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 재생기 앞둔 마늘🧄 · 양파🧅, 안정 생산 관리법 _ by극립원예특작과학원
- 땅 위로 뿌리 드러나면 즉시 흙덮기… 서릿발 피해 본 양파 새 모종 심어 수량 확보.
- 1차 웃거름 주는 알맞은 시기는 최저 온도 4도.
- 주산지별 생육 상황점검,
봄철 저온 · 가뭄 대비 기술지원 추진.
대표적인 노지 월동작물인 마늘 · 양파의 생육은 보통 2월 중하순 무렵 시작합니다.
이 무렵에는 낮 기온이 영상권에 들며 평년 기온을 보이다가도 기습 한파로 저온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해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마늘 · 양파 생육 재생기를 앞두고 안정 생산을 위한 봄철 관리 요령을 소개할게요.
△ 비닐 걷기 = 기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비닐을 일찍 걷으면 어는 피해(동해)를 볼 수 있어요.
지난해 마늘 파종과 양파 묘 심기가 다소 늦어져 저온 피해 예방을 위해 비닐이나 부직포를 씌운 재배지에서는 최저 온도가 영하 7∼8도(℃)까지 내려가지 않을 때 비닐을 걷어줍니다.
△ 서릿발 피해 예방 = 재배지 물 빠짐이 원활해야 서릿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밭고랑을 깊이 파 물길을 확보합니다.
수시로 작물을 살피고 땅 위로 작물 뿌리가 보이면 흙을 덮어 주거나 뿌리가 묻히도록 다시 심습니다.
양파 재배지에 서릿발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면 새 모종을 심어 수확량을 확보합니다.
△ 토양 수분관리 = 토양 내 수분 부족으로 가뭄 피해가 우려되는 재배지에서는 물 대기(관수) 시설을 이용해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공급합니다.
올겨울 강수량이 적었던 경남지역은 기상 상황과 토양 내 수분 정도를 보며 고랑에 직접 물을 주는 방법을 실시합니다.
고랑에 물을 대고 1~2시간 뒤 물을 빼줘야 습해가 발생하지 않아요.
△ 작물 생육 상황 확인 뒤 웃거름 주기 = 지난해 생육 재생기에는 높은 온도와 잦은 비로 웃자람과 생리장해가 발생, 생산량 및
상품성이 떨어지기도 했어요.
재배지의 생육 상황을 확인하고 마늘, 양파가 웃자랐다면 비료량을 약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1차 웃거름은 식물체 뿌리가 양 ·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최저 온도 4도(℃)가 되는 시기에 줍니다.
비료 주는 시기는 지역이나 품종에 따라 달리합니다.
비료 주기는 만생종을 기준으로 3월 하순 이전에 끝내야 수확 후 저장성에 문제가 없어요.
이때 질소질과 가리질을 함께 살포하면 수확 후 저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생육 재생이 빠른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1차 추비를 약 1주일 정도 빨리 줍니다.
토양이 건조하면 비료가 땅으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미리 수분을 충분히 공급합니다.
현재 농촌진흥청은 노지 월동작물 및 시설채소 등 주요 품목의 주산지별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봄철 저온 및 가뭄 등 기상에 대비해 지역별 맞춤 기술지원 등을 추진해 농산물 수급 안정을 뒷받침할 계획이에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산물수급안정 #농산물 #파속채소연구센터 #양파 #마늘 #파속채소
https://m.blog.naver.com/okjaeook7/223767027759
좋아요15·댓글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