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도감

찔레수염진딧물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Sitobion / ibarae

목 / 과명

매미목 / 진딧물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장미에서 생활한다.
추운지역에서는 알로 월동을 하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성충 또는 약충으로 월동한다.
새잎이 나오면 증식을 시작한다.
노지에서는 4~5월에 발생이 가장 많고, 한여름에는 감소하였다가 가을철에 재차 밀도가 증가한다.
여름 기주로 이동 없이 연중 가해한다.
시설재배지에서는 겨울에도 번식을 계속한다.
예찰은 새로 나온 가지를 중심으로 진딧물의 발생여부를 유심히 살펴 보아야 한다.
황색끈끈이트랩을 5~10m 간격으로 식물의 상부에 설치하거나 황색수반트랩을 포장근처에 설치하여 비래 날개가 있는 성충을 조사한다.
무당벌레 등 천적이 발견되면 약제 방제시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날개가 없는 성충은 크기가 다른 진딧물에 비해 크기가 크며, 녹색을 띤다. 앞가슴과 가운데 가슴은 녹색~등적색이며, 배는 황록색~녹색이다. 가슴과 배의 앞쪽은 암갈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더듬이는 검은색, 다리는 황록색이다. 날개가 있는 성충은 머리와 가슴이 황적색이며, 배는 선명한 녹색이다. 몸은 날개가 없는 성충에 비해 약간 작으며, 배 양측에 발달된 두꺼운 판이 있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4~5월경 장미, 찔레나무의 새순, 꽃봉오리에 모여 살면서 흡즙한다.
신초 생장이 저해되고, 모양이 기형이 되며, 잎 전개가 늦다.
찔레, 장미 등의 1년생 새로 나는 가지에 집단 기생한다.
장미에는 본 종 이외에도 복숭아혹진딧물 등이 피해를 준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발생이 많은 상습지에서는 봄, 가을에 진딧물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