안 돼요. 병충해 내병성도 잘 살펴봐야 해요. 이미 검증된 품종 경우라면 걱정 없이 선택해도 됩니다. 장점뿐만 아니라 초기 성장기에 병충해에 약할 수도 있으니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해요..


자주 묻는 고추 씨앗 관련 질문 Q&A

Q1: 고추 씨앗은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팜모닝 마켓 농사대장 구매 전화구매 010 4357 0900
매장 직접 방문

Q2: 고추 씨앗은 어디서 사는 게 좋은가요?
문제가 생겼을때 즉각 처리가능한 업체가 좋습니다
즉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업체나 종묘사


안면도 농가 선생님 만나고 돌아오는길 안면도 꽃게 맛집이 많아서 간만에 너무 맛있게 먹고왔네요 밥도둑 ^^
지금은 하늘의 별이된 배우김수미님 친분이 있는 가게라네요 사장님 너무친절하시고 맛도 너무좋고 암튼배부르게 먹고 포장까지 해왔네요
Farmmorning
Farmmorning
Farmmorning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주말시작되는 아침 내년 고추농사 성공과 농가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식을 나눔을 해 봅니다

오늘 병충해주제
고추피망 꼭지썩음병



병징 수확후의 열매에 발생하며 수송 중이나 시장에서 썩음의 원인이 된다. 처음에는 열매꼭지의 잘린 곳이 물번진 모양으로 물러지고 꽃받침, 과육의 순으로 빠르게 물러져 적지만 껍질은 썩지 않는다. 썩음의 진행에 따라서 표면은 거미줄 모양의 곰팡이로 덮이고 그 위에 많은 수의 검은 가루가 생긴다.
병원균 Rhizopus stolonifer (Ehrenberg : Fries) Vuillemin사상균의 일종으로 접합균류에 속한다. 포자낭을 만들며 많은 수의 포자낭포자를 가지고 있다. 포자낭은 어두운 갈색의 공 모양으로 지름은 90~300um이다. 포자낭포자는 어두운색의 타원꼴~레몬꼴로 크기는 7~164m이다. 포자낭경은 1~6개가 모여 나고 갈라지지 않는다. 생육적온은 20-30"C, 최적온도는 25'C 안팎이다. 포자낭포자는 증류수에서는 발아하지 않지만, 피망 과즙에서는 잘 발아한다. 쉽게 분리배양 할 수 있고 배지에서는 흰색 균총의 표면에 검은 가루 모양의 포자낭이 생긴다. 전염 본 균은 부생성이 강하며 포장 안의 식물 잔재물에서 부생적으로 증식하고 거기에서 생긴 포자낭포자가 날려서 열매꼭지의 잘린 상처로 침입한다. 발병적온은 25-30c*로 3~5월에 비가 내린 뒤 수확한 열매에 발생하기 쉽다.


방제 고추 열매의 수확시 비에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저장 혹은 수송시 상자 내가 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FarmmorningFarmmorning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오늘은 고추재배의 암 탄저병 알아볼께요


병징 열매와 잎에 발생한다. 열매에는 처음에 물 번진 모양의 작은 점무늬가 생기며, 나중에 갈색으로 변해서 움뚝 들어가고 확대되면서 겹가락지 무늬를 만든다. 가운데 부분은 째빛으로 변해서 표면에 작고 검은 입자가 겹둥근 무늬로 발생한다.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는 연어살색의 점액이 생긴다. 앞에는 처음에 누런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긴다. 차출 갈색의 불규칙한 모양으로 화대하고 나중에 가운데 부분이 약간 퇴색해서 햇빛을 보인다.

