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용기네
콩 작업
건조중
12월 11일
29
43
Farmmorning
온도가 쑥 올 라가니 모과 꽃도
피기 시작 하네요.
4월 10일
10
2
1
Farmmorning
고추 세척하여 건조기 건조시작 고추 따서3일 선풍기 바람으로 후숙~
8월 8일
20
3
1
Farmmorning
노지 첫 고추 수확후 건조까지 했읍니다
7월 2일
13
6
1
Farmmorning
포트 전용 온실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뚜껑은 문짝형식으로 열렸다 닫혔다 하고 비닐은 이중으로 했습니다.
바닥도 이중인데 중간에 보온재 깔려다 잡초매트 깔았습니다.
온도가 순간 올라 가네요.
내일은 온도계 걸어 둘까 합니다.
24년 3월 21일
37
24
Farmmorning
온도체크 하면서 통풍및 물주기를 하고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씩 은 영양제도 주고요, 튼튼하게 잘자라주기를 바라면서요~~~!
3월 19일
17
14
Farmmorning
건강하고 안전하게
고추 수확하여 건조하기, 참깨 수확후 김장채소를 심고 가꾸는 8월을 기대해 봅니다
사진은 1차 수학하여 2일 후숙, 건조기에 1일 반건조하여 태양에서 말리고 있습니다
8월 11일
21
11
Farmmorning
고추따서 사과식초 물에 샤워시켜 건조 했내요
8월 23일
14
1
Farmmorning
저희는 고추 건조기가 없어서 매번 고추 말릴때는 남의 건조기 남는 자리에 넣어 건조를 시켰는데 요번에는 한칸을 빌려줘서 이렇게 건조하고 있습니다. 우리동네 어르신들 화이팅!
7월 29일
14
1
Farmmorning
도라지 수확 했어요 판로가 없어서 건조기에 건조하고있어요
11월 1일
21
11
Farmmorning
[ 주간농사정보 제 45호 2024. 11.4.~.11.10]
💚벼, 콩, 감자, 보리, 밀, 고구마, 배추, 무, 마늘, 양파, 딸기, 배, 단감💚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9.4~11.2℃)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3.5~16.7㎜)보다 적겠음 * 찬 공기의 영향을 일시적으로 받을 때가 있겠음
- (저수율) 74.6%(평년 68.9%의 108.3%) * 10. 28. 기준
🌾 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토양검정) 작물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여 시비처방서 발급과 지도를 받음
-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가 소홀하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 밭작물
- (보리·밀)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정비
-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임
- (종자 관리) 작물별 채종 적기 수확과 탈곡 · 조제 시 이형립 섞이지 않도록 주의, 저온 조건에 밀폐 저장
🥬 채소
- (가을배추‧무) 중북부 동해 받기 전 수확, 남부 부직포나 비닐 등 한파 대비
-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하순 파종, 중만생종 양파 11월 상순 아주심기 완료
- (시설채소) 보온 및 가온장비 보강,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등 방제 철저
- (딸기) 급격한 저온에 대비한 보온시설 정비, 수정벌 투입, 개화기 잎 5~6매 관리
🍇 과수
- (배 수확 후 관리) 수확 후 상처과, 생리장해과, 병해충과, 과숙과는 선별하고 예건 후 저장하여야 장기간 보관 가능
- (단감)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 (저장) 저장고 온도 0~2℃, 습도 80~90%, 산소 5%. 탄산가스 5~10% 적정
-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회, 10분씩)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6040&fileSeCode=185001&fileSn=1
11월 2일
30
70
3
Farmmorning
고추따서 후숙 건조시작하기
8월 12일
10
1
Farmmorning
소국화. 수확
건조해서
방향제. 만들기♡
향기가 솔~^솔
12월 5일
34
23
Farmmorning
[✍️멀칭 비닐 색상별 장단점]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5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1월 13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멀칭 비닐 색상별 장단점>입니다.
최근 월동준비를 앞두고 많은 농부님들이 멀칭 비닐 씌우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농부님들의 고민을 덜어드리기 위해 오늘은 멀칭 비닐의 색상별 장단점을 공부하겠습니다.
🔻흑색 비닐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장점
- 지표면의 보습 효과가 뛰어남
- 햇빛을 차단하여 잡초 억제에 효과적
- 토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뿌리가 얼어붙는 것을 방지
• 단점
- 낮은 햇빛 아래에서 온도 상승이 어려워, 비닐 아래 온도가 너무 낮을 수 있음
- 일부 작물에는 너무 낮은 온도에서 생육이 둔화

🔻투명색 비닐
• 장점
- 햇볕을 잘 흡수하여 겨울철 토양 온도를 빠르게 올려줌
- 겨울철 추위로 인한 생장 정체를 방지하고, 빠른 뿌리 발달을 촉진
- 잡초 억제 효과는 낮지만, 토양 온도 상승에는 효과적
• 단점
- 겨울철에는 과도한 온도 상승이 일어날 수 있어, 온도 관리가 필요
- 지나치게 온도가 높아지면 작물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음
- 잡초 관리가 필요하여 추가적인 노동이 들 수 있음

