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매일매일 농사공부

매일매일 농사공부 · 자유게시판
전남해남지종필
땅끝 초보 농사꾼입니당·
화분에 심어둔 포도나무
블루베리나무 기타 유실수
지금 분갈이해도 되나요?
경북영주강신춘
영주시 안정면·
퇴비 막걸리 토양살충제 뿌리에 주어요

매일매일 농사공부모임의 연관글

[✍️ 열매가 잘 열리는 꽃눈 관리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10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4월 4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열매가 잘 열리는 꽃눈 관리방법> 입니다. 🔻나무의 눈이란? • 나무의 눈 구분 -꽃이 될 ‘꽃눈' : 둥글고 통통하며 붉은빛 -잎이 될 ‘잎눈' : 길고 뽀족하며 연둣빛 • 나무의 습성 파악하기 -과일나무별로 꽃눈의 종류가 다름 -나무별로 습성을 알아 가지치기해야함 -꽃눈 관리에 따라 열매 달림이 결정됨 🔻 작물별 꽃눈 & 관리법 • 순정꽃눈 -꽃만 피고 잎은 없음 -가지 끝에서 3~4개 연속으로 달림 -작년에 자란 가지의 끝부분에 꽃과 열매 집중 예시 : 비파, 블루베리, 살구, 자두, 앵두 등 -✂️가지치기 끝부분을 자르면 열매 맺을 꽃눈이 사라짐→ 반드시 끝부분은 자르지 말고 남겨야함 • 혼합꽃눈 (가지 끝) -예시 : 감, 밤, 감귤류 등 -꽃 + 잎 + 가지 → 3가지가 함께 자람 -전년도에 자란 가지의 끝과 잎겨드랑이에 있음 -봄에 새 가지가 자라고 열매가 맺힘 -✂️가지치기 끝을 너무 많이 자르지 않도록 주의! • 혼합꽃눈 (가지 중간) -예시 : 무화과, 키위, 석류, 포도, 베리류 등 -꽃 + 잎 + 가지 → 3가지가 함께 자람 -전년도에 자란 가지에 혼합 꽃눈이 달림 -가지 끝이 아닌 중간에 달림 -✂️ 가지치기 혼합꽃눈이 가지 끝이 아닌 중간에 달림→ 따라서, 끝을 잘라도 열매가 달림 짧은 열매가지도 꽃눈이 있으면 남기기!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3·댓글418
Farmmorning
[✍️ 돌발 해충 부하방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92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2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돌발해충 부화 미리 방제하기> 입니다. 🔻돌발해충 부화, 예년보다 빨라진다 - 기후변화로 돌발해충 발생이 예년보다 증가하는 추세 - 5월 초부터 월동난 부화 주의 관찰 시작하기 - 초기 에찰 후 약제방제 신속하게 진행하기 - 주요 기주식물 중심으로 방제 범위 확대하기 🔻돌발해충 | 꽃매미 - 포도속(포도, 머루)작물 선호하며, 약충과 성충이 즙을 빨아 먹어 나무 생육을 저하시킴 - 꽃매미 부화 전(3월 무렵)에 나무에서 알 제거하기 - 천적인 꽃매미벼룩좀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갈색날개매미충 - 산수유, 감, 매실 등의 가지에 붙어 즙을 빨아 먹음 - 나무 생육저하하고 그을음병 유발 - 과수나 수목류 새 가지에서 알 제거하기(3월) - 천적인 갈색날개메미충 알기생봉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돌발해충 | 미국선녀벌레 - 유충과 성충이 집단으로 즙을 빨아 먹어 생육 저하 - 기주범위가 넓으므로 농경지뿐 아니라, 인근 야산의 나무도 동시에 방제해야 함 - 천적인 선녀벌레벌을 이용하여 밀도 억제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81편 [병해충 잡는 살충제 사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k0MTg1 🎓 공부자료를 확인 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28·댓글417
Farmmorning
[✍️ 심상치 않은 기후 변화, 봄 농사 준비 방법]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73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3월 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심상치 않은 기후 변화, 봄 농사 준비 방법>입니다.  