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고추

고추 · 병해충상담
경남사천임채상
성장이 잘 안되고 잎이 오글오글 해요.
고추줄기생리 장애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충북제천윤재하
답변왕
저는 깻잎 농사꾼 8년·
왜 심어놓고 흙 막음을 안하셨는지요
많은 열기가 구멍을 통해 나오면서 화상을 입었네요
지금이라도 빨리 막음을 하세요
대전서구한밭골
우리 고추와 똑같은 증상이네요.
여기저기 물어보고
처방을 구해서 실행해 봤는데 나아 지지를 않더라구요.그래서 아깝지만 모조리 뽑아 버리고 다시 모종을 구입해서 다시 심었네요.
팜모닝 로봇
공식
성장이 저해되고 잎이 오글거리는 증상은 갈색날개매미충의 피해일 수 있습니다. 이 해충은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흡즙하여 식물의 생육을 방해합니다. 특히 1년생 가지에 알을 낳아 가지에 상처를 입히고, 이로 인해 양수분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하여 식물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방제 방법으로는 난괴가 붙은 가지를 제거하고, 약충 발생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자세한 방제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farmmorning.com/disease-pest/Y3JvcC1kaXNlYXNlLXBlc3Q6MTExMQ==

고추모임의 연관글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입니다🫡 비오는 주말 장마가 시작을 알리는거 같네요 팜친구들 위해 오늘은 농사에서 칼슘이 중요한 이유와 칼슘비료와 엽면시비용 칼슘제의 차이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칼슘이 농사에서 중요한 이유 칼슘은 식물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식물의 구조와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칼슘은 식물의 세포벽의 강도를 유지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많은 생화학적 반응을 조절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칼슘이 식물의 뿌리, 줄기, 잎과 같은 다양한 조직에서 역할을 합니다. 식물이 칼슘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면, 세포벽이 약해지고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칼슘 공급은 식물의 건강한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칼슘비료와 엽면시비용 칼슘제의 차이 칼슘비료는 토양에 직접 공급되며, 매우 느리게 작용하는 완효성비료입니다. 반면에 엽면시비용 칼슘제는 식물의 잎에 직접 살포되어 빠르게 효과를 발휘합니다. 엽면시비용 칼슘제는 잎의 앞면과 뒷면 어디에서 흡수가 잘 될까요? 잎의 앞면은 큐티클 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엽면시비 흡수가 어렵고, 잎의 뒷면은 기공이 열리기 때문에 보통은 잎의 뒷면에서 엽면시비 흡수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칼슘비료의 장단점 칼슘비료는 토양 구조를 개선하고, 영양소의 가용성을 높이며, pH를 조절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칼슘비료를 토양에 사용할 경우, 칼슘 영양제에 비해 양분을 더 오래 지속적으로 공급하지만 식물에게 빠른 효과를 주기는 어렵습니다. 엽면시비용 칼슘제의 장점 식물의 잎에 바로 살포되어 신속하게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지속적으로 칼슘을 공급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엽면시비용 칼슘제와 칼슘 비료를 병행 사용하면 식물의 성장과 수확량 증가에 도움이 됩니다. ​ 이상으로 농사에서 칼슘이 중요한 이유와 칼슘비료와 엽면시비용 칼슘제의 차이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가 농사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20·댓글9
Farmmorning
