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점무늬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균은 작물의 잔재물이나 종자에서 생존한다.
Cercospora와 Septoria는 따뜻하고 습도가 높을 때 발병하기 쉬우며, 포자들은 종자에 의해 장거리 전반 되고, 바람, 빗물에 의해서는 포장의 작물 간에 전반이 이루어진다.
Phyllosticta는 선선하고 습한 조건하에서 감염하기 쉽다.
P. exigua는 다범성 병원균으로 콩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작물들에서 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차 전염원은 여러 곳에 존재할 수 있다.
포자가 식물로 감염되려면 28℃ 이하의 온도와 바람이 동반된 빈번한 강우와 높은 상대습도가 필요하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두류에서는 다양한 점무늬 증상을 일으키는 6속의 병원균이 알려져 있다.
Cercospora속과 관련 속들은 구형이나 각진 황갈색 병반을 형성한다.
중앙에는 회색~황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다.
Septoria에 의해서는 단엽에 많은 구형이나 불규칙한 암갈색의 매우 작은 반점을 형성한다.
인접한 반점들은 합쳐져서 불규칙한 점무늬를 나타내며, 반점의 중앙에는 검은 점 같은 병자각이 형성되고, 심하면 잎은 황화하면서 조기낙엽 된다.
삼출 엽에서는 수많은 불규칙한 황갈색 병반으로 발달하고, 후에는 진한 갈색으로 변한다.
Phyllosticta는 잎에 구형의 병반을 형성하고, 경우에 따라서 적갈색 병반이 잎의 가장자리부터 시작하며 안쪽으로 진행되면서 불규칙하거나 V자 형을 나타낸다.
Phoma는 잎에서 갈색~흑색의 뚜렷한 윤문 증상을 나타내고, 심하면 병반은 잎 전체의 절반까지 발달한다.
병반 중앙에는 작고 검은 병자각이 형성된다.
꼬투리에서도 암갈색으로 다소 움푹 들어가는 윤문을 형성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곡류나 옥수수와 같은 비기주 작물을 윤작하여 초기 전염원의 밀도를 줄인다.
○ 포장에서 감염된 잔재물은 경운하여 매몰한다.
○ 무병종자를 사용한다.
○ 종자소독 후 파종한다.

병원체 정보

  • Cercospora canescens Ellis & G. Martin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