이틀 전 경칩을 맞이하여 팜이웃분들의 손발이 분주해지고 있을텐데요, 특히 최근에는 예측 불가능한 기상으로 봄철부터 동해, 폭설, 강풍 등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년 동안 성공적인 농사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농수축산신문 출처) 🔻 봄철 이상저온·일조량 부족 피해 빈번 발생 •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연 평균기온은 평년 12.3~12.7도보다 높을 확률이 70%로, 평년보다 더운 한 해가 될 것이 거의 확실시 되고 있음 • 이달에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됨 -강우일수가 늘어날 경우 → 일조량 부족 → 광합성량이 저조 → 전반적인 작물 생육이 불량 🔻 봄철 농사 준비 요령 • 봄철 갑작스러운 기온하락은 사과·포도·복숭아 등의 과수에 심각한 동해 피해를 발생 -과다한 질소비료 사용을 피하고 적절한 수세 관리 -배수시설을 정비하고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습한 환경을 막기 위해 일조 환경 개선 • 봄철 발아기 이후 나무에 심한 동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과수원 전체 관리와 수량 확보를 위해 해당 나무를 뽑아내는 것이 좋음 -가벼운 피해를 입은 과수는 고사한 나무껍질을 제거하고 피해 부위에 톱신페스트 등을 발라 보호 • 포도는 냉기가 정체되는 과원에서 특히 동해 피해가 심하게 발생 -충분한 관수를 통해 토양 내 수분을 유지 -착과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잎 관리를 철저히 해 광합성 활성화 -동해 피해를 입은 포도나무는 원줄기를 절단하고 새로 돋는 싹을 키워 다음 해에 활용 추천 • 복숭아는 동해에 약한 과수로 꽃눈이 발아하는 이달 하순 이후에는 영하 1도에서도 꽃눈 또는 꽃의 암술이 갈변되는 동해 피해가 발생 -강가 인근 저지대 과원에서 피해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 -동해 예방을 위해서는 사질토양의 경우 유기질 비료를 공급해야 하며 냉기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과원 아래쪽에 기류 정체를 유발할 수 있는 장애물을 제거 -뿌리목 보호를 위해 흙을 덮거나 보온 자재 활용 • 단감은 수령이 어릴수록 동해에 취약 -동해 발생이 예상될 경우 나무 전체에 분무기 또는 스프링클러로 물을 뿌려 나무껍질에 수막이 형성되게 하면 외부 저온을 차단 가능 -과원 주변에 방풍림·방풍벽을 세우는 것도 냉기류를 막는 데 효과적 -나무줄기에 백색페인트(백도제)를 발라 온도 변화를 줄일 수 있음 • 비교적 온난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감귤은 영하 5도에서 잎이 마르고 그 이하의 온도가 수 시간 지속되면 가지가 말라 고사할 수 있음 -동해를 막기 위해 과원에 주로 방향이 부는 방향으로 폴리프로필렌(p.p) 포대나 가림막 등을 나무에 덮으면 효과적임 -동해가 발생했을 때 피해가 가벼운 나무는 가지치기를 강하게 해 발아를 촉진하는 것이 수세 회복에 도움이 됨 -동해로 나뭇잎이 50~60%가량 떨어지면 2년, 80~100% 떨어지면 3년 정도 이후에 정상 나무와 수량이 같아지는 점을 고려해 영양 관리 필요 🔻 이상기후로 농업시설물 대비 방법 • 폭설 예보 시 하우스 외피복 비닐을 사전에 제거하고 천창 개방 -하우스 밴드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유지해야 눈이 쌓이지 않고 흘러내림 -만일 하우스에 눈이 쌓여 붕괴 우려가 있을 때는 즉시 피복재를 찢는 것이 좋음 • 강풍이 예보되면 비닐하우스는 고정 끈을 보강해 비닐이 날리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조치 -환기창과 출입문을 완전히 닫아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 -시설하우스 내 작물을 정식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닐을 찢어 골조를 보호하는 것이 효과적 • 일조량이 부족할 경우 -오이는 저온기 시설재배, 밀식재배의 경우 햇빛이 약하면 과실 생육이 늦고 곁가지 발생이 감소 -일조 부족을 대비해 과도한 필름 피복은 피하고 보광등,반사필름을 하우스 내부 북측에 설치해 수광량 극대화 -토마토 재배 시 일조량 부족으로 잎이 얇아지고 줄기가 가늘어지며 과실 비대와 착색이 지연됨 -습도가 올라갈 경우 곰팡이병과 시듦병 등 발생 → 고압나트륨등이나 LED 등으로 보광 -딸기 재배 시 일조량이 부족하다면 폴리올레핀(PO), 방적필름 등 광투과율이 높은 기능성 강화 필름 이용 → 공기 유통팬 등을 설치해 실내 습도 적정 유지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66편 [초봄에 발생되는 곰팡이병 관리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g3ODQ0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35·댓글441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