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도감

복숭아혹진딧물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Myzus / persicae

목 / 과명

매미목 / 진딧물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겨울기주에서 알로 월동한 후 4월 중하순에 부화하여 간모가 되며, 이것이 성숙하여 날개가 없는 진딧물을 단위생식으로 낳는다.

날개가 없는 진딧물도 단위생식을 되풀이하며, 2~3세대 경과 후 5월 하순~6월 상순에 날개가 있는 진딧물이 나타나 점차 여름숙주로 이동한다.

약충은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데, 성충이 되기까지는 5~8일이 걸린다.
작물 생육기간 동안에는 짝짓기 없이 단위생식을 하다가 기온이 떨어져서 월동처로 이동할 시기가 되면 암수로 구별되어 짝짓기를 하고 월동처로 이동하여 알을 낳는다.
이듬해 봄에 이 알이 부화하여 날개달린 유시충이 먹이식물로 이동하여 직접 새끼를 낳는다.

번식기간은 8~14일간이며 여름에는 짧다.
야외에서는 봄과 가을에 번식량이 많고, 여름철에 적다.
그러나 강우가 적고 건조한 기상조건이 되면 번식이 왕성하여 발생이 많기 때문에 여름에 저온이 계속될 때에는 번식량이 많은 경우가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무시충은 담녹색인것과담홍색인 것 2가지가있다. 기온이 낮은 시기에는 담홍색의 개체가 많이발생한다. 무시충의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유시충은 담적갈색이고, 더듬이의 제3마디에 0~15개의 도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있고,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다.
유시충은 2.0~2.5mm로서 녹색, 연한황색, 황갈색, 핑크색 등 체색변이가 심하다. 제3배마디 등판부터 뿔관 밑부분까지 검은무늬로 덮여 있고, 무늬의 양쪽에 돌출부가 2개씩 있다. 뿔관은 황갈색이거나 거무스름한 갈색으로 원기둥모양이다. 무시충은 1.8~2.5mm 정도로서 연한 황색, 녹황색, 녹색, 분홍색, 갈색 등을 띠지만 때로는 거무스름하게 보이는 것도 있다. 뿔관 중앙부가 약간 팽대하나 끝부분은 볼록한 편이며, 끝부분에 테두리와 테두리 띠가 있다.
진딧물의 성충은 날개가 있는 유시충(有翅蟲, alate)과 날개가 없는 무시충(無翅蟲, aptera)으로 나뉘는데, 유시충은 군집의 밀도가 높거나 먹이전환을 위해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나타난다. 복숭아혹진딧물의 무시충은 녹색, 적녹색, 황색, 황갈색 등 체색이 변이가 심하며, 몸길이는 2~2.5㎜이다. 뿔관은 황갈색이거나 흑갈색의 원기둥 모양으로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유시충의 배 등면에는 각 마디에 흑갈색의 띠와 반점무늬가 있으며 몸길이는 1.8~2.5㎜이다.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고 끝부분은 약간 볼록하며 끝에 테두리와 테두리띠가 있다. 겨울에 월동하는 진딧물의 알은 흑색이며, 긴 타원형으로 지름이 0.66㎜정도이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진딧물은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고 배설물로 꿀을 분비하기 때문에 피해부분인 잎표면이 검은색으로 변하여 그을음 증상을 나타내어 지저분하게 된다.
또한 식물체에 기계적인 상처를 줌으로써 여러 가지 병원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성충과 약충이 잎의 뒷면, 새싹, 꽃, 어린과일에 여러 마리가 무리지어 즙액을 빨아먹기 때문에 잎의 생장이 위축되거나 생장이 정지된다.
진딧물이 분비하는 감로에 의해 그을음병이 생기며, 피해가 심하면 말라죽기도 한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진딧물 방제는 크게 어려운 점은 없으나 밀도가 높아져서 그을음이 발생하면 약제 살포를 통해 진딧물을 모두 제거한다 해도 이미 상품가치가 손상된 상태가 되므로 반드시 밀도가 높아지기 전에 등록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시설 내부이기 때문에 언제라도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반드시 약해발생에 주의를 해야 하며, 특히 약효증진을 위해 기준농도보다 고농도로 살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