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이크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CMV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이 옮기며, 비영속형전염을 한다.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도 전염이 된다.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고, 1시간 정도 지나면 50% 이하로 전염율이 떨어진다. WMV의 1차 전염원은 병든 식물의 유체에서 비롯되는데, 최근에는 작물이 시설하우스내에서 연중 재배되고 있으므로 전염원은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 병은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 종의 콩과 작물에서 자연발생이 잘 된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황색 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잎의 모자이크 부분이 주름이 져서 오그라지고, 요철(凹凸)상태로 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기주식물인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종의 콩과 작물은 자연감염이 잘 되므로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매개충인 진딧물을 방제한다. - WMV의 1차 전염원은 병든 식물의 겨울나기에 의한 것으로 최근에는 연중 작물이 비닐하우스 내에서 재배되어 전염원은 항상 있으므로 즙액에 의한 접촉 전염 방지를 위해서는 병든 전염원이 되는 식물을 즉시 제거해야 한다.
병원체 정보
- Watermelon mosaic virus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