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제

자유주제 · 자유게시판
농수산저널
농민과 소비자는 하나다·
이 글을 보신 농민분이라면 1분만 이 글을 읽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이전에 올린 글을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저희는 실제 농산물 가격의 반도 받지 못하는
이 유통구조를 바꾸려고 합니다.

(이전 글)
https://farm.fmorning.com/dz56pe

농민과 소비자가 직접 거래하는 문화로 말이죠.
그래서 신문사에 농민분들의 연락처와 함께
기사를 무료로 작성해드리고 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이 문화는 혼자
힘이 아닌 농민분들과 힘을 합쳤을 때
만들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필에 걸어둔 저희 신문사 링크를
들어가서 보시면 가장 위에 검색할 수
있는 란이 있습니다.

이것은 농산물을 검색했을 때 생산자분들의
농산물과 연락처가 들어간 기사를
노출시켜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이게 실질적으로 활용되려면 중요한 것은
다양한 농산물과 생산자분들이 기사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초기 신문사이다보니, 무료로 기사
등록해드린다고 하면 의심을 많이 하십니다.
(이 점 당연히 이해합니다.)

농민과 소비자의 진짜 직거래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저의 힘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농민분들의 힘도 필요합니다.

저희는 정말 이 농민도, 소비자도 피해보는
이런 유통 구조를 바꾸고 싶습니다.

정성스레 키우신 농산물과 농민분들을
기사로 작성해드리고 싶습니다.

한분 한분의 기사가 농민분들께도, 소비자분들께도
큰 힘을 될 수 있도록 만들겠습니다.

저희와 함께 새로운 유통 문화를
만들면 좋겠습니다.

기사 등록을 원하시는 분들은
댓글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farm.fmorning.com/6yuu1a
공유
충북청주김명식
직거래가 활성화되려면 여간 문제가 아닙니다.

1. 직거래니 유통 통한 농산물보다 가격이 싸야되는데, 희한하게도 직거래 소매가는 유통마진 낀 가격을 똑같이 받으려고 하시죠.
2.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통망 낀거보다 품질이 들쭉날쭉 합니다.

장터 올라와있는 농산물 다른데 가서 검색 해보세요. 품도 보장 안되는데 이마트보다 비싼거도 있습니다.

이런거도 고려 안하면서 무조건 피해자인척 하는건 맞지 않다고 봐요.

피땀흘려 키운 농산물 소중한거 인정합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제 값 하는 농산물 살 수 있도록 시장가치는 지켜야죠.

우리들 스스로가 직접 키운 농산물 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가격도 직거래니 덜 욕심내야 직거래 생태계가 살아난다는걸 이해하면 좋겠네요.
경남창원참깨10099
수확량이 적으면 판매하는것이 더어려운것 같아서 직거래가 더필요한것같습니다
충북충주강건희
긍정의 힘으로 ·
텃밭에 조금씩 심어서 나누다 보니 주변에서 판매를 하면 어떠냐고 해서 이곳저곳 기웃거려 보았으나 터무니없는 가격(내가 사려면 몇 배를 주어야 살 수 있는 가격)이어서 주위분들에게 조금씩 나누었는데 좋은 소식 함께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