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도감

벼멸구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Nilaparvata / lugens

목 / 과명

매미목 / 멸구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벼멸구의 주비래 시기는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이다.
6월 하순에 비래한 벼멸구는 3세대를 경과할 수 있고, 7월 하순에 비래한 벼멸구는 2세대 밖에 경과하지 못한다.
벼멸구의 성충은 날개가 긴 장시형과 짧은 단시형이 있으며, 비래세대는 모두 장시형이고 1세대를 증식한 후에는 대부분 단시형이 된다.
발생밀도는 9월에 가장 높다.
각태별 발육기간은 환경에 따라 다르나 6~9월 사이에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24~34일, 성충의 수명은 20~30일, 알 기간은 6~10일이다.
산란은 엽초에 7~10개 정도씩 무더기로 알을 낳고, 한마리가 보통 300개 정도 낳는다.
예찰은 벼멸구는 주로 수면에서 10cm 이내의 볏대에 분포하므로 이 부분을 잘 살펴보면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벼멸구는 형태적으로 애멸구와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으나, 서식 행동에서 큰 차이점은 애멸구는 개별적으로 서식하는데 비해 벼멸구는 집단으로 서식한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성충의 몸길이(날개포함)는 장시형이 4.5~5.0mm, 단시형이 3.3mm이고. 몸과 머리는 암갈색, 겹눈은 흑색, 홑눈은 흑갈색, 더듬이는 암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약충은 부화 당시는 유백색이지만 차츰 등판 상부가 담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변한다.벼멸구의 어린 약충은 겹눈 아래 부분과 촉각사이에 흰색 형광성 광택을 가지고 있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주로 벼포기 아랫부분에서 성충과 약충이 집단 서식하며 볏대의 즙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준다.

피해를 받은 잎집은 누렇게 변하고, 키가 짧아지며 벼 알수가 적어진다.
피해를 받은 이삭은 갈색으로 변하고 싸라기가 많아진다.
심할 경우에는 벼가 완전히 말라 죽는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1차 방제적기는 최다 비래일로부터 25일 후(기온이 높으면 13일, 낮으면 27일)가 적당하지만 최다 비래일 산정이 쉽지 않다.
유아등에 의한 예찰을 통해서 비래시기를 예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차 방제시기는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으로 정하고 있다.
1차 방제를 하지 못했을 경우 2차 방제적기인 8월 중.하순에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후기에는 벼멸구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방제가 쉽지 않다.
방제가 필요한 수준은 중만생종 기준으로 7월 하순에는 15마리/20주, 8월 중순은 50마리/20주이다.
벼멸구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경종적 방제법으로 벼멸구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재배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방제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