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잿빛무늬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낙과한 병든 열매에서 월동한다.
열매껍질이 균사와 뭉쳐져서 굳어진 균핵에서 깔때기 모양의 버섯과 자낭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병든과실의 표면에는 다량의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에 의하여 전파되기 때문에 한개 과실이라도 발병하면 분생포자에 의해 2차 전염이 계속된다.
이 병원균은 개화기 강우와 성숙기 저온,다습조건에서 발병하기 쉽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주로 성숙된 과실에 발생하지만 꽃이나 어린 과실 및 가지 등에도 발병한다.
과실에서는 표면에 담갈색으로 수침상의 둥근 병반이 나타나고,표피가 물러진다.
병반은 급속히 확대되어 2~3일 만에 과실 전면으로 확대되면서 회백색의 곰팡이가 나타난다.
포장에서뿐만 아니라 수확 후수송 및 저장 중에도 발생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경종적 방법>
병든 과실과 가지는 제거하여 반드시 땅속에 묻는다.수관 내 통풍이 잘 되게 한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
작물에 발생하는 잿빛무늬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석회보르도액,석회유황합제 등이 있다.
이 허용물질들은 자두 잿빛무늬병을 대상으로시험된 바는 없으므로 약효,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병원체 정보

  • Monilinia fructicola (G. Winter) Honey
  • Monilinia laxa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