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재배방식,재배능력,육묘시설등등 기본적인 메뉴얼이 갖춰져야 육묘방식도 결정됩니다. 그냥 씨 심어서 싹이나고 키워서 옮겨심으면 되겠지라고 단순하게 생각해선 힘듭니다.
60일묘를할지 80일묘를할지 아니면 90일묘를 할지. 언제파종하고 언제 가식하고 언제 정식할지의 대략적 윤곽도 품종에따라 재배방식에따라 다 다릅니다. 또 물온도 야간온도등도 품종의 영향을 받구요.
쉬운 설명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간단한 기준이 있다면, 모종상 온도와 관수용물온도에 철저한 집중을 하면 50%는 성공합니다. 나머지는 기상상황,햇볕유무에 따라 비닐을 벗기고 씌우는 작업의 반복과 과습피해 방지대책도 갖춰놔야 합니다.
1.포트에 심기전 30°c의 물에 12시간침종합니다. 2.포트파종깊이는 5mm정도이며 3.포트는 288구 또는 400구로 합니다. 4.파종후 포트위에 30°c의 물을 주고 투명비닐로 덮습니다. 5.3일동안 파종상 온도는 25~32°c내에 유지하고나서 비닐을 벗깁니다. 이 과정은 고른발아를 위함입니다. 발아시기 편차는 이후 육묘관리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죠. 6.수분관리는 30°c내외의 물로 하시고, 떡잎 두장 사이로 본잎이 나오려는 싯점에 40구 또는 50구 포트로 가식합니다. 7.이때 가식포트의 상토는 발근제가 들어가야 좋습니다. 8.가식할때 깊이는 발아용상토 상단이 2~3mm 정도 덮힐정도입니다. 부정근을 많이 받으려면 떡잎 바로 아래까지 덮기도 하지만, 이는 초보이신분들은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9.가식후 터널온도는 30°c로 유지하되 3일동안은 직광을 받지 않도록 합니다. 10.이후 모종상 온도는 주간25°c~30°c 야간22°c~28°c 로 유지하고 포트상부가 말랐을때 물을 줍니다. 물은 반드시 오전에 줄 수 있어야하며 오후물주기는 금물입니다. 11.2주간격으로 포트위치를 재배열 합니다. 방향도 바꾸고 위치도 바꿔줍니다. 12.파종후 50일차쯤부터 육묘온도를 20~25°c로 낮추고 13.중생종은 이상태로 파종후90일 되는날까지 키웁니다. 14.정식하기 7일전부터 야간에도 비닐은 벗겨놓고 15.정식2~3일전엔 포트를 하우스 밖으로 이동하여 모굳히기 기간을 갖습니다.
섬세하게 들어가면 더 복잡해져서 기본수순만 나열했습니다.
육묘중 '부리오' '유황제품' '수용성NK+Ca'는 필요한 상황이 옵니다. 준비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