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고추

고추 · 비료•농약
경기고양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안녕하세요!😄
🌱농업마켓365🌱입니다

📢 백강균 & 비티균의 원리 & 효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백강균(뷰베리아 바시아나)
1. 곤충의 체내에 침투해 마비 & 치사
2. 총채벌레, 진딧물, 나방 방제에 효과적

✅ 비티균(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1. 해충이 먹으면 장내에서 독소 생성 → 소화불량 & 사망
2. 주로 나방류(담배나방, 파밤나방 등) 방제

🌶고추 총채 & 진딧물 & 나방 피해 증상

✔ 총채 → 잎이 뒤틀리고, 꽃 & 어린 고추 변형
✔ 진딧물 → 잎이 쭈글해지고, 바이러스(칼라병) 유발
✔ 나방(담배나방, 파밤나방) → 고추에 구멍, 내부에 애벌레

🛑 친환경 방제법 (백강균 & 비티균 활용)
✅ 백강균(총채, 진딧물, 나방 방제)
1. 해충 발생 초기, 주 1~2회 엽면 & 토양 살포
2. 고온·건조한 날은 살포 후 충분한 습도 유지

✅ 비티균(나방 방제)
1. 나방 발생 초기, 주 5~7일 간격 살포
2. 알~유충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

📢 이웃 추가하고 더 많은 정보 받아가세요! 😊
경기고양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 👍 앞으로도 많이 전달해드리겠습니다😋📌 이웃 추가하고 더 많은 정보 받아가세요! 😊
전북익산김양곤
공부완료 감사합니다 ~
경기고양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잘 보셨다니 기분이 좋네요😁😁📌 이웃 추가하고 더 많은 정보 받아가세요! 😊

고추모임의 연관글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의 법칙 입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비료를 어떻게 줘야 할까?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가장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입니다. 리비히의 최소양분율이란? 독일의 과학자 리비히가 주장한 이 법칙은 식물은 가장 부족한 영양소에 의해 생장이 제한된다라는 원리입니다. 작물 생장은 어느 한 가지 영양소가 부족하면, 다른 영양소가 충분하더라도 생장에 한계가 생깁니다. 실제 농사에서는 어떻게 적용할까? ✅ 벼농사: 지난해 논에 올무(잡초)가 많아 벼가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수확량이 줄었음 → 토양 분석 후 부족한 양분(예: 질소, 가리)을 채우고, 잡초 관리가 필수 ✅ 밤 농사: 특정 구역(이평만)에서 쭉정이 밤이 많이 발생 → 밤이 충실하게 여물려면 붕소(B), 칼슘(Ca) 등 부족한 양분 보충 필요 ✅ 마늘 & 딸기: 작물별로 가장 부족하기 쉬운 양분(마늘 – 질소 부족 시 생육 저하, 딸기 – 칼슘 부족 시 과실 품질 저하)을 미리 체크하고 보충 결론!! 농사를 지을 때 ⭐️모든 영양소를 무조건 많이 주는 것이 아니라, 가장 부족한 양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보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토양 분석을 통해 부족한 양분을 확인 ✅ 필요한 양분을 맞춤형으로 공급 ✅ 작물이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비료 낭비도 줄이고, 작물 생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농사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원칙! 리비히의 최소양분율, 우리 농장에 한번 적용해보세요!
좋아요13·댓글4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주말시작되는 아침 내년 고추농사 성공과 농가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식을 나눔을 해 봅니다 오늘 병충해주제 고추피망 꼭지썩음병 병징 수확후의 열매에 발생하며 수송 중이나 시장에서 썩음의 원인이 된다. 처음에는 열매꼭지의 잘린 곳이 물번진 모양으로 물러지고 꽃받침, 과육의 순으로 빠르게 물러져 적지만 껍질은 썩지 않는다. 썩음의 진행에 따라서 표면은 거미줄 모양의 곰팡이로 덮이고 그 위에 많은 수의 검은 가루가 생긴다. 병원균 Rhizopus stolonifer (Ehrenberg : Fries) Vuillemin사상균의 일종으로 접합균류에 속한다. 포자낭을 만들며 많은 수의 포자낭포자를 가지고 있다. 포자낭은 어두운 갈색의 공 모양으로 지름은 90~300um이다. 포자낭포자는 어두운색의 타원꼴~레몬꼴로 크기는 7~164m이다. 포자낭경은 1~6개가 모여 나고 갈라지지 않는다. 생육적온은 20-30"C, 최적온도는 25'C 안팎이다. 포자낭포자는 증류수에서는 발아하지 않지만, 피망 과즙에서는 잘 발아한다. 쉽게 분리배양 할 수 있고 배지에서는 흰색 균총의 표면에 검은 가루 모양의 포자낭이 생긴다. 전염 본 균은 부생성이 강하며 포장 안의 식물 잔재물에서 부생적으로 증식하고 거기에서 생긴 포자낭포자가 날려서 열매꼭지의 잘린 상처로 침입한다. 발병적온은 25-30c*로 3~5월에 비가 내린 뒤 수확한 열매에 발생하기 쉽다. 방제 고추 열매의 수확시 비에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저장 혹은 수송시 상자 내가 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좋아요10·댓글1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