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감자

감자 · 병해충상담
경기화성깐묵
감자 잎이 시들어서 말려있어요 잎을 갈아 먹었는지 갈색으로 변했었요
감자시들음
팜모닝 로봇
공식
감자 잎이 시들고 갈색으로 변하는 증상은 탄저병이나 균핵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탄저병은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가 퇴색하고 시들며, 균핵병은 줄기의 지제부에서 발생하여 병든 부위가 마르고 썩습니다. 두 병 모두 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병든 식물체는 제거하고 적절한 방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정보와 예방 방법은 아래 도감 URL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탄저병: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NDY5, 균핵병: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MjQ3

감자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입니다. 🫡 2월부터 감자농사가 시작되네요. 감자 역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난균문에 속하는 병원균 Phytophthora infestans 으로 운동성이 있는 유주자를 형성하는데 물속에서 증식 되고물을 따라 전파된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약18~20"C로 저온균이다. 균사의 가장 큰 특징은 격막이 없으며 균 사는 세포사이에서 발달하여 균사가 팽대한 흡착기를 이용하여 세포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이 병에 걸리면 초기에 는 연록색이나 진한 녹색의 부정형 작은 반점이 잎에 나타난다. 병 발생에 적당한 환경이면 순식간에 번지는데 적갈 색의큰 괴저 병무늬가 잎에 먼저 생기고 나중에 잎줄기와 줄기로 번져 포기 전체가 말라죽는다. 병무늬 주변에는 연 록색의 둘레무늬가 생기며 병원균 포자가 하양게 생긴다. 감염된 종서는 암갈색의 병무늬 표면에 나타나는데 안으 로 약간 들어가며 속을 갈라보면 적갈색으로 썩어 있으나 비교적 단단하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1845년경에 아일랜드에서 대발생하여 흉년으로 많은 사람들이 굶어 축었으며 이 로 인하여 신대륙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랭지에서 심하게 발생하며 주요 작물 중에는 감자, 토마 토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 잎, 새싹, 줄기, 가지에 발생하며 잎에는 장마철에 잎이 흑갈색으로 끈적끈적하게 된 다. 발병한 포기는 뽑아내어 처분한다. 배수와 통풍이 잘되게 관리하여 예방한다. 수확한 감자를 오랫동안 밭에 두 거나 포장 주변에 버리면 병원균에 감염되는데 특히 비가 오면 종서는 쉽게 병원균에 감염된다. 감염 된 종서는 가 장 중요한 1차 전염원이 되어 새싹을 침해한 다음 포장에서 발생한다. 병원균은 기온이 약 20' 정도이고 습도가 100%일 때 가장 잘 증식하며 비가 많이 오거나 저온다습한 날이 (16~22C, 100%습도) 계속되면 급격히 번진다. 기온이 30도 이상 되면 포장에서 더 이상 발아, 균사생장 및 발병, 포자형성을 할 수 없다. 그러나 그 온도 조건이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온, 습도가 다시 병원균에 적합한 조건이 되면 다시 포자낭을 형성한다. 방제 무병 씨감자의 이용으로 포장에서의 근본적인 전염원을 제거한다. 포장에서 잎이 빨리 마르도록 습도를 감소 시키는 것은 병의 발생을 지연시킨다. 이 방법으로는 재식거리를 넓게 하는 것과 적절한 배수 관리로 침수되지 않도 록 한다. 또한 배토는 포자가 괴경에 도달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저항성이 높은 종을 심어야 한다. 조풍은 역 병에 상당한 저항성을 나타내어서 병 발생이 심한 곳에서는 유리한 품종이다. 역병이 침입했을 때는 수확 일주일 전 에는 고엽제 처리로 잎을 제거해야 한다. 수확한 감자는 환기를 잘 해주어 저장고가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역 병은 저온 다습할 때 급속히 발달하고 확산되므로 이러한 기상환경에서는 한 약제만 계속하여 살포하지 말고 다른 적용 약제와 바꾸어 살포한다. 감자 역병 살균제 참고 디메토모르프.만코제브 수화제 포룸만 디메토모르프.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반조포르테 디메토모르프.메탈락실-엠 수화제 포루밀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균카트,캐스팅,품격 만코제브 수화제 스카우트,카브리오팀, 캐스팅, 가가방,다마가,다이센엠-45, 동방만코지,만코지, 선문만코지,아리만코지,탄자비 기타등등
