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뿌리혹병, 무사마귀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토양 중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휴면포자는 수 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빗물, 관개수, 흙, 바람, 동물, 농기구 등에 의해서 전염된다.
토양습도 80% 이상의 과습한 포장에서 발병되기 쉬우며, 기온이 20~25℃ 이고, 토양산도가 6.0 이하의 산성토양에서 병발생이 많다.
보통 토양산도가 7.2 이상 되거나 토양수분이 45% 이하인 포장에서는 발병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무 뿐 만 아니라 다른 십자화과 채소작물도 침해하여 뿌리혹병을 일으킨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감염된 그루는 잎이 초기에 약간 시드는 증상으로 나타나고,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전체적으로 푸른 상태로 시든다.
지상부의 병징은 정상적인 식물체와 외관상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나 생육초기에 감염된 무의 뿌리는 기형으로 되고, 지상부의 생장도 부진하다.
무의 생육중기 이후에는 혹모양의 이상비대(異狀肥大)증상으로 나타나고, 혹부위의 표면은 거친 모양의 돌기가 많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생기기도 한다.
병든 무의 생육후기에 이르러서는 혹증상의 균열부위로 세균이나 다른 균류가 침입하여 뿌리가 썩기도 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발병이 우려되는 포장에서는 등록약제를 처리한다.

병원체 정보

  •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