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화진딧물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Aphis / gossypii
목 / 과명
매미목 / 진딧물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년간 십 수세대 발생하며, 조팝나무진딧물과 마찬가지로 역시 주변의 기주식물에서 알로 월동한다. 감귤원 주변에서 월동한 알이 봄에 부화한 후 감귤원에 봄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유시암컷성충이 감귤원으로 날아와 증식하며 가해한다. 일반적으로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봄순에서는 5월하순~6월 상순에 그리고 여름순에서는 7월 하순~8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은데, 전반적으로 조팝나무진딧물보다 발생량이 다소 적으며, 특히 여름순에서의 발생이 더 적다. 기타 생태는 조팝나무진딧물과 유사하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목화진딧물의 무시충은 몸길이가 1.5㎜로 몸색깔은 계절에 따라 녹황색이나 흑녹색을 띠고, 뿔관은 원기둥 모양의 비늘무늬가 있고, 흑색으로 밑부분이 굵다. 유시충은 몸길이가 1.4㎜로 계절에 따라 변이가 심하며 봄에는 녹색계통이 많고 여름에는 황색이나 황갈색이고, 가을에는 갈색 또는 흑갈색을 띤다. 대체로 머리와 가슴이 흑색이고, 배는 녹색~황녹색이며 흑색 반점이 있다. 더듬이는 6마디이고, 뿔관은 흑색 원통형이며, 밑편에는 3쌍의 센털이 나 있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식물체에 달라붙어서 즙액을 빨아먹고 기생하며, 신초와 꽃 그리고 과실 등에 피해가 발생하는데, 피해를 받으면 조팝나무진딧물과 마찬가지로 잎이나 꽃의 기형화와 생육불량 그리고 분비물에 의한 그을음 증상 등이 발생한다. 목화진딧물에 의한 피해 중 조팝나무진딧물과 구별되는 증상은 목화진딧물은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진딧물이 흡즙할 때 주둥이를 통해 바이러스가 진딧물 몸 속으로 들어온 후 다른 건전한 식물체를 흡즙할 때 바이러스가 옮기게 된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천적) ○ 진딧물 천적은 매우 많으며, 특히 중요한 포식성 천적으로는 풀잠자리류, 무당벌레류, 꽃등에, 혹파리류 등이 있으며, 기생성 천적으로는 진딧벌 등이 있다. ○ 이들 포식성 천적과 기생성 천적을 방제에 성공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계절적 요인과 재배적 요인, 신초의 생장 패턴 등과 연관이 있다. ○ 외국에서는 풀잠자리류, 무당벌레류를 대량증식 하여 판매도 한다. (방제 포인트) ○ 가급적 밀도가 낮아서 신초당 10~30마리 이내일 때에는 더 기다렸다가 적과 등 작업 개시 전에 급격히 발생하는 5월 중순~6월 하순에 방제한다. ○ 무더운 7월 중순부터는 사과원 밖으로 이동 분산하며 먹이로 적당한 어린가지가 적어서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방제가 필요없다. ○ 사과 외에도 배, 감귤, 조팝나무 등에도 많이 가해하므로 가까이에 이들 다발원이 있다면 유시충이 비래하여 다시 다발생할 수 있다. ○ 이 진딧물은 다발생 하여도 실질적인 피해는 거의 없다. 간혹 감로 배설에 의한 과실과 잎에 그을음증상을 일으키거나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사람이 작업할 때 얼굴이나 몸에 붙어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점 등이 문제이다. ○ 재배기간 동안 질소질 비료와 물 관리를 통하여 신초의 생장을 감소시키고, 안정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