🔻흰색 비닐
• 장점
- 햇빛을 반사하여 토양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음
- 고온을 방지하여 겨울철 고온에 민감한 작물에 적합
-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작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줌
• 단점
- 겨울철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효과는 적음
- 일부 작물에는 충분한 보온 효과가 부족할 수 있음
- 잡초 억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 추가 관리가 필요

🔻녹색 비닐
• 장점
- 흑색보다 1~3도 지온을 높여
- 비타민 D 합성을 도와 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촉진
- 토양 보온 효과가 뛰어나 겨울철 냉해를 예방
• 단점
- 다른 색상에 비해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과도한 온도 상승을 초래할 수 있어, 온도 관리가 필요
각 색상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재배하는 작물과 환경에 맞는 비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농사공부 5탄 71편 [잡초막는 멀칭 종류]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I1NjMy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월 13일
35
545
5
Farmmorning
[ 주간농사정보 제 43호 2024. 10.21.~.10.27]
💚벼, 콩, 감자, 보리, 밀, 마늘, 양파, 딸기, 사과, 단감💚 키우시는 팜이웃님들 주목!
🔽농촌진흥청은 이런 농사정보를 제공했어요!
☀️ 농업정보
- (기상) 기온은 평년(12.0~13.4℃)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2.6~17.7㎜)과 비슷하겠음 * 상층 찬 공기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음
- (저수율) 69.7%(평년 68.6%의 101.6%) * 10. 14. 기준
🌾 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 실시
🌽 밭작물
-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 채소
-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 피복 및 노균병 예방적 방제
- (시설채소) 보일러 등 난방시설 점검, 난방용 연료 준비, 환기로 적정습도 유지
- (딸기) 해 지기 전후 3~4시간 동안 당을 과실로 보내야 하므로 13~15℃ 유지, 새벽 최저온도 5~6℃ 관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 과수
- (수확방법) 햇볕이 잘 드는 곳부터 3∼4회 분산 수확, 수확 시 꽃눈 주의 등
- (사과) 장기저장용은 10월 20~25일, 단기저장·판매용은 10월30일~11월5일에 수확
- (단감) 컬러차트 색도가 과정부 6(등적색), 과저부 5(등황색)일 때 수확,꼭지들림과 발생이 심한 과원은 꼭지들림 발생 하기 전 수확
🔻 주간농사정보 전문 보러 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5728&fileSeCode=185001&fileSn=1
10월 19일
17
48
1
Farmmorning
✍️[매일매일 농사공부 시즌2 11편 - 시설하우스의 온도 환경]
👋안녕하세요 팜이웃 여러분!
오늘 공부해볼 내용은 <시설하우스의 온도 환경>입니다.
시설 내 온도 환경은 바깥의 기상 상태에 따라 변화합니다. 최적 온도 환경을 맞추기 위해서는 작물, 생육 단계, 계절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설 내 온도 환경 조절을 위한 난방관리와 냉방관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1. 난방관리
- 시설재배는 주로 동절기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을 하지 않으면 작물을 재배하기 어렵습니다.
- 난방비는 전체 관리비의 3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난방 효율을 높여야 합니다.
- 난방 요구량이 낮은 작물을 선정하거나 보온력을 높여서 방열을 최소화하는 등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해야 합니다.
- 적정한 온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작물 생육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적정 온도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변온 관리를 통해 오전에 광합성을 증가시키고 야간에 동화산물의 전류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올릴 수 있고, 난방비 절감에도 도움이 됩니다.
- 주간의 일사량에 따라 야간 온도를 다르게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2. 냉방관리
- 시설 내 온도 하강을 위해 차광, 환기 등을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냉동기의 이용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냉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재배시설이 빛이 잘 투과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내부 기온이 30도 이상으로 상승합니다. 환기를 통해 높은 실내 온도를 낮추고 내부 공기를 바깥으로 보내며 외부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차광은 온실 내로 유입되는 태양에너지를 감소시켜 온실 내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 은색 차광망이 흑색 차광망보다 온도 하강 효과가 높습니다. 은색 차광망은 열선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태양광선과 열을 반사합니다.
❓[공부 내용 퀴즈]❓
ㅇㅇ 차광망이 흑색 차광망보다 온도 하강 효과가 높습니다.
ㅇㅇ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일까요?
댓글에 '공부완료' 와 함께 ㅇㅇ에 들어갈 정답을 맞혀주세요.
위 콘텐츠는 농촌진흥청에서 발행한 시설원예 2021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농업 경영을 위한 필수 사이트 6가지 알아보기] 으로 찾아뵙겠습니다.
📺하우스 온도 하강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룬 팜스쿨 채널의 영상도 참고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pzEe0QWvoso
23년 8월 3일
16
720
Farmmorning
고추건조방법 : 농진청 자료참고
미생물 오염도 99% 감소 및 고추 색깔 가장 좋은 건조기 설정방법
65도로 6시간 건조 이후 55도로 낮추어 건조.
참고가 되셨음합니다.
8월 7일
1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