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잿빛곰팡이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분생포자나 균핵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나 토양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주로 비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전파된다.
전파된 병원균은 부패한 꽃잎이나 기타 유기물질을 영양원으로 발아하여 상처나 표피를 뚫고 침입한다.
침입한 병원균은 환경에 따라 다르나 4∼5일의 잠복기를 거쳐 병징이 나타나며, 병반상에는 다시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그것이 2차 전염원이 되어 계속 발병된다.
낙과된 과일에는 병원균이 감염되어 분생포자와 균핵으로 월동하며, 6∼7월경과 9∼10월경 비가 자주 오고 기후가 서늘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생육중의 과일에 발병되는 일은 거의 없다.

기주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수확기의 과일에 부착한 상태로 저장되어 병 발생에 알맞은 환경이 주어지면 피해가 크게 발생한다.
특히 간이 저장고에서 피해가 크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꽃,과실,줄기,잎,가지에 발생한다.
꽃잎은 갈변하면서 썩기 시작하고,꽃잎이붙어 있는 어린 과실로 점차 확대되어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되며,조기 낙과한다.줄기에서는 수확 후 남아있는 과병의 상처나 꽃잎이 떨어진 부위로부터 연갈색 혹은황갈색 병반을 형성하여 줄기 끝이 시드는 증상을 일으키고,심해지면 줄기가 마르면서 감염된 줄기 윗부분의 잎이 말라죽는다.
잎에서도 떨어진 꽃잎이 부착된 부위로부터 발병이 시작되며,수침상 병반을 형성한다.
병반부분에서 회색의  곰팡이가밀생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경종적 방법>
질소질 비료의 과다 사용을 금한다.병원균이 바람에 날려 확산되고,습도가 높고 저온일 경우 쉽게 발병하므로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한다.병든 식물체를 제거하여 전염원 밀도를 낮추고,포장을 청결하게 관리한다.환경조건이 적합할 경우 분생포자의 밀도 증가가 매우 빠르므로 초기 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
작물에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석회보르도액,유황제,미생물제제,식물추출물,클로렐라 배양액 등이 있다.
클로렐라 배양액을 250배로 희석하여 주1회 예방위주로 경엽살포하면 발병을 줄일 수 있다.클로렐라 이외의 허용물질들은 블루베리 잿빛곰팡이병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없으므로 약효,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병원체 정보

  • Botrytis cinerea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