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음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널리 분포하며, 주로 후막포자 상태로 겨울을 난다. 토양 온도가 15℃이하 일 때는 발병되지 않고 25~28℃에서 잘 발생한다. 수확전에 비가 오고 포장이 과습해지면 쉽게 감염이 이루어진다. 뿌리가 작은 곤충 등에 의해 상처가 생기면 병원균의 침입이 조장되고, 또한 발병 이후에 이차적으로 곤충이 침해하게 되면 부패는 더욱 심화된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되며 감염된 식물체를 통해 넓은 지역으로 퍼진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도시 근교의 시설 연작지에서 병 발생이 많으며 포장에서는 건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도 수송이나 저장 중에 발병되기도 한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전체적으로 생육이 위축되고, 잎은 누렇게되며, 지제부가 갈라지기도 한다. 병이 진전되면 포기 전체가 시들고 말라죽는다. 뿌리가 썩고 수분이 상승하는 통로가 있는 도관부 조직은 오렌지색이나 갈색을 띤다. 심한 경우에는 흑갈색으로 마른 썩음증상을 나타낸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산도를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 토양선충이나 곤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가축분 등 미숙퇴비 사용을 피하고 다비에 의한 염류집적으로 작물의 잔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한 달 이상 담수하면 토양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다소 개선할 수 있다.
병원체 정보
- Fusarium oxysporum Schlecht. : Fr.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