병원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ig) Penzig et Saccardo 사상균의 일종으로 불완전균류 속하며, 분생포자퇴 위에 분생포자와 강모가 생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의 긴타원꼴로 크기 9,0~24.0 x 3.0~6.04m이다. 분생포자경은 무색 단세포의 원기둥꼴로 분생포자 형성양식은 피알리드형이다. 강모 갈색으로 1~4개의 격막이 있고 밑 부분은 약간 부푼다. 맨 끝 부분으로 향해서 차촌 가늘어 지며 길이는 균일하 않고 때로는 200m 이상에 달하며 폭은 4~-84m이다. 본 균의 완전세대는 Glome rella cingulata이다.


전염 병원균은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병든 조직에서 월동하고 전염원이 되지만, 종자전염도 한다. 2차전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분생포자가 빗방을 미립자와 함께 튀어 올라 일어나기 때문에 노지재배에서 발생하기 쉽다. 시설재배에서는 거의 발생안한다
방제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고 종자를 소독하거나 온탕처리(52C, 30분간)한 후 파종한다. 지표면과 가까운 과실은 조기에 수확하거나 제거하여 병 발생을 줄인다. 탄저병이 걸린 과실은 초기에 제거하여 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용약제를 뿌린다. 연작을 피하고 비가림 재배를 통해 병 발생을 줄인다.
Farmmorning
Farmmorning
Farmmorning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이예요 🫡
오늘은 고추모자이크병 알아볼께요

글씨 오타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 ^^



병징 병원바이러스의 종류와 계통에 따라서 특이한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재배환경이나 품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래 했같리는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어 진단은 결코 쉽지 않다. AMV는 모자이크 증세를 보이는 포기에서 분리된다. CM\V에서는 잎에 모자이크가 생기거나, 바이러스의 계통이나 한경조건에 따라서 잎이나 분지에 괴저가 생기고 앞이 떨어질 수도 있다. 나중에 병든 포기는 왜소해지고 잎은 소형화되어 버들잎 증상을 보인다. 열매에 열은 누런색의 둥근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BBWV 및 CMMV의 병징은 CMV보다 약하고 잎에 가벼운 모자이크나 누런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긴다. BBWV에서는 줄기에 가벼운 괴저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BBWV 반입계에서는 잎에 뚜렷한 누런색의 점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기고 열매에도 누런색의 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X에서는 잎에 괴저를 동반하는 심한 모자이크가 생기며, 때로는 흐릿한 누런 갈색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Y에서는 잎에 누련색 점무늬나 누런 얼룩 모자이크가 생기고 줄기나 열매에도 누런색 줄무늬가 생긴다. BBWV와 중복감염 되면 줄기에 심한 괴저가 생기고 극단적인 결실 장애를 보인다. TMV에서는 처음에 나온 새잎이 누렇게 되고 곧 자주갈색의 괴저점무닉가 생기며 심할 때는 떨어진다. 어린 분지나 성숙한 잎의 잎자루에도 괴저 점무닉가 생긴다. 열매는 누런색으로 변하거나 혹은 괴저 점무늬가 생기며 떨어지기 쉽다. TMV에서는 새잎이 누련색으로 변한 후에 뚜렷한 모자이크로 바뀌고, 열매에는 누런색 무늬나 줄무늬가 생기며 기형이 보이기도 한다.


AMV 크기는 56 x 16nm (B), 43x16nm (M), 35x16nm (Tb), 30x16nm (Ta)의 4종의 입자로 이루어진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0~65C, 희석한계 10-5~106, 보존한계 3~5일이다. BBWV : 지름 25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2, 3개의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는 60~70C, 희석한계는 10-4~10-, 보존한계는 2~3일이다. 기주범위가 넓어 시금치, 완두, 콩 외에, 화초나 잡초 등에 기생성을 보인다. TAV :지름 25~30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5~60C, 희석한계 102~10, 보존한계 18.5"C에서 2~3일이다. 국화과, 가지과 외에 다른 식물에 비교적 넓은 기생성을 보이지만, 병징은 일반적으로 가볍거나 없다. CMV:지를 28~30nm의공 모양 바이러스로 몇 가지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 55~75C, 희석한계 104~105,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2-8일이다.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가지과, 박과, 십자화과 외에 많은 식물을 감염하고 45과 190종의 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PVX : 515x13nm의 실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8~75"C, 희석한계 10-5~10 6,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기주범위는 명아주과, 비름과, 번행초과 등이다. PVY: 730x11nm의 실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2~62C, 희석한계 10 -2~10*,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1~2일이다. 기주범위는 좁아 가지과, 명아주과의 일부 식물에 기생성을 보인다. TMV: 300x18nm, 막대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88~93C, 희석한계 10 6~10 ',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본 바이러스에는 몇 가지 계통이 있지만 피망에서는 토마토계, 보통계, 고추계가 중요하다. 토마토계는 토마토에, 보통계는 담배에 대한 기생성이 강하다


전염 AMV, BBWV, CMV, TAV, PVY는 진딧물류에 의해서 비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즙액접종은 쉽지만, 접촉전염은 드물고 종자 및 토양전염은 하지 않는다. PVX의 전염원은 감자 등의 병든 식물로 생각되지만, TMV의 1차전염은 주로 보독한 종자 및 오염된 토양에서 일어난다. 두 바이러스 모두 발병 후는 병든 포기와의 접촉이나 흑은 수확작업 등에 의해서 쉽게 즙액전염 한다.


방제 이들 바이러스는 종자전염을 하거나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매개하므로 이들 매개충의 밀도를 줄여서병 발생을 낮춘다.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는 유묘를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오염토양, 웃,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식, 적아, 수확 등의 작업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Farmmorning
Farmmorning
Farmmorning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오늘은

고추병해충제 핵심재배법
글오려보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래봅니다


고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병징 발생환경에 따라서 병징이 다르다. 시설재배에서 겨울철에 발생하면 생장점의 급속이 말라죽음, 어린잎이나 열매에 가벼운 모자이크나 기형, 성숙한 잎에 흐릿한 누런색 둥근 무늬, 줄기의 앞 끝이나 밑동부에 갈색괴저, 줄기의 관다발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 등, 복잡한 병징을 나타내지만 열매 표면이나 자루에 갈색의 괴저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심하게 발생하면 모든 잎이 시들어 말라죽는다. 여름에는 앞 끝 부분의 몇 장이 누런색으로 변하고 잎에 요철( 이나 검은색 괴저가 생기지만, 생장점이 말라죽는 것은 적다.


병원바이러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omato spotted wilt tospovirus (TSWV)바이러스는 공 모양의 크기 70~90nm로 내열한계는 45~50, 희석한계는 1~2 x 10 5, 보존한계는 25 C에서 10~15시간이다. 토마토, 가지, 담배, 시금치, 달리아, 국화 등 많은 식물에 기생성을 보인다.



전염 본 바이러스는 총채벌레류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전반되지만, 경란전염은 하지 않는다. 즙액접종은 쉽지만, 접촉전염은 아주 적다. 총채벌레류의 보독은 애벌레만이 가능하며 병든 식물을 흡즙한 후 10일 안팎의 잠복기를 거쳐서 매개능력을 갖는다. 보독한 벌레는 22~30일 동안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때로는 평생 바이러스를 보독한다.



방제 초기 발생기에는 병 걸린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소각 처분한다. 하우스 재배나 육묘 중에 측창주변에 서식하는 별꽃류, 큰메꽃, 개비름, 박주가리 등 중간기주가 되는 잡초를 제거한다. 하우스에서 외부로부터 총채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방충망 시설을 하며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거나 출입 시 신발의 바닥을 소독한다. 효과적인 바이러스병 피해예방은 저항성품종을 재배하는 것이다. 노지 고추에서는 총채벌레 발생 전인 5월 중순부터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최초 방제시는 포장 주변의 밭두렁에도 살포한다.
Farmmorning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