안녕하세요 농사대장이예요 🫡 오늘은 고추모자이크병 알아볼께요 글씨 오타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 ^^ 병징 병원바이러스의 종류와 계통에 따라서 특이한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재배환경이나 품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래 했같리는 병징을 나타내는 것도 있어 진단은 결코 쉽지 않다. AMV는 모자이크 증세를 보이는 포기에서 분리된다. CM\V에서는 잎에 모자이크가 생기거나, 바이러스의 계통이나 한경조건에 따라서 잎이나 분지에 괴저가 생기고 앞이 떨어질 수도 있다. 나중에 병든 포기는 왜소해지고 잎은 소형화되어 버들잎 증상을 보인다. 열매에 열은 누런색의 둥근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BBWV 및 CMMV의 병징은 CMV보다 약하고 잎에 가벼운 모자이크나 누런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긴다. BBWV에서는 줄기에 가벼운 괴저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BBWV 반입계에서는 잎에 뚜렷한 누런색의 점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기고 열매에도 누런색의 무늬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X에서는 잎에 괴저를 동반하는 심한 모자이크가 생기며, 때로는 흐릿한 누런 갈색의 둥근 무늬가 생긴다. PVY에서는 잎에 누련색 점무늬나 누런 얼룩 모자이크가 생기고 줄기나 열매에도 누런색 줄무늬가 생긴다. BBWV와 중복감염 되면 줄기에 심한 괴저가 생기고 극단적인 결실 장애를 보인다. TMV에서는 처음에 나온 새잎이 누렇게 되고 곧 자주갈색의 괴저점무닉가 생기며 심할 때는 떨어진다. 어린 분지나 성숙한 잎의 잎자루에도 괴저 점무닉가 생긴다. 열매는 누런색으로 변하거나 혹은 괴저 점무늬가 생기며 떨어지기 쉽다. TMV에서는 새잎이 누련색으로 변한 후에 뚜렷한 모자이크로 바뀌고, 열매에는 누런색 무늬나 줄무늬가 생기며 기형이 보이기도 한다. AMV 크기는 56 x 16nm (B), 43x16nm (M), 35x16nm (Tb), 30x16nm (Ta)의 4종의 입자로 이루어진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0~65C, 희석한계 10-5~106, 보존한계 3~5일이다. BBWV : 지름 25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2, 3개의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는 60~70C, 희석한계는 10-4~10-, 보존한계는 2~3일이다. 기주범위가 넓어 시금치, 완두, 콩 외에, 화초나 잡초 등에 기생성을 보인다. TAV :지름 25~30nm의 공 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5~60C, 희석한계 102~10, 보존한계 18.5"C에서 2~3일이다. 국화과, 가지과 외에 다른 식물에 비교적 넓은 기생성을 보이지만, 병징은 일반적으로 가볍거나 없다. CMV:지를 28~30nm의공 모양 바이러스로 몇 가지 계통이 있다. 내열한계 55~75C, 희석한계 104~105,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2-8일이다.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가지과, 박과, 십자화과 외에 많은 식물을 감염하고 45과 190종의 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PVX : 515x13nm의 실모양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68~75"C, 희석한계 10-5~10 6,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기주범위는 명아주과, 비름과, 번행초과 등이다. PVY: 730x11nm의 실 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52~62C, 희석한계 10 -2~10*, 보존한계는 실온에서 1~2일이다. 기주범위는 좁아 가지과, 명아주과의 일부 식물에 기생성을 보인다. TMV: 300x18nm, 막대모양의 바이러스로 내열한계 88~93C, 희석한계 10 6~10 ', 보존한계는 1년 이상이다. 본 바이러스에는 몇 가지 계통이 있지만 피망에서는 토마토계, 보통계, 고추계가 중요하다. 토마토계는 토마토에, 보통계는 담배에 대한 기생성이 강하다 전염 AMV, BBWV, CMV, TAV, PVY는 진딧물류에 의해서 비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즙액접종은 쉽지만, 접촉전염은 드물고 종자 및 토양전염은 하지 않는다. PVX의 전염원은 감자 등의 병든 식물로 생각되지만, TMV의 1차전염은 주로 보독한 종자 및 오염된 토양에서 일어난다. 두 바이러스 모두 발병 후는 병든 포기와의 접촉이나 흑은 수확작업 등에 의해서 쉽게 즙액전염 한다. 방제 이들 바이러스는 종자전염을 하거나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매개하므로 이들 매개충의 밀도를 줄여서병 발생을 낮춘다.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는 유묘를 선택하여 재배한다.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오염토양, 웃,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식, 적아, 수확 등의 작업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좋아요52·댓글29
Farmmorning