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고구마

고구마 · 병해충상담
충남보령김지석
1년차 새내기 베비씨네·
무슨 벌레인가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고구마벌레(성충)
Farmmorning
삭제된 댓글입니다.
경기용인유영동 상원(尙沅)
답변왕
20개월 연속출석왕 ·
아주 폭식성 벌레입니다 거의 가리지않고 먹어치우죠
부산금정토마토17268
취미로 소일하는 농부·
나방 나비가 성충일 때는 보기 좋은데 애벌레 는 농작물을 초토화 시킵니다
즉각 살충제를 처서 멸하세요
전남순천서종석
토란잎에 초토화 시킴. 살충제 아무리 투여해도 안죽어요.. 작년에 힘들게 잡았어요..
경남창원만당사
즐겁게 농사를짓고있어요·
배추흰나방 애벌레인것같습니다
충북제천윤재하
답변왕
저는 깻잎 농사꾼 8년·
잡식성 이라 닥치는 대로 먹어 치우네요

고구마모임의 연관글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쉘퍼드의 내성 한계 법칙입니다. 이름 자체는 생소하실텐데 농사 짓는분들이라면 누구나 아시는 내용이지만 항상 왜?가 따라 붙어야겠죠😀😀 셸퍼드의 내성 한계 법칙은 작물이나 생물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건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이 한계를 벗어나면 생육이 저해되거나 심하면 죽게 된다는 원리를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작물은 온도, 습도, 토양 pH, 영양소, 수분, 광량 등 다양한 환경 요소에 대해 ⭐️최소 한계치와 최대 한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한계 사이의 적정 범위(최적 구간)에서 가장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1. 내성 한계의 적용 예시 온도 - 예를 들어, 마늘은 일정 온도 범위에서만 잘 자랍니다. 너무 낮으면 동해를 입고, 너무 높으면 휴면이 빨리 깨어져 생육이 불안정해집니다. 토양 산도(pH) - 작물마다 잘 자랄 수 있는 토양의 산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벼는 약산성(pH 5.5~6.5 정도가 적당합니다. pH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뿌리가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됩니다. 습도 및 강우: - 딸기나 레드향 같은 과수는 습도가 너무 높으면 곰팡이성 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너무 건조하면 과실이 작아지고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내성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환경 조절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관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온실 재배를 통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적절한 품종 선택: 지역 기후에 맞는 품종을 선택하면 생육 조건을 맞추기가 쉬워집니다. 토양 관리: 토양 pH를 맞추기 위해 석회(알칼리성)나 황(산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퇴비나 유기물을 추가하여 토양의 보수력과 배수력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작물 보호: 병해충 예방을 위해 적절한 환경을 유지하고, 환기 및 잡초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3. 결론 쉘퍼드의 내성 한계 법칙은 농사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작물은 각각의 환경 요소에 대해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범위를 유지해야 최상의 생육을 보일 수 있습니다. 농부들은 이 법칙을 바탕으로 토양,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을 적절히 관리하여 최적의 수확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법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면 작물의 생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8·댓글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