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토양에 맞게 비료를 살포하는 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67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1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내 토양에 맞게 비료를 살포하는 방법>입니다.
내 토양에 맞는 비료양은 비료 판매처 추천, 농사를 잘 짓는 사람을 따라서 비료를 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텐데요. 토양에 따라 필요한 비료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진짜 내 토양에 맞는 밑거름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표준시비량은 참고만 하기
• 우리나라 토양 평균을 기준으로 작물 양분 흡수량을 고려하므로 다양한 토양이 고려되지 않음
• 따라서 내 토양 상태를 알기 위해 토양 분석이 필수
🔻 토양 채취 방법
• 토양 채취 시기
-벼: 수확 후 1개월 이내
-밭작물, 하우스: 수확기나 수확 직후
-과수: 시비 전
※ 생육 중, 비료 살포 후 토양 분석은 오류가 크게 발생되므로 시기를 잘 지켜야
• 토양 채취 방법
-동일 포장에서도 지점에 따라 비옥도가 달라 여러 곳에서 채취
-시료채취는 A가 가장 이상적임 (하단 사진 참고)
-직사각형태 필지는 B, 넓은 면적 필지는 C, 경사진 필지는 D와 같이 상부,중부,하부로 나누어 채취
-과수원 대표 과수 5~6주 선정 후 나뭇가지 끝에서 30cm 안쪽의 3~5개 지점에서 시료 채취
-여러 지점에서 채취한 흙을 혼합한 후 1kg 이상을 농업기술센터에 보내 의뢰
• 표토층을 2cm 정도 걷어내기
• 첫 삽 파내기 (벼는 18cm, 밭작물은 15cm, 과수는 30~40cm)
• 샆으로 옆면의 흙을 표층에서 작토층까지 채취
🔻 토양 검정 결과 읽는 법
• 토양 산도
-토양 산도가 낮으면 처방된 석회질 비료 사용
-토양 산도가 높으면 유황가루 사용
• 유기물
-처방서에서 권장하는 퇴비량 살포
-단, 유기물이 높다면 퇴비 살포 생략하고 알가소일, 부석산계열의 토양계량제 권장
• 전기전도도
-토양에 얼마나 많은 염류가 있는지 나타냄
-전기전도도가 높다면 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너무 높을 경우는 제염작업 (담수, 녹비재배, 심경) 실시
• 칼슘, 칼륨, 마그네슘 비율 중요
-어느 성분이 더 높을 경우 다른 성분의 흡수를 크게 방해함
-흡수가 증진되기 위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비율은 마그네슘 칼륨보다 3~5배 높아야 하고, 칼슘 마그네슘보다 5배 높아야 함
• 석회질 비료 사용시
-마그네슘 함량이 낮으면 석회고토 사용, 함량이 높으면 소석회 사용
-산도가 높고 마그네슘 함량이 낮으면 입상황산고토, 하이그린 사용
• 내가 사용하는 비료에 함유된 NPK량은?
-질소: 비료 무게 (20kg) x 12 (%) **÷** 100 = 2.4kg
-인산: 비료 무게 (20kg) x 8 (%) **÷** 100 = 1.6kg
-가리: 비료 무게 (20kg) x 6 (%) **÷** 100 = 1.2kg
-참고: 10a당 화학비료 성분량 (밑거름/웃거름): 질소(8.4/6.8), 인산(20/0), 가리(17.8/11.9)kg
• 복합비료만으로 부족한 양분 보충
-인산 14.4kg, 가리 13.6kg 부족 (300평 기준 예시)
-인산: 부족한 양 (14.4kg) **÷** 용성인비 1포 (4kg) = 3.6포
-가리: 부족한 양 (13.6kg) **÷** 황산가리 1포 (10kg) = 1.36포
매일매일 농사공부 3탄 17편 [병해충 싹 다 잡는 토양 소독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TI1MTQ0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28·댓글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