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노랑총채벌레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Frankliniella / occidentalis
목 / 과명
총채벌레목 / 총채벌레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암컷성충의 크기는 약 1.4~1.7mm정도이며, 몸색은 황색~갈색으로 다양하고, 더듬이 첫마디는 황색, 둘째 마디는 갈색, 3~5번째 마디는 황갈색이고 나머지는 갈색이다. 수컷성충의 크기는 약 1.0~1.2mm정도이며, 황색이다. 성충의 날개는 2쌍으로 되어 있으나 잘 발달하지 못하였고, 총채모양을 하고 있어서 잘 날지 못하므로 톡톡 튀듯이 이동한다. 알은 타원형으로 반투명한 백색이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꽃노랑총채벌레의 암컷 성충은 몸길이가 1.4~1.7㎜로 몸색깔은 밝은 황색에서 갈색으로 변이가 크며 배에 갈색 띠가 있다. 수컷 성충은 몸길이 1.0~1.2㎜로 암컷보다 작고 가늘며, 몸색은 밝은 황색이다. 성충의 날개는 전맥이 완전하고 날개의 둘레에는 긴 가털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알은 식물체 부드러운 조직 내에 산란하는데, 크기는 0.3㎜정도로 아주 작고 약간 굽어있다. 유충은 부화 직후에 유백색이나 점차 황색으로 변하며 몸집도 커진다. 번데기는 유충의 형태이나 피부가 거칠고 위축된 모양으로 잘 움직이지 않으며 토양의 지표면에서 경과한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개화기의 자방과 유과 그리고 착색기의 과실을 주로 흡즙하여 가해하는데, 하우스밀감에서는 개화기에 총채벌레가 발생은 하지만, 주로 착색기에 피해를 받고, 노지 감귤에서는 주로 개화기~유과기에 피해를 받는다. 하우스밀감에서의 피해는 수관의 하부보다는 중앙부 이상의 과실에서 피해가 많은 경향이며, 과실이 피해를 받으면 초기에는 가해 받은 부분이 구름 모양의 백색반점이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해부위가 갈변되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그리고 노지 감귤의 경우에는 개화기의 자방이나 유과기에 피해를 받는데, 피해 증상은 주로 과경부나 과정부를 중심으로 둥글게 은회색 띠가 형성되며, 발생밀도가 심한 경우에는 과실의 가로 중심부까지도 피해 증상이 나타난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총채벌레는 크기가 미소하고 날아다니기 때문에 수관내에서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잎이나 꽃, 열매 밑에 흰색종이를 대고 털거나 백색 또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수관 중앙부에 매달아 개화기~낙화기, 그리고 착색이 시작되기 전부터 수확기에 예찰하여 방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세대가 짧아서 어느 정도 밀도가 되면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이 함께 발생하여 땅속의 번데기나 조직 속의 알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발생 초기에 방제해야 방제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시설감귤에서는 시설외부에서 서식하고 있는 총채벌레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총채벌레 발생시기에 출입구와 창문에 고운 망사를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등록약제 살포시에는 식물조직 속에서 부화한 유충이나 땅에서 우화한 성충을 잡기 위해 7일 간격으로 2-3회 연속해서 살포하는 것이 좋고, 약제 저항성이 쉽게 생기므로 다른 약제를 계획적으로 교호 살포하도록 해야 하며,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총채벌레간에 차이가 있으므로 약제 선택시에는 반드시 꽃노랑총채벌레에 고시된 등록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