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작물

기타작물·병해충상담
강원강릉 주문진
해충 종류와예방 방법 궁금해서
글올립니다.
사과대추입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경기가평나주신원농장
올려주신 사진상으로 보아 목화진딧물로 예상됩니다.
진딧물은 보통 5월 10일 전 후로 발생하기 시작되며,
주변에 핀 민들레에서 목화 진딧물이 관찰되면 진딧물이 날아가 대추새싹에 가해를 할 수 있습니다.
밭 주변에 민들레가 피어있고 민들레 윗부분에 까만 목화진딧물이 많이 붙어있다면
밭에도 진딧물 성충이 날아올 수 있습니다.
진딧물은 무당벌레(꼬마남생이무당벌레, 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의 성충과 유충,
풀잠자리의 애벌레와 어른벌레, 꽃등에의 애벌레, 기생벌 등 천적들이 많습니다.
특히 무당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 진딧물을 잡아먹는, 진딧물의 대표적인 천적이며,
천적을 방사할 경우 진딧물 발생 초기에 투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진딧물 밀도가 높아지면 진딧물 식 속도를 천적이 따라갈 수 없으므로 효과가 낮기 때문에
진딧물 밀도가 높을 경우는 약제 살포로 진딧물 밀도를 낮게 한 후 천적을 방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타작물모임의 연관글

비티균 & 백강균 활용한 해충 방제 정보 공유! 농사짓다 보면 해충이 골칫거리인데, 특히 토양 속 유충과 나방류 해충은 방제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비티균과 백강균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공유합니다! 비티균(BT균) – 유충 방제 특화! ✅ 해충의 장내 독소 생성 → 유충 장기 손상 ✅ 주로 나방류 애벌레 방제 (총채벌레, 진딧물, 담배거세미나방 등) ✅ 농작물 잎에 직접 살포하면 먹이활동 중 감염! > 추천 사용 작물: 마늘, 레드향, 대추, 벼 등 사용 시기: 해충 발생 초기에 사용 백강균 – 토양 속 해충까지 잡는다! ✅ 표피 침투 후 병원성 미생물 감염 → 해충 사멸 ✅ 나방류뿐만 아니라 토양 속 해충(땅강아지, 응애 등)에도 효과 ✅ 토양에 처리하면 땅 속 해충 방제 효과 상승 추천 사용 작물: 마늘(뿌리 해충 예방), 레드향(뿌리썩음 피해 예방), 대추(월동 해충 방제) 사용 시기: 2~3월 토양 살포 또는 정식 시 뿌리 주변 처리 실제 활용 팁 마늘 밭: 2월~3월 해충 예방 차원에서 토양 처리 추천 레드향, 대추, 밤: 월동 해충(나방, 총채벌레) 방제 위해 2~3월 중 살포 벼농사: 모내기 전 토양에 미리 처리해 해충 밀도 낮추기 지금 시기에는 마늘·레드향·대추 농가에서 활용하기 딱 좋은 타이밍! 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
12
6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