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육묘상에서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시설재배에서는 연중 발생된다. 노지에서는 장마기에 주로 전반되어 8, 9월에 발생이 가장 심하다.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포장이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되는데 연작지에서 병 발생이 많다. 토양전염성 병해로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 존재하며 관수로 유입될 수도 있다. 토양중의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올라 과실을 침해하게 되며, 상처 없이도 기주체를 침입 할 수 있다.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나고 이듬해에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두 종류의 유성생식형(A1, A2형)이 거의 전 재배지역에 존재한다. 30℃내외로 고온 다습한 날이 계속되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뿌리, 줄기, 잎, 가지, 과실 등 모든 부위에서 발생되며, 특히 과실에 발생이 심하다. 병 증상별로 볼 때 묘잘록, 잎반점, 줄기와 뿌리 썩음, 과실 썩음 등 다양한 병징을 나타낸다. 뿌리나 땅가 줄기에서 발생되면 포기 전체가 시들고 곧 말라죽는데, 굵은 뿌리는 수침상으로 썩고, 지제부의 줄기 내부는 갈색으로 변해 있다. 기상조건과 역병균의 종류에 따라 과실 표면에 하얀 균사덩어리가 생기기도 하고, 균사 없이 그냥 황갈색을 띠며 수침상으로 썩기도 하며, 건전부위와 뚜렷한 경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과실 내부의 병든 조직은 진한 갈색을 띤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작물이 재배되지 않은 건전한 토양에서 육묘한다. -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하고 배수를 철저히 한다. -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조기에 제거하여 포장 밖으로 버리거나 땅 속 깊이 묻는다. - 역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3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필요시 등록약제를 처리한다.
병원체 정보
- Phytophthora nicotianae Breda de Haan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