좋아요25·댓글8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예약 으로 조기품절된 수미감자 vs 두백감자 관심있으신 팜회원님들 내년 조기주문 필수입니다 왕산종묘공식 판매처 정품씨감자 판매합니다 차이점부터 재배, 수확, 까지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감자는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식재료입니다. 특히 수미감자와 두백감자는 한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인데요. 하지만 두 감자는 모양부터 식감, 요리 활용법까지 꽤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미감자와 두백감자의 차이점을 비롯해 재배 방법, 관리법, 수확 및 저장법, 그리고 맛있게 활용하는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수미감자 vs. 두백감자 차이점 ✅ 기본적인 특징 비교 수미감자 모양 둥글고 약간 납작함 껍질 색 황색 빛이 도는 갈색 조직감 단단하고 쫄깃함 주요 요리 볶음, 튀김, 찜 요리 두백감자 모양 타원형, 길쭉함 껍질색 연한 노란색 조직감 부드럽고 포슬포슬함 주요요리 으깬 감자, 감자전, 수프, 전분용 쪄먹는감자 👉 수미감자는 단단한 조직 덕분에 감자볶음, 감자튀김, 감자조림에 적합합니다. 👉 두백감자는 부드럽고 포슬한 식감으로 으깬 감자, 감자국, 감자전 등에 활용하기 좋습니다. 2. 감자 심는 방법 감자는 봄(3~4월)과 가을(8~9월), 1년에 두 번 재배할 수 있습니다. 🥔 심기 전 준비 ✅ 토양 준비: 배수가 잘되는 흙을 고르고, 퇴비와 유기질 비료를 충분히 섞어줍니다. ✅ 씨감자 선택: 병해충이 없는 건강한 씨감자를 사용합니다. 50g 이상인 경우 2~3등분해도 됩니다. ✅ 씨감자 절단: 감자를 심기 2~3일 전에 잘라 상처를 말려야 썩지 않습니다. 🌱 감자 심는 법 줄 간격 60cm, 포기 간격 25~30cm로 배치합니다. 씨감자의 싹이 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하고 5~10cm 깊이로 심습니다. 심은 후 흙을 덮고 충분히 물을 줍니다. 3. 감자 재배 및 관리법 ✅ 싹 관리 감자가 자라면서 너무 많은 싹이 나면 영양분이 분산되므로 건강한 싹 2~3개만 남기고 제거합니다. ✅ 물주기 감자는 과습에 약하므로 물을 너무 자주 주면 안 됩니다. 꽃이 피기 전(초기 성장기)과 덩이줄기가 자랄 때(개화 후) 충분히 물을 주세요. ✅ 비료 주기 밑거름: 퇴비 + 복합비료 웃거름: 생육 중반에 질소·칼륨 비료 추가 ✅ 북주기(흙 덮기) 감자가 햇빛에 노출되면 녹색으로 변하며 독성(솔라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은 후 2~3주마다 흙을 덮어주는 '북주기' 작업을 해주세요! 4. 감자 수확 시기와 방법 🕰️ 수확 시기 봄에 심은 감자 → 6~7월 가을에 심은 감자 → 11월 꽃이 진 후 2~3주 후, 잎이 노랗게 변할 때 수확하면 적절합니다. 🏕️ 수확 방법 ✅ 감자를 캐기 전 물을 주지 않고 흙이 마른 상태에서 수확하세요. ✅ 삽이나 호미를 이용해 조심스럽게 캐낸 후 햇빛에 너무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서늘한 곳에서 말려주세요. 5. 감자 저장 방법 ✅ 햇빛을 피해 서늘한 곳에서 2~3일 말리기 ✅ 15~20℃의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 ✅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싹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 가스가 감자의 발아를 억제함) ✅ 밀폐된 비닐봉지는 피하고, 망이나 신문지에 싸서 보관 💡 마무리: 수미감자 vs. 두백감자, 어떤 감자를 선택할까? 👉 감자볶음, 감자튀김, 조림을 원한다면 수미감자 👉 으깬 감자, 감자전, 국물 요리를 쪄먹는감자 원한다면 두백감자 감자는 비교적 키우기 쉬운 작물이라 베란다 텃밭이나 작은 마당에서도 손쉽게 재배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직접 감자를 심어보고, 수확의 기쁨을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공유 부탁드려요! 🥔💚 카카오 채널 친구추가하시면 공동구매 정보 예약을 쉽고 빠르게 할수있습니다 아래 링크 클릭 하시면 간편가입 가능합니다 http://pf.kakao.com/_qtGsn
좋아요31·댓글19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오늘은 감자탄저병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생육말기, 앞 끝의 작은 잎이 누렇게 되고 잎 주변은 위쪽으로 말리고 차촌 잎이 시들며 마침내 잎은 떨어진다. 줄기의 밑동부는 어두운 회색 내지 같색이 되고 건조하면 벗겨 떨어져서 목질부가 노출하고 부러지기 쉬워지며, 병 반 위에 검은색의 작은 점이 집합해 생긴다. 포복지나 뿌리에서도 피층이 갈색으로 변하여 썩고 검은색의 작은 점이 생긴다. 덩이줄기에서는 포복지가 감염됩으로 작은 것은 시들지만, 큰 덩이줄기에서는 표피에 거의 눈에 띄지 않는 미세한 갈색점무늬 또는 작은 점이 생긴다. 습윤한 조건에서는 갈색 부분이 확대되고, 지름 3~6mm의 함몰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병반이 된다. 병반부는 코르크화 되고 깊이 0.7~1.5mm로 건전부와의 경계에 검은 갈색 총이 생긴다. 병원균 Colletotrichum atramentarium (Berkeley et Broome) Taubenhaus 사상균의 일종으로 불완전균류에 속한다. 피해 조직위에 분생포자퇴와 분생포자 및 검은색으로 미세한 균핵 같이 만든다. 분생포자퇴는 나중에 표피 를 찢고 노출하며, 가운데는 약간 돌출해서 각실(\ ) 모양을 보인다. 이 안에 강모, 분생포자경, 분생포자를 만든 다. 강모는 크기 72~150 x 3~84m, 밑 부분은 약간 굵고, 앞 끝은 가늘어지며 0~4개의 격막을 갓고 검은 갈색을 보 인다. 분생포자경은 원통형의 무색, 길이 10~304m로 짧고, 울타리 모양으로 배열하고, 그 맨 끝부분에 분생포자를 만든다. 분생포자는 무색의 짧은 원통형~타원형으로 보통 양끝이 무딘 원형이다. 크기는 15.3~25.0 x2.8~3.94m, 균핵 같은 강모를 갖고, 크기는 185~675x 172~4704m이다. 생육온도는 15~32C, 적정온도는 20~28"C, 약간 고 온성이다. 이 균은 토마토, 가지, 피망 등을 감염한다. 전염 피해줄기나 땅속에서 월동하고 전염원이 된다. 또 덩이줄기에서도 전반한다. 특히 생육이 약해진 줄기 등에 기 생하고 균의 밀도를 높인다. 덩이줄기의 저장시에 습도가 높으면 많이 발생한다.
좋아요30·댓글17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