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흰가루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7∼8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장마기 이후인 9월까지 발생한다.
어린 잎뿐 아니라성숙한 잎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새로 나오는 잎을 따라 계속적으로 발생된다.
병이 심해지면 잎은 수확이 불가능하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초기에는 잎 표면에 작은 흰색 가루모양의 균사체가 보이면서 점차 잎 전체가
밀가루를 뿌려놓은 모양으로 나타난다.
잎, 줄기, 꽃의 앞면과 뒷면에도 발생한다.

심해지면 잎은 뒤틀리고, 자주색을 띤 회색으로 변하면서 조기에 노화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경종적 방법><br>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게 한다.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웃자라지 않게 관리한다.<br><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br>작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석회보르도액, 석회황합제, 황토유황합제, 유황제, 식물성 오일, 미생물제제, 난황유,우유, 베이킹소다 등이 있다.
이 허용물질들은 개똥쑥 흰가루병을 대상으로 시험된바는 없으므로 약효, 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