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밤나방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Spodoptera / exigua
목 / 과명
나비목 / 밤나방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노지에서 1년에 4~5회 발생하며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1회 이상 더 발생할 수 있다. 제주도는 5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그 외 우리나라에서는 6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다. 포장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세대를 경과한다. 한 세대는 24일이면 경과하고, 알은 2~3일이면 부화하고, 3령까지는 8~10일이 걸린다. 번데기로 토양 등에서 6~7일 보낸다. 잎 표면에 길게 알 덩어리로 산란하며 암컷 한 마리가 600~1,700개의 알을 낳는다. 1926년 황해도와 평안남도에서 사탕무우를 가해한다는 것이 처음 기록이 있으나 그때는 중요한 해충은 아니었다. 1988년 8월 전남 해남, 무안, 진도 등지의 지황, 배추, 파, 대파 등에 큰 피해를 주었다. 발생량은 전남, 경남, 제주 등 주로 남쪽지역에 많으나 중부이북 지역에서도 해에 따라 발생량이 많다. 성충은 4월과 8~9월경에 출현된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파밤나방의 성충은 앞날개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몸길이는 15~20㎜,날개 편 길이 25~30㎜로 담배나방,담배거세미나방,도둑나방보다 작다. 알은 흰색으로 30~100여개씩 무더기로 낳고 백색의 먼지 같은 인편으로 엉성하게 덮여있다.유충은 몸색의 변이가 심하여 황록색~흑갈색이고,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녹색형은 기문 주변에 주홍색의 고리를 가지고 있고,때때로 각 마디 등면에 검은 막대형 무늬가 있다. 부화유충은 약 1㎜이고,노숙유충은 약 35㎜이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잡식성으로 기주가 광범위하고 잎을 갉아먹어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식물의 생장을 저해한다. 일반적으로 치커리에는 파밤나방이 잘 발생하지 않고 기주선호성이 없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