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진딧물, 작물의 조용한 파괴자
작물 잎이 구불구불 말리고, 끈적한 액체가 흐르며 기형 증세가 보인다면?
네, 바로 진딧물 피해일 가능성이 큽니다.
작고 연약해 보여도 진딧물은 무서운 속도로 번식하며 작물에 큰 피해를 줍니다. 게다가, 단순히 즙액을 빨아먹는 걸 넘어서 각종 바이러스병까지 퍼뜨리는 주범이기도 해요. 😨
그래서 오늘은 진딧물의 모든 것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드릴게요!
🐜 진딧물은 왜 생기나요?
진딧물 발생은 단순히 “벌레가 왔네~”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환경적 요인, 재배 습관, 기상 조건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죠.
✅ 진딧물이 잘 생기는 조건
**기온 15~28℃**의 따뜻한 봄가을
건조한 날씨, 비 안 오는 시기
질소비료 과다 시비 → 잎이 연해져 진딧물 유입↑
잡초 방치 → 중간기주 역할
밀식 재배 → 통풍 불량
💡 특히, 비료 많이 준 작물일수록 진딧물에 더 잘 당한다는 사실!
🔄 진딧물의 생활사, 알고 있으면 방제가 쉬워진다!
진딧물은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증식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무수정 생식, 즉 단독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 진딧물의 주요 생활 주기
알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부화, 약충이 작물 즙액 흡수 시작
성충은 날개 유무에 따라 이동성↑
단위생식으로 하루에도 수십 마리 번식
🌱 진딧물이 주는 피해 증상
진딧물이 생긴다고 작물 잎만 망가지는 게 아닙니다. 피해는 상상 이상으로 확대돼요.
주요 증상 요약
🌪 잎 말림과 기형화
🥵 끈적한 감로 분비 → 그을음병 유발
☀️ 광합성 저해 → 생장 정지
📉 수확량 감소 → 상품성 하락
🦠 바이러스병 전염 (예: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 특히 감로로 인해 잎이 시커멓게 되면, 시장 출하가 어려울 수도 있어요.
💪 진딧물 방제, 어떻게 해야 할까?
1️⃣ 예방이 먼저!
예방이 반입니다. 초기에 막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어요.
🛠 진딧물 예방 관리법
🔍 밭 순찰 자주 하기 → 잎 뒷면 집중 확인!
🌿 주변 잡초 제거
⚖️ 질소비료는 적정량만
🍃 밀식 피하고 통풍 좋게 하기
2️⃣ 약제 방제 – 전문가 추천 3대 진딧물 킬러!
진딧물이 이미 군집을 이루고 있다면? 즉시 약제 살포가 답입니다.
아래는 농가에서 입증된 대표 진딧물 전문 약제들이에요.
3️⃣ 교호 살포는 필수!
아무리 좋은 약도 같은 성분만 계속 쓰면 내성이 생깁니다.
약제 살포 전략
🔄 성분이 다른 약제를 교대로 사용
⏰ 잎 뒷면에 진딧물 발견 즉시 방제
☀️ 이른 아침 or 해 질 무렵에 살포
📌 6~9월 고온기나 비 온 뒤에는 확산이 빨라지니
집중 방제에 힘 써야 해요!
초기에 잡아야 진딧물 피해 '제로'!
진딧물은 "보이면 이미 늦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확산 속도가 빠릅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한 발생 요인과 방제 전략, 그리고 스퀴즈·파라슈트·킬링샷 같은 전문 약제를 활용한다면, 확산 전에 충분히 잡을 수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초기 발견과 빠른 대응!
공동구매 참여
사진으로 약제추천 처방진단 가능
http://pf.kakao.com/_qtGsn
2025-06-05T22:38:15Z · 2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