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쿨대회
옛날 정월 대보름날이나 추석 명절에 작은 동네에서 콩쿨(콩쿠르는 프랑스어)대회가 있었다.
노래자랑을 콩쿨대회라고 했다.
정월 대보름에는 날씨가 추워서 주로 추석 명절에 콩쿨대회가 열렸다.
명절을 끼고 열렸던 가장 큰 이유는 명절을 맞이하여 고향을 찾는 사람들에게 같이 어울리는 한마당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객지에서 돈을 벌고 고향을 찾는 젊은이들에게 금전적으로 찬조를 받기도했다.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새마을 운동과 더불어 4H라는 농촌 젊은이들의 단체가 있었다.
4H클럽은 농업 구조 개선과 농촌 생활 개선을 목적으로 설립된 세계적인 농촌 청소년 단체다.
4H란 머리(Head), 마음(Heart), 손(Hand), 건강(Health)을 뜻하는데 명석한 머리, 충성스런 마음, 부지런한 손, 건강한 몸을 지향하고, 건전한 민주시민을 양성하여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였다.
국기 게양대에 가운데 태극기가 있고 양쪽으로 새마을기와 4H기가 나란히 펄럭이고 있었다.
마을 입구마다 녹색으로 4H를 상징하는 네잎클로버를 새긴 돌에 마을 4H이름을 새겨서 세웠다.
정부에서 지원도 많았고 4H경진대회는 큰 행사였다.
우리동네 4H가 주최가 되어 추석명절에 콩쿨대회를 하기로 했다.
남원읍내 소리사에서 앰프를 빌려 잿마당 큰 정기나무 높은 곳에 나팔모양의 스피커를 사방으로 달고 무대를 만들었다.
우리마을에서 콩쿨대회를 한다고 붓으로 큼지막하게 써서 인근 이웃 마을에 포스터를 붙이고 다녔다.
날자와 시간, 장소, 상품을 적은 포스터라기보다는 알림장이었다.
우리 마을은 장수군과 경계를 하고 있어서 장수군에 속해 있는 가까운 번암면 수작골과 논실이라는 두곳 동네에도 포스터를 붙혔다.
이때는 마을마다 껄렁껄렁한 애들이 몇명씩 꼭 있었다.
괜스리 가오를 잡는다고 얼쩡대면서 시비를 걸기도해서 싸움판이 나기도했다.
그래서 지서(파출소)에 신고를 해서 치안을 부탁했다.
그때는 지서에 부탁을 하면서 식사비를 따로 전달하기도 했다.
지금 같이 마이크가 성능이 좋지 않아서 잡음도 많고 소리도 맑지 않았다.
"아~ 아~ 마이크 테스트~ 잘 들립니까?"는 어린 시절 흔하게 듣는 소리 였다.
우리 세대의 경우 어린시절에 자기가 살고 있는 마을과 이웃 마을에서 열리는 콩쿨을 한 번쯤 구경했고 주위 분이 참가해 보지 않은 분이 거의 없을 것이다.
콩쿨대회가 열리는 날이면 노래깨나 한답시고 폼을 잡던 이 마을 저 마을 동네가수들이 총 출동을 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당시 노래방이 없던 시절이다 보니 지금처럼 노래 잘하는 사람들이 드물었던 시절이었다.
일찌감치 저녁을 먹은 동네 사람들이 누가 시키지도 않았건만 삼삼오오 노래자랑 무대가 설치 된 잿마당으로 모여든다.
이웃 마을 처녀총각들도 모여 들었다.
임시로 만든 무대 옆에 수북하게 쌓아 놓은 시상품들을 보며 노래를 신청한 사람들은 노래도 부르기 전에 먼저 상품에 눈독들을 들인다.
시상품으로 탁상용 라듸오, 둥그런 벽시계, 큰 양은 솥과 냄비세트, 플라스틱 반찬 세트 통, 주전자, 양동이 등 다양했다.
각 상품에는1등, 2등, 3등, 인기상 등 종이로 만든 드림이 길게 매달려 있어 출연자들이 시상품에 눈독을 들이며 열심히 노래를 부르면서 입상의 의지를 다졌다.
양은 솥과 노란 양은 냄비세트는 인기 만점이었다.
그러나 그중에 가장 인기있었던 것은 대상으로 받는 탁상용 라디오였다.
1960년대만 해도 TV가 없던 시절이라 라디오의 인기야 두 말 하면 잔소리였다.
너도 나도 라디오에 눈독을 들인 건 당연한 일이었다.
접수를 받아서 사회자가 순서대로 소개를하고 부르면 무대에 올라와서 노래를 불렀다.
완전 라이브로 하기 때문에 박자와 가사도 많이 틀리게 부르기도했다.
면단위로 하거나 조금 규묘가 큰 콩쿨대회는 기타로 반주를 하는 사람을 초대해서 더 흥겹게 하기도했다.
당시 심사는 4H회장과 이웃마을 4H회장 몇명을 초대해서 심사를 부탁했다.
이와 같이 연례행사처럼 꾸준히 콩쿨대회와 유명 연예인들이 극장에서 하던 쑈가 1970년에 들어서면서 집집마다 텔레비젼이 들어오고부터 우리 곁에서 소리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볼거리 없던 내 어린 시절에는 콩콜대회와 천막을 치고 봤던 영화와 극장 쇼 만큼 좋은 구경거리였다.
추억이란 세월과 함께 멀어져 가는 강물이 아니고 나이를 먹어가면 갈수록 다시 내게 새록새록 흘러 나온 것 같습니다.
멀어져가는 것들,
잊혀져가는 것들,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추억이 요즘 몇 방송사에서 토롯트 가수를 뽑는 프로가 새삼 새롭게 느낄때가 많다.
어쩜 그리 노래를 잘할까?
어쩜 그리 잘 생겼을까?
음악 반주에 맞춰 리듬감과 운을 살려 이야기하듯 노래하는 음악 형식인 요즘 랩(rap)보다 트롯이 우리세대에는 좋은 것 같습니다.
옛날에는 뽕작이나 트롯은 나이 든 가수들의 전용물이었는데 젊은이들이 퍼포먼스와 같이 노래를 부를 때 훨씬 좋아 보였습니다.
화려한 조명과 음향에 잘 생긴 것들이 노래까지 잘하니 더 이뻐지는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입춘이 지났는데
추위가 만만치 않습니다.
삼한사온의 날씨가 아니고
이번주부터 다음주초까지 길게 최강한파와 일부지역에 대설주의보까지 내렸습니다.
추위만 있어도 견딜만 했는데 많은 눈까지 겹치면 심란하거든요.
연세드신 분들께서는 바깥출입을 삼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특히 노인들께서 감기로 인한 폐렴이 전파되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그룹 클론 출신인 구준엽의 아내 대만 배우인 서희원이 젊은 나이에 폐렴으로 사망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만병의 근원인 감기를 따뜻하게 하셔서 예방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