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활
농민
추가한 이웃8명

게시글
자유주제·자유게시판
직불금 신청하려고 보니깐.

경영체 등록을 10월 이전에, 그러니까 9월까지 해야 다음해부터 직불금 받을수 있다네요. 그러니까 10월 11월 12월 3개월은 되어야 다음해에 신청가능 하데요.

저같은경우 부모님 땅 임대로 경영체 등록을 10월초에 했는데, 이런얘긴 듣지도 못했어요. 저는 급한게 아니어서 작년에 경영체등록 안했어도 되는데, 결국 올 한해 직불금을 부모님도 저도 모두 못 받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정책이 이건 좀 아닌것 같네요.
좋아요 1 댓글 0
포도·병해충상담
샤인머스켓3년차인데, 전지 하다보니 나무가 전체적으로 납작합니다.
종이를 돌돌 말아서 손바닥으로 누르면 납작해지잖아요.
그것처럼 결과지는 납작하거나 심하게 완전 납작하고, 8자 느낌, 그나마 굵은 주지는 덜해보이긴 하지만 납작합니다.

나무가 동글동글 해야하는데,
어떤분은 질소과잉 이라고 하시던데, 저는 뭐가됫던 영양분이 부족해서 그런건 아닌가 싶어요.

토양검정하면 대부분 부족한 상황이거.든요.
최근 토양검정 결과인데, 인산,칼리가 부족하고, 토양도 산성이고....이건 석회고토 2달전에 뿌리고 검사했는데도 여전히 산성입니다. 작년에도 산성이었고요.
그리고 인산칼리비료를 구입해서 주기적으로 관주나 살포하면 될까요
좋아요 16 댓글 28
Farmmorning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 강화 vs 완화
반대합니다.
농막도 그렇고 경영체도 그렇고, 완화해도 솔직히 기존 농민들에 득이되는게 없습니다.

농자재 판매하시는분들이나 좋아지는거죠.
좋아요 3 댓글 0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 강화 vs 완화
24년 9월쯤 경영체 등록을 했습니다.
기준도 기준이지만 경영체 등록을 하기위해서 3~4곳의 기관을 방문해야 했습니다.
강화와 완화를 떠나서 경영체 등록이라는 1가지 업무 때문에 시골 농민이 행정기관을 3~4곳이나 왔다 갔다 한다는건 좀 너무 한것 같습니다.

처음에 농산물품질관리원 방문,상담하니
농어촌공사에서 서류처리해야함.

농어촌공사에 문의해서 필요서류안내받은후,경영체등록 농지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방문해서
농어촌공사에 필요한 서류발급받고,
(여기서 무인발급기에서만 발급하는 서류가 있는데, 2곳의 면사무소를 방문했구요.)
(읍면사무소에 방문했더니 무인발급기에서만 발급가능하니, 무인발급기가 있는 곳으로 가야한답니다. 무인발급기의 용도를 이상하게 이용하더군요. 이럴거면 무인발급기를 모든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를 하던지.정말 어처구니 없었음)

준비된 서류를 가지고 농어촌공사방문 및 서류처리후

다시 읍,면사무소 방문해서 농지대장 등록

다시 농산물품질관리원 방문해서 경영체 신청

농품관 직원분 현장 방문후 최종 완료.

조건을 강화를 하던 완화를 하던, 업무처리과정에 동선이 너무 복잡합니다.
좋아요 16 댓글 8
자유주제·자유게시판
각종 농자재값은 상승 하는데, 농산물가격은 재자리....가격 좀 오른다 싶으면, 정부에서 비축분 풀거나 수입해서 가격조정해버리고, 가격조정하는것은 좋은데, 그럼 농민들에게 보상은 해줘야 할것 아닌가요? 언론에 보면 다른 업종들은 일만 생기면 정부에서 지원 한다고 하는데...농민들은 진짜 힘이 없네요.
좋아요 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