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상담
전북진안 박진태
이정도의벼멸구피해면몇%나감수될까요
열매벌레(성충)
Farmmorning
충북진천정금천
벼멸구 피해가 상당하네요 내년엔 거울삼아 방제에 집중하셔야 겟어요 전 혹명나방 때문에 고생했는데 방제가 잘안되드라구요
경기안산들꽃농장
♡농사는 경험이다.♡·
사진상으론 90%정도 되는 듯 보여요
충북제천윤재하
저는 깻잎 농사꾼 9년·
속상하시겠 습니다
고온의 날씨탓 이겠지요

모임의 연관글

아직도 서로 배려 도움주는 맘이 유지되는 농촌 마을있어 고마움과 함께 이렇게 돕고사는 인정있는 농촌을. 권장하고 싶어. 작성합니다. 기평하색리208-1,2번지 우렁이 논. 2100평정도 농사짓는 10년차. 신중용(49년생) 도시농사꾼입니다. 일 발단은 2024.11일논객토가 필요하던 참에 아파트단지 흙이 나와 받음 훠크레인 동원평탄작업 5월말일 물도자(궤도차량) 평탄작업 6/4일 모내기중 이양기 논흙에 빠져 작업 불갸능. 토럭타(100마력)끌어냄. 약3/1정도이양기로 심기포기. 익일 배달 우렁이 뿌리고(넣고) 모심기할분 구하기여의치 않아, 다음날 아침05시50분~13시15분 까지 미련하게 모심기 강행(한낮 피하려) 150평~200평 정도 심고 채소류 관리하다.5시45분 지친몸으로 상경중 전화벨 한농회(우렁농사모임)장 왈. 지나다 보니 모심기 빠진 곳 보기싫어 내일 어떻게 해보겠단 말에. 바쁜데. 다른사라에 부담주지말라. 마음만 받겠다함 마음씨에 감동. 남남이지만 돕고 사는 배려에 보물을 발견한 처럼. 왠지마음이 흡족했다. 혹시나해서 익일 아침07시 전화했지만 통화가 않되어 오늘도 바쁘고 나이들어 마음 뿐인가 보다. 그래도 그마음은 간직하고싶었다. 다시 8시30분지나 전화 불통됨. 9시15분경 작목반장으로부터 전화온것 못받았다며 미안 하다한다.아침시간. 육우(한우)먹이주고 바쁘제. 인사하고 마치려는데. 어제 고민하 던 보기 싫은 곳 모심기 했다며 집안 일있어 이동중이란다,,, 아침식사라도 대접해야는데 어쩌나? 아우가(몸이 농사짓기는어려운상태) 논 물좀보러 나왔다. 모심기 발견 대청마루에서 아침을 나누윘다합니다, 확인하고 하루일정을 보냄 그런데 아우한테서 전화가없다. 왠만하면 형 아침일을 전 할텐데 (역시입이 무거운 아우) 메모로 수고했다 보냈다. 오후에 답신 7명되는 분이 모여 그리 합시다라며. 모심기 수작업 했다라고 메모로옴, 오늘 논 농사 시작이래. 최고로 좋은 날이었다 도움준마을분들 마음을 알았고 동생의 내세우지 안는 마음을 확인 할수있는 하루였다. 그런데 나는 그들과 비교해서 그런 따듯한 마음과 실행을했는지 뒤돌아보게 된다. 이런 마음 가진.고항마을 분들 과 같이 우렁농사를 지어 제초제 주지 않은 쌀 생산해서 조금이라도 국민건강에 보탬이된다는 생각이 들어 더욱 힘이 났다. 힘이 있을때까진. 농작물을. 키우고싶다(아내는힘들게는 하지 말라지만) ,,,^^ 2025년6월8일 밤11시에 신중용,,^^
·
6
1
🌾 [벼] 병해충 방제 - 출처 : 주간농사정보 제25호 (2025.6.30. ~ 7.6.) 1. 먹노린재 방제 ✔ 먹노린재란? - 겨울을 산 근처에서 어른벌레(성충) 상태로 지낸 뒤, 6월 상·중순부터 논으로 몰려와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 피해는 10월까지 계속될 수 있습니다. 논으로 들어온 암컷 먹노린재가 알을 낳기 시작하면 더 큰 피해가 생깁니다. ✔ 먹노린재 방제 시기 -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암컷이 알을 낳기 전까지 논을 꼼꼼히 살펴보고(예찰), 필요하면 바로 약제를 뿌려서 방제해야 합니다. 2. 멸강나방 방제 ✔ 멸강나방이란? - 중국에서 날아오는 해충입니다. 주로 목초지(풀밭)나 옥수수밭에서 많이 생깁니다. 벼에 직접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주변에 많이 번식하면 논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특히 6월 중·하순부터 애벌레(유충) 피해가 많습니다. - **중부지역(충청, 경기 등)**에서는 7월 중순까지도 피해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멸강나방 방제 방법 - 평소에 목초지, 옥수수밭 등 주변을 자주 살펴보세요. 애벌레가 보이면, 바로 등록된 약제로 방제하세요. 초기에 잡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약제는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잎도열병 방제 ✔ 잎도열병이란? - 벼의 잎에 생기는 병입니다. 주로 비가 자주 오거나 장마철, 거름(질소비료 등)을 많이 준 논에서 잘 발생합니다. 도열병에 약한 벼 품종일수록 비가 조금만 와도 쉽게 걸립니다. ✔ 잎도열병 방제 방법 - 비가 자주 올 때는 논을 잘 살펴보세요. 잎에 병든 흔적이 보이면, 전용 약제로 바로 방제해야 합니다. ✔ 도열병에 약한 벼 품종 - 다음 벼를 심으셨다면 더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 중생종(조금 일찍 수확하는 품종) → 화성벼, 보석흑찰 등 - 중만생종(조금 늦게 수확하는 품종) → 추청벼, 일품벼, 일미벼, 새일미벼, 신동진벼, 호평벼, 청담벼, 진백벼 등 이런 품종은 잎도열병에 약하니, 비 오는 날 이후 특히 잘 살펴보세